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통제
콘트롤
컨트롤
조정
관리
제어
규제
d라이브러리
"
조절
"(으)로 총 3,603건 검색되었습니다.
눈이 번쩍 뜨이는 시력짱 프로젝트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17호
덜 발생한다고 했지요. 연구를 진행한 과학자들은 햇빛을 받을 때 눈에서 안구 길이를
조절
하는 물질이 나와서 근시를 예방할 수 있다고 추측하고 있습니다.특집 한 걸음 더 시력 지키는 여섯 가지 방법아직까지 근시를 치료할 수 있는 완벽한 방법은 없어. 안타깝지만 말이야. 그러니까 근시를 ... ...
원자력이 안전해? 정말? 정말!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17호
일어나지요. 제어봉을 빼면 반응이 다시 활발하게 일어나고요. 이런 식으로 반응을
조절
하며 원전을 안전하게 가동해요." _신원기 박사(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2 두 번째 검증! 방사선이 새로운 세상을 연다고?원자력에 대한 설명을 듣고 방재 센터까지 봤더니 원자력 안전에 대한 ‘감’이 잡혔어. ... ...
세상에서 가장 무서운 여행 괴담 잡는 과학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15호
괜찮을까?비행기 안의 기압과 산소는 외부의 공기를 빨아들이는 ‘여압장치’로
조절
하고 있다. 고도 9~12㎞를 비행 중인 비행기 안의 압력은 한라산 높이 정도인 해발고도 2000m의 기압과 비슷하다. 우리의 몸은 지상의 1기압에 맞춰진 상태기 때문에, 비행기 안에서 압력의 차이로 귀울림이나 ... ...
빗방울이 뚝뚝뚝뚝 떨어지는 날에는 이런 우산 어때?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14호
막아 준단다. 우산 살이 없어서 우산이 뒤집어지거나 망가질 염려도 없겠지? 길이를 짧게
조절
하면 가지고 다니기도 무척 간편할 것 같아. 아직은 상상 속의 우산일 뿐이지만 빨리 들고 다니고 싶당! 음매애~!또롱또롱~, 빗방울로 빛나는 우산비가 오면 어두워지고 앞이 잘 보이지 않아. 그래서 맑은 ... ...
꼭꼭 숨어라! 편광
조절
물고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13호
갑자기 더워진 날씨 때문에 일찍 바다에 놀러 나온 닥터 그랜마예요. 오늘 점심 식사는 제가 직접 낚시를 해서 마련할 거예요! 뭘 잡을지 정말 기대돼요. 물고기? 오징어? 문어?그런데 이상하네요. 바닷속에 물고기가 한 마리도 보이지 않아요. 낚시꾼이 온다고 누가 미리 알려 줬나? 다들 어디로 도 ... ...
21세기 연금술 뭐든지 인쇄하는 3D프린터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13호
얇은 층을 사람 발바닥부터 머리까지 한 층씩 쌓아 올려요. 물건에 따라 위치와 크기를
조절
하면서 조금씩 층을 쌓으며 인쇄한답니다. 또 필요한 만큼만 재료를 쓰지요. 잠깐! 3D펜은 3D프린터 중 하나허공에 낙서를 하면 그대로 선을 따라 모양이 만들어지는 펜을 보셨나요? ‘낙서하는 사람’이라는 ... ...
루돌프 사슴 ‘눈’은 매우 깊은 파란 눈~♬
과학동아
l
2013년 12호
눈에서 계절에 따른 색깔 변화가 발견된 것은 처음”이라며 “순록은 반사판을
조절
하는 능력을 통해 빛의 양이 급격히 줄어드는 겨울에도 유연하게 대처하며 생존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영국왕립학회보 B’ 10월 30일자에 실렸다 ... ...
밀가루는 무죄!
과학동아
l
2013년 12호
건강에 나쁘다고 할 수 있을까요? 체질이야 개인에 따라 다른 것이니 알아서 식단을
조절
하면 될 문제입니다.글루텐프리 식단으로 살 못 빼지난해 ‘영양 및 식이요법 학회지’에 글루텐프리 식단이 일반인에게 끼치는 영향을 정리한 논문이 실렸습니다. 글루텐에 대한 몇 가지 통념에 대한 실제 ... ...
[교과연계수업] 지방세포 다이어트로, 건강하고 날씬하게!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12호
등이 비슷해지기 때문이에요.Q. 비만유전자가 있다?A. 오래 전부터 과학자들은 식욕
조절
을 방해하거나 조금만 먹어도 살이 찌는 ‘비만유전자’가 있다고 생각했어요. 지난 3월 미국 덴버 콜로라도대학교 제임스 맥매나먼 교수팀은 비만유전자(plin2)를 찾았답니다. 이 유전자를 제거한 쥐는 다른 ... ...
[life & Tech] 이젠 그만 깨고 싶다
과학동아
l
2013년 12호
길고 활동량이 부족해 건강을 해치기도 한다고 덧붙였다. 특히 하이포크레틴은 식욕을
조절
하기도 해 이 호르몬이 부족한 기면증 환자는 폭식을 하는 경향이 있다. 정상인보다 과체중이 될 위험이 두 배 정도 높다. 따라서 청소년기에 갑자기 심각하게 졸린 증상이 3개월 이상 지속되면 빨리 병원을 ... ...
이전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