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통제
콘트롤
컨트롤
조정
관리
제어
규제
d라이브러리
"
조절
"(으)로 총 3,603건 검색되었습니다.
결혼은 정말 미친짓일까?
과학동아
l
2014년 05호
곁에 아무도 없을 때보다 스트레스가 줄었다. 그런데 남편의 손을 잡을 때는 감정을
조절
하는 부위까지 진정됐다. 마치 진통제를 투여할 때와 같았다.하지만 “건강해지려면 결혼하라”는 권유는 옳지 않다. 단지 결혼하는 것만으로 건강이 보장되는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불행한 결혼 생활은 ... ...
피아노 VS 파이프오르간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05호
‘챙챙’거리는 소리가 나지요. 현을 두드리는 대신 튕기는 원리이므로 손가락의 힘을
조절
해도 피아노처럼 음을 여리거나 세게 칠 수 없답니다. 파이프오르간파이프에 공기를 넣어 소리를 내는 악기예요. 피아노와 달리 건반이 2~3개 층으로 되어 있고, 발로 연주하는 ‘발 건반’이 달려 있어요. ... ...
PART 2. 태초의 꽃을 찾아서
과학동아
l
2014년 04호
A-클래스(class), B-클래스, C-클래스 유전자들의 발현이 조합을 이루어 꽃의 각 부분 형성을
조절
한다는 것이다. 그런데 가장 원시적인 꽃식물에서 두 개의 B-클래스 유전자(꽃잎과 수술 형성에 관여한다)가 만든 단백질들이 동형복합체를 형성하는지 아니면 이형복합체를 형성하는지가 그동안 큰 ... ...
내 허파에 낀 초미세먼지는 정말 중국산일까
과학동아
l
2014년 04호
에너지 소비를 줄여야 한다”고 강조했다.2부제나 5부제를 실시하는 등 차량운행만
조절
해도 미세먼지는 눈에 띄게 줄어든다. 대도시의 미세먼지 농도를 높이는 데 결정적으로 기여하고 있는 질소 산화물은 특히 승용차에서 많이 나온다. 2002년 부산아시안게임 당시 차량 2부제를 시행한 결과 ... ...
사물인터넷 사이보그 세상 연다
과학동아
l
2014년 04호
끄는 시스템, 비닐하우스에 부착된 센서를 이용해 자동으로 하우스 온도와 습도를
조절
한 뒤 이를 관리자의 태블릿PC로 전송하는 시스템이다.사물인터넷이 각광받다 보니 세계 최대 네트워크 솔루션 기업인 시스코시스템즈는 이를 넘어 ‘만물인터넷’이라는 새로운 개념의 전도사가 됐다. ... ...
‘유망주’ 싹 자르는 투수 혹사 잔혹사
과학동아
l
2014년 04호
해야 한다”며 “한계투구수를 정하고, 동계훈련, 프로 신인 지명 등의 일정을
조절
해 선수가 무리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라고 말했다.반면 의문을 표하는 사람도 있다. 명투수 출신인 선동렬 KIA 감독은 평소 “투수의 어깨는 쓰면 쓸수록 약해지지 않고 강해진다”고 강조하는 것으로 유명하다. 201 ... ...
망각
조절
단백질
과학동아
l
2014년 04호
‘무사시’ 단백질이 망각을
조절
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사진은 연인과의 추억을 지우는 설정으로크게 흥행한 영화 ‘이터널 선샤인’의 한 장면.]기억하는 것만큼 잊는 것도 중요하다. 망각하지 못하면 나쁜 기억 때문에 평생을 고통 속에 살아갈수도 있다. 정작 신경과학에서는 망각 원리가 잘 ... ...
발모제 먹어도 성욕 감퇴 없다
과학동아
l
2014년 03호
테스토스테론이 전혀 줄지 않았다고 발표했다.테스토스테론은 남성 생식기 발달과 발기
조절
에 관여하는 호르몬이다, 연구진은 피나스테리드가 테스토스테론 수치를 낮춘다는 잘못된 속설을 반증하기 위해 57~79세 53명의 남성을 대상으로 12개월간 피나스테리드 5mg을 하루 한 알씩 매일 복용하게 ... ...
시속 320km로 내리꽂는 하늘의 지배자
과학동아
l
2014년 03호
발 뼈 네 개 사이에 물갈퀴가 세 개가 있다. 물갈퀴는 일종의 추진장치다. 방향
조절
도 자유자재로 가능하고, 더 큰 힘으로 밀어낼 수 있다. 특히 가마우지는 다른 새보다 다리가 뒤쪽에 달려서 물을 밀어내는 힘이 좋다. 가마우지는 깃털이 방수가 아니기 때문에 사냥이 끝나면 반드시 햇볕이 잘 드는 ... ...
무중력 자세로 운전한다
과학동아
l
2014년 03호
바닥과 건물 벽에 화살표가 나타난다. 왼쪽 눈과 오른쪽 눈이 다른 영상을 보도록 각도를
조절
해 입체감을 느끼는 3D TV와 같은 원리다. 운전자는 실제 건물에 겹쳐 보이는 내비게이션을 보고 가면 된다. 익숙하지 않은 운전자는 사고를 낼 가능성이 있어 아직 상용화되지는 않았다.실용적인 정보라도 ... ...
이전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