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표현"(으)로 총 4,880건 검색되었습니다.
-
- Part 4. 극한 실험실에 산다, 기묘한 양자물질 삼형제과학동아 l2017년 04호
- 경우를 +2 또는 -2로 나타내면,솔리톤이 없는 경우(0)까지 더해 총 4가지 상태로 4진법을 표현할 수 있다. 공동연구팀은 카이럴 솔리톤으로 4진법 소자를 만들면 인공지능 컴퓨터에 한 걸음 가까이 다가갈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한다. 김 교수는 “4진법 소자를 만들면 16비트에 담을 수 있는 정보가 ... ...
-
- Part 2. 태초의 음악은 어떤 꼴이었을까과학동아 l2017년 04호
- 타이어 개스톤(1901~1970년)은 인류가 수렵생활을 하던 시절 엄마가 아이에게 애정을 표현하는 형태로 자장가가 발달 했다고 주장했다.현대에 와서 음악의 기능을 극대화하는 시도로 음악치료가 생겼다.사진은 미국 상이군인들의 음악치료 장면. 자장가는 다양한 문화에서 나타나는 보편적인 ... ...
-
- [수학명언 책갈피] “수학은 언어다.”수학동아 l2017년 04호
- 기호가 많고 복잡해서 이해하기 어려웠습니다. 좌표를 이용해 물리 현상을 간단하게 표현한 벡터 해석학은 곧 사원수를 대체했습니다.기브스는 말수가 적고 사교성이 부족했지만 신념이 뚜렷한 과학자였습니다. 이런 기브스의 성격을 잘 알려주는 재미있는 일화가 있습니다.대학교 교수였던 ... ...
-
- [알쏭달쏭 논리 동화] 왕자의 도플갱어가 나타났다!수학동아 l2017년 04호
- 관한 문제를 접한 어른들은 왕자의 답이 무엇이라고 답할까? 지난 3월 11일에 논리적인 표현을 공부하는 어른들의 모임 ‘두뇌보완계획’을 찾아가 의견을 들었다. ※수학동아 블로그(mathdonga.blog.me)의 ‘알쏭달쏭 논리동화’에 댓글로 의견을 남겨주세요. 논리적인 댓글은 다음 화에 소개할 ... ...
-
- [Issue] 전통 막걸리, ‘ 미생물 배합’으로 부활할까과학동아 l2017년 04호
- 다른 경우도 있다. 배체수는 생물의 염색체 수로, 흔히들 ‘2n’이나 ‘n’ 등으로 표현한다. 세레비지애와 함께 술 양조에 많이 사용되는 또 다른 효모, 사카로마이콥시스 피불리게라(Saccharomycopsis fibuligera)가 그렇다. 이 효모는 전분, 셀룰로오스, 단백질 등을 분해하는 효소가 많아 누룩 속 다른 ... ...
-
- Part 3. 물질 속에서 웜홀을 발견하다과학동아 l2017년 04호
- 않다. 원은 회전변환에 대해 대칭성이 크고 사각형은 대칭성이 작다. 이를 수학적으로 표현하면, 어떤 집합에 있는 원소들이 특정한 연산(변환)에 대해 닫혀 있다는 뜻이다.닫혀 있다는 말은 연산을 했을 때 나오는 값이 집합에 포함된 원소를 벗어나지 않는다는 말이다. 회전처럼 연속적인 값을 ... ...
-
- Part 1. 역설의 정체를 밝혀라수학동아 l2017년 04호
- 머릿속에 왠지 맞을 것 같은 답이 떠올랐다면 우리는 그 답을 ‘직관적으로 맞다’고 표현한다. 그러나 직관적으로 고른 답이 늘 정답은 아니어서 직관만 믿다가는 역설적인 문제를 영영 풀 수 없다. 과연 당신의 직관은 얼마나 믿을 만할지, 세 가지 퀴즈를 풀어 가늠해 보자. 첫 번째 문제 당신이 ... ...
-
- [Culture] 이상한 용손 이야기과학동아 l2017년 04호
- 아니라 일종의 관용적인 표현이라고 생각했다. ‘반 짐승 같은 놈’과 비슷한 어감의 표현이라고 여겼던 것이다. 그 말을 들었을 때는 ‘용’이 뭔지도 잘 몰랐고 시간이 흘러 용이 뭔지 알게 된 후에는 그냥 사납고 무서운 동물의 상징으로 아버지께서 고르신 비유라고 생각했다.아버지는 어머니와 ... ...
-
- Part 3. 인공지능도 역설을 이해할까?수학동아 l2017년 04호
- 참거짓을 결정한다골드바흐의 추측은 ‘2보다 큰 모든 짝수는 두 소수의 합으로 표현가능하다’인데, 18세기에 만들어졌지만 아직까지도 참이라고 할 수도, 거짓이라고 할 수도 없는 명제로 남아있다.연속체 가설은 ‘자연수의 집합보다 크고 실수의 집합보다 작은 집합을 찾을 수 없다’는 것이다. ... ...
-
- Part 2. 양자역학, 인류의 물질관을 재정립하다과학동아 l2017년 04호
- 있다. 자성체에 존재하는 스커미온을 예측하는 데 기여했다. 최근에는 텐서 그물망으로 표현되는 양자 상태를 연구하고 있다. +더 읽을거리in 과학동아 31년 기사 디라이브러리(정기독자 무료)‘‘기묘한’ 2차원 세계를 설명한 개척자들’(2016.11)dl.dongascience.com/magazine/view/S201611N028▼관련기사를 계속 ...
이전11711811912012112212312412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