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통제
콘트롤
컨트롤
조정
관리
제어
규제
d라이브러리
"
조절
"(으)로 총 3,603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2. 그녀들을 최고로 만든 ‘물리 스킬’
과학동아
l
2014년 02호
만드는 최적의 타이밍을 잘 아는 선수인 것 같다”고 말했다. ● 마찰력을 마음대로
조절
한다100분의 1초를 다투는 스피드스케이팅은 출발부터 달리는 듯한 자세로 발동작을 빠르게 한다. 체격 조건이 불리한 이상화는 다른 선수들이 발동작을 10번 할 때 12번 안팎을 해내는 것을 목표로 속도와 ... ...
네가 먹는 초콜릿은 진짜 초콜릿이니?
과학동아
l
2014년 02호
만들어진다. 카카오 매스에분유나 생크림을 첨가하면 밀크 초콜릿이, 설탕 농도만
조절
하면 다크 초콜릿이 된다.또다른 카카오 리쿼의 경로는 압축기로 보내 카카오 케이크와 카카오 버터로 분리하는 것이다. 참기름을 짜면 참깨 찌꺼기와 참기름으로 나뉘는 것과 비슷하다. 딱딱하게 굳은 카카오 ... ...
[시사] 김민형 옥스퍼드대 교수의 수학 산책 국경을 초월하는 수학 교육
수학동아
l
2014년 02호
규제한다. 프랑스 출신의 전 FIFA 회장 미셸 플라티니는 선수들의 국제 이동을 엄격히
조절
하는 제도를 여러 번 제안한 적도 있다. 이와 비슷한 수학계의 동향으로 ‘불어로 수학하기’ 운동을 조직하는 프랑스 수학자도 여럿 있다. 그들은 영어권의 학계 장악을 걱정해서 논문을 불어로 쓰도록 ... ...
[출동! 명예기자가 간다] 씽씽! 겨울엔 신 나는 스키와 스노보드를~!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02호
직선으로 쭉 내려가 위험할 수 있어요. 따라서 사이드슬립을 이용해 속도를 적절하게
조절
해야 해요. 왼쪽으로 이동할 때는 왼쪽 발에 70%, 오른쪽 발에 30%의 체중을 실어요. 임진서 : 오빠, 오늘 처음 스키를 탔는데 아주 재밌어. 앞으로 스키장에 자주 올 것 같아.박찬선 : 친구들! ... ...
미지의 물질을 보는 창 결정
과학동아
l
2014년 01호
때문이다. 단백질 용액을 수천 종류의 결정화 용액과 섞어 온도와 산성도를 다양하게
조절
해 놓아두면, 단백질마다 서로 다른 조건에서 결정이 생긴다.운이 좋은 사람은 몇 시간 만에 결정을 만들지만 운이 나쁜 사람은 수 년 이상이 걸리기도 한다. 이지오 교수는 “박사 논문을 준비할 때 결정을 ... ...
초파리는 경쟁자 앞에서 더 뜨거운 사랑을?
과학동아
l
2014년 01호
분석했다. 그리고 PDF와 NPF라는 신경세포 단백질과 그 수용체들의 조합에 의해 LMD가
조절
됨을 밝혀냈다. 이에 관여하는 신경세포는 초파리 뇌의 10만여 개 세포 중에서 18개에 불과했다.김우재 박사는 “수컷에게 가장 중요한 것은 자신의 유전자를 후대에 남기는 일로, 이러한 교미 시간 변화는 종족 ... ...
생물처럼 말랑말랑한 ‘소프트 로봇’ 나온다
과학동아
l
2014년 01호
결과를 응용해 신축성 있는 소재로 로봇을 만들고, 컴퓨터 알고리듬으로 표면 형태를
조절
하면 이런 한계를 극복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드 시몬 박사는 “톱니바퀴나 모터가 들어가는 로봇은 크기를 줄이는 데 한계가 있기 때문에 미래의 마이크로 로봇은 점점 더 생물처럼 부드럽고 유연해질 ... ...
비트코인도 털린다
과학동아
l
2014년 01호
’라고 했다. 이렇듯 비트코인은 불특정 다수가 함께 운영하는 체계다. 화폐를 발행하고
조절
하는 중앙은행은 없다. 심지어 비트코인 창시자도 실체가 없다. 그런데 사람들은 무슨 근거로 비트코인을 믿고 환호하는 것일까?사토시 나카모토가 사람들의 신뢰를 얻기 위해 이용한 것은 수학이었다. ... ...
옥토끼, 달에 중국 국기를 꽂다
과학동아
l
2014년 01호
총 동원한 결과였다. 이후 11분 동안 감속과 자유낙하를 반복하며 자동으로 방향을
조절
해 ‘비의 바다(MareImbrium)’라는 곳에 무사히 도착했다. 지구 가까운 면에서 북서쪽 부분으로 서경 19.5도 북위 44.1도 위치였다. 이곳은 어두운 용암 지역으로 지름 약 1200km 정도로 평탄하다. 창어3호의 분사 엔진을 ... ...
PART1. 단언컨대 사람도 겨울잠 잘 수 있다
과학동아
l
2014년 01호
지금 전원을 올리는 장치가 멈춰있다.사람도 마찬가지일까. 물론이다. 지방대사를
조절
해 겨울잠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진 PL이나 PDK-4 유전자가 사람 몸에도 버젓이 존재한다. 다만 아데노신 같은 물질이 대량생산되지 않는다. 유럽우주기구(ESA)는 2007년 국제우주대회에 제출한 보고서에서 ... ...
이전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