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통제
콘트롤
컨트롤
조정
관리
제어
규제
d라이브러리
"
조절
"(으)로 총 3,603건 검색되었습니다.
꼬리칸에서 생존하는 법
과학동아
l
2013년 09호
될 것 같은 꼬리칸 사람들을 열차에 태우고 달리는 이유도 결국 폭동을 이용해 개체 수를
조절
하기 위해서였듯 말이다.그렇다면 기차를 만든 장본인도 ‘감옥’이라 부른 설국열차의 생태계는 얼마나 고립돼 있을까. 충분한 양은 아니겠지만 열차 머리는 얼음이나 눈과 충돌할 때마다 이를 흡수해 ... ...
마취
과학동아
l
2013년 09호
발생 과정이 훨씬 더복잡하다. 따라서 단순한 해결책을 찾기가 무척 어렵다.급성통증을
조절
하는 메커니즘은 주로 신경전달을 ‘차단’하는 것이다. 전신마취는 뇌의 각 부위간의 소통을 막아 무의식과 무통 상태에 이르게 한다. 국소마취는 통증을 발생시키는 말초신경의 신호 전달을 막는다 ... ...
산호도 미세먼지가 싫어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09호
사와 함께 미세먼지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어요. 대기에 가득한 미세먼지는 호흡기 질환을 일으키고 건강도 해치지요. 그런데 땅 위의 생물뿐만 아 ... 줄어든 거지요. 산호는 다른 해양 생물의 서식지이자 먹이이기 때문에, 미세먼지 농도
조절
은 바다 속 전체 생태계를 위해서도 매우 ... ...
수학 모르면 괴물? 프랑켄슈타인의 비밀을 찾아라!
수학동아
l
2013년 09호
출력값과 인공뉴런이 계산한 값을 비교해 같으면 이대로 진행하고, 아니라면 가중치를
조절
해 원하는 값을 갖도록 학습시킨다.이런 원리를 이용하면 인터넷 검색뿐만 아니라 주가지수나 환율을 좀 더 빠르고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다. 이 때문에 구글을 대표로 인공신경망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 ...
추락하는 비행기에서 살아남으려면?
과학동아
l
2013년 08호
발표했다. 조종사의 과실 쪽에 무게를 두는 발언이었다. 허스먼은 “자동속도
조절
장치를 켜 놓은 상태였다고 해도 속도를 감시하고 유지하는 것은 조종사의 책무”라고 강조했다.➋ 조종사의 경험이 부족했다?이번 비행에서 조종을 맡은 두 기장은 관숙비행 중이었다. 관숙비행은 기장이 새로운 ... ...
미토콘드리아 시계가 흔들리다
과학동아
l
2013년 08호
사실은 삶에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도 2000년대 이후 밝혀졌습니다. 핵 밖에서 신진대사를
조절
한다는 것이지요. 당시 이런 연구 결과가 하나씩 나올 때마다 학계에서 술렁대던 그 긴장감을 잊을 수 없습니다. 지금 뒤돌아보면, ‘세포의 에너지 공장’인미토콘드리아가 중립이라고 생각했다는 점이 ... ...
[체험] 디지털건축연구실 탐방 건축, 예술 작품이 되다!
수학동아
l
2013년 08호
레이저 커터로 앞서 만든 전개도를 자르는 모습을 보았다. 레이저 커터가 강약을
조절
해 전개도의 접히는 부분까지 만들어 내는 걸 보니 신기했다. 탐방을 계기로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건축에 대해 관심을 갖게 돼 좋았다.김선희 기자의 첨삭 포인트홍준영 기자는 취재한 사실과 느낀 점을 적절히 ... ...
이제는 네발로봇 세상!
과학동아
l
2013년 08호
투입될지는 결정되지 않았다. 똘망은 전기모터와 감속기(자동차의 변속기와 같은 힘
조절
장치)를 하나의 모듈로 묶는 개방형 구조다.이밖에 최종 경합에 오른 팀은 ▲로봇 침프(CHIMP)를 내세운 카네기 멜론대 팀 ▲네발로 엉금엉금 기는 ‘로보시미안(RoboSimian)’을 선보인 미국항공우주국(NASA) ... ...
바다 속 어디까지 가봤니?
과학동아
l
2013년 08호
겁을 먹은 상태에서 물을 먹어 상황이 더 나빠질 수 있다.이런 경우는 수영을 멈추고 부력
조절
기에 공기를 넣어 긴장을 풀어야 한다. 숨 쉬는 속도가 정상으로 돌아올 때까지 잠시 기다려야 한다. 무엇보다 사전에 훈련을 철저히 하고 다이버는 자신의 능력을 넘어서는 상황에 처하지 않도록 늘 ... ...
마찰력은 제로, 속도는 무한대
과학동아
l
2013년 08호
어려운 아찔함을 제공할 수 있는 이유다.워터파크가 대형화되는 추세기 때문에 마찰력을
조절
하는 것이 더 중요해졌다. 잘못하면 대형사고로 이어지기 때문이다. 설악워터피아의 ‘메일스트롬’은 슬라이드 중간에 최대 지름 22m의 거대한 깔때기를 비스듬히 세운 시설이다. 최대 6명의 탑승객이 탄 ... ...
이전
114
115
116
117
118
119
120
121
12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