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총"(으)로 총 3,590건 검색되었습니다.
- [현장 취재] 24시간 생물 탐사 대작전! 2017 바이오블리츠코리아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2호
- 학술적인 성과도 있었어요. 24시간 동안 바이오블리츠를 진행한 결과, 선운산생태숲에서 총 836종의 생물이 기록됐거든요. 269종이 발견된 곤충 가운데에는 국내 ●미기록종인 파리 ‘케로플라티데’가 포함돼 있답니다.●미기록종 : 분류가 되어 있지만, 그 지역에 사는지는 알려지지 않았던 생물.또 ... ...
- [엄상일 교수의 따끈따끈한 수학] 볼록오각형 테셀레이션 문제수학동아 l2017년 12호
- NNSS)의 개발 책임자로 일했습니다. 커쉬너 박사는 본인이 찾은 3가지까지 합쳐서 총 8가지가 볼록오각형으로 테셀레이션할 수 있는 방법의 전부라고 주장하며 이를 정리로 만들었습니다. 그 증명은 다 쓰자면 책 한 권이 나와야 하므로 생략한다고 적었지요. 이 소식은 미국의 유명한 퍼즐 연구자인 ... ...
- ‘나노영챌린지 2017’ 6개월 대장정 막 내려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우수한 아이디어를 발굴한 뒤 이들이 실제 시제품으로 제작될 수 있도록 지원했다. 총 55개 팀이 참여한 가운데 서류와 발표 평가에서 치열한 경쟁을 벌였고, 올해 7월 본선에 진출할 8개 팀이 가려졌다. 나노 패터닝 기술로 금속의 색상을 원하는 대로 제어하고, 나노 광(光)안테나를 이용해 ‘식물 ... ...
- [Future] 알파고 제로, 공식을 깨다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제로가 역사상 가장 강력한 바둑 플레이어라고 강조했다. 지금까지 개발된 알파고는 총 4가지다. 2015년 판 후이(Fan Hui) 2단을 이기고 2016년 과학학술지 ‘네이처’에 실린 알파고 ‘판(Fan)’, 2016년 3월 이세돌 9단을 4대 1로 이긴 알파고 ‘리(Lee)’, 올해 5월 커제 9단을 3대 0으로 이긴 알파고 ‘마스터 ... ...
- Part 3. 손님이 기다리게 하지마라수학동아 l2017년 12호
- 분배할 차례다. ‘고기싸움에새우등터짐’은 장사가 잘되기 때문에 종업원 2명을 고용해 총 3명이 일을 나누기로 했다. 한 사람은 불을 하나만 사용할 수 있으며, 각자 맡은 일을 중간에 바꾸지 않는다고 가정하자. 이때 효율적인 분배 방법은 각자의 업무 시간이 비슷하도록 만드는 것이다. 어떤 ... ...
- [시사기획] 北 생화학 무기 개발, 어디까지 왔나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있는 능력을 갖췄다고 2015년에 주장했다. 거대한 저장 탱크를 지하에 1개, 지상에 2개 등 총 3개 보유하고 있고, 전력 생산을 위한 화력발전소가 포착됐다. 공사 막바지였던 2014년 7월에는 정전에 대비할 수 있는 변전소도 확인됐다. 생물 무기 12종 가운데 7종은 치명적일각에서는 생물안전등급 ... ...
- 다~ 드루와! 다트의 세계로!수학동아 l2017년 12호
- 가장 큰 차이는 과녁의 점수 영역을 나누는 방법과 점수 계산 방법입니다. 다트 보드는 총 83개 영역으로 나뉘어 있습니다. 황소의 눈을 닮아 불 또는 불스아이라고 부르는 작은 원을 중심으로 동심원 4개가 피자처럼 잘려져 있지요. 부채꼴처럼 생긴 20개 영역은 1부터 20까지 기본 점수가 하나씩 쓰여 ... ...
- Part 3. 꺼진 불도 다시 보는 진화 작전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1호
- 많은 양의 물을 주변의 강에서 30초도 안 돼 물탱크로 빨아올려요. 이 헬기 3대를 비롯한 총 175대의 헬기가 인근 강에서 물을 퍼담아 산불 지역에 뿌리기를 계속해서 반복했답니다.◀ 산불을 진화할 때는 잔불까지 완전히 제거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번에 완전히 진화된 것으로 봤던 강릉 산불도 ... ...
- [Origin] 미라가 알려주는 조선 양반 사망 사건의 전말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셈이다. 미라 기생충 알면 현대 기생충 보인다2003년부터 연구팀이 조사한 미라는 총 25구다. 연구팀은 이들 미라에서 얻은 기생충의 유전정보 데이터를 축적해 감염 예방이나 치료법을 찾는 데 활용하고 있다. 결핵균을 예로 들어 보자. 결핵치료제는 1950년대 처음 개발됐는데, 이후 약에 내성을 ... ...
- Part 1. 기이한 술법 3가지수학동아 l2017년 11호
- 오히려 균형을 잡지 못했지요. 비결은 무게중심의 위치입니다. 무게중심은 작용하는 총 중력의 작용점입니다. 중력에 의한 합력이 0이 되는 기준점을 말하지요. 가느다란 다리에 비해 몸집이 커다란 홍학의 무게중심은 안쪽 무릎에 있습니다. 이 때문에 겉으로 보기에는 불안정해 보이지만 한 발로 ... ...
이전11711811912012112212312412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