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총"(으)로 총 3,590건 검색되었습니다.
- [Origin] 미라가 알려주는 조선 양반 사망 사건의 전말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셈이다. 미라 기생충 알면 현대 기생충 보인다2003년부터 연구팀이 조사한 미라는 총 25구다. 연구팀은 이들 미라에서 얻은 기생충의 유전정보 데이터를 축적해 감염 예방이나 치료법을 찾는 데 활용하고 있다. 결핵균을 예로 들어 보자. 결핵치료제는 1950년대 처음 개발됐는데, 이후 약에 내성을 ... ...
- [수학뉴스] 오각형 테셀레이션 하는 방법은 오직 15가지!수학동아 l2017년 11호
- 밝혔지요. 1918년 독일 수학자 칼 라인하르트가 최초로 5가지 방법을 찾은 이래 2015년까지 총 15가지 방법이 알려져 있었거든요. 이제 더 이상 볼록 오각형 테셀레이션의 새로운 방법을 찾겠다고 매달릴 필요가 없겠죠 ... ...
- Part 1. 기이한 술법 3가지수학동아 l2017년 11호
- 오히려 균형을 잡지 못했지요. 비결은 무게중심의 위치입니다. 무게중심은 작용하는 총 중력의 작용점입니다. 중력에 의한 합력이 0이 되는 기준점을 말하지요. 가느다란 다리에 비해 몸집이 커다란 홍학의 무게중심은 안쪽 무릎에 있습니다. 이 때문에 겉으로 보기에는 불안정해 보이지만 한 발로 ... ...
- 사진 속에 비밀을 감춰라! 스테가노그래피수학동아 l2017년 11호
- RGB 값은 숫자 세 개로 표현하고 이진법으로 바꾸면 각 숫자가 8자리이므로, 픽셀 하나는 총 3×8=24개 숫자로 이뤄진 셈입니다. 그런데 숨겨줄 사진의 픽셀 하나에 숫자 24개를 모두 숨길 수는 없어요. R 값, G값, B 값의 끝자리 하나만 바꿀 수 있으므로 3개만 숨겨줄 수 있지요. 즉, 픽셀 한 개를 ... ...
- [SW 기업 탐방] 같이 타면 빠르고 안전한 학원 버스 셔틀타요수학동아 l2017년 11호
- 첫째는 버스가 가장 빨리 돌아오는 방법이고, 둘째는 원생들이 버스에서 보내는 시간의 총합을 가장 짧게 하는 길이다. 셋째는 부모님의 차를 타고 올 때와 셔틀버스를 탈 때 걸리는 시간 차이가 원생마다 공평해지는 경로다. 이중에서 맘에 드는 것을 학원이 선택하면 된다. 기술 개발은 ... ...
- Part 3. 꺼진 불도 다시 보는 진화 작전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1호
- 많은 양의 물을 주변의 강에서 30초도 안 돼 물탱크로 빨아올려요. 이 헬기 3대를 비롯한 총 175대의 헬기가 인근 강에서 물을 퍼담아 산불 지역에 뿌리기를 계속해서 반복했답니다.◀ 산불을 진화할 때는 잔불까지 완전히 제거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번에 완전히 진화된 것으로 봤던 강릉 산불도 ... ...
- Part 1. 배트맨의 검은 배트슈트, 최소 두께 가진 최강 그래핀으로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요구된다. 이런 노력 중의 하나로 필자는 레이저를 이용해 실제 총알보다 수천 배 작은 총알을 초음속으로 가속한 뒤, 이를 나노복합재료에 충돌시키는 실험을 진행하고 있다. 1조 분의 1초 동안 미시적으로 일어나는 초음속 충돌 현상을 분석해 나노복합재료의 특성을 조사하고 있다. 이런 과정을 ... ...
- [Culture] 캐나다 국방연구개발원과학동아 l2017년 11호
- 비판하고 있는 캐나다의 국방연구개발원(DRDC)을 소개하려고 합니다. DRDC는 캐나다 전역에 총 8개 연구센터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분야별로 특화된 국방연구소 DRDC의 전신인 국방연구위원회(DRB)는 제2차 세계대전 직후인 1947년 4월 설립됐습니다. 캐나다 군대(지상군, 해군, 공군)에 무기를 공급하기 ... ...
- [수학소설 I 멋진 신세계] 마고의 최후?수학동아 l2017년 11호
- 내밀고 주위를 두리번거렸다.‘이러면 안 되는데….’ 고개를 너무 내민 모양이었다. 총을 든 남자 한 명이 하림을 보고 외쳤다.“거기 너 일어서! 움직이지 마!”그 소리를 들은 대장이 고개를 돌려 하림을 보았다.“너였군. 도망친 줄 알았는데, 어차피 네가 할 일은 끝났으니 구경이나 하려므나 ... ...
- [Issue] 잘 나가는 크리스퍼 ‘처녀생식’ 논란과학동아 l2017년 11호
- 두 쌍(2n)의 염색체를 이루고 나면, 세포 분열을 위해 각각의 염색체는 복제를 시작한다. 총 네 쌍(4n)의 염색체가 만들어지고, 곧 두 개의 세포로 나눠진다. 이 시기를 2세포기라고 한다. 세포는 계속 분열하며 4세포기, 8세포기, 16세포기를 지나 수억 개의 세포로 이뤄진 포배기에 이른다. 정자에 ... ...
이전11811912012112212312412512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