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표현"(으)로 총 4,880건 검색되었습니다.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말과 친구가 되는 롤플레이 테마파크 위니월드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2호
- 양손에 들었어요. 컨트롤러는 현실의 움직임을 인식해 가상현실 속에서 그대로 표현하는 기기예요. 친구들이 컨트롤러를 조종하면 실제로 우주에서 떠다니는 것처럼 화면이 바뀌지요. 버튼을 누르고 손을 앞으로 뻗으면 앞쪽으로, 몸 방향으로 가져오면 뒤쪽으로 이동하는 거예요.VR기기로 사방을 ... ...
- [비주얼 과학교과서] 파부르야, 힘내!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2호
- 물을 모두 모으면 얼마나 될까요?미국지질조사국(USGS)이 지구의 물을 모두 모아 그림으로 표현했어요. 그런데 거대한 지구에는 겨우 한 방울로 보이는 물이 있었답니다. 게다가 물의 대부분인 97.5%는 마실 수 없는 소금기가 있는 물이었고, 빙하처럼 얼어 있는 물이 1.76%, 지하수가 0.76%를 차지했지요. ... ...
- 마음의 소리수학동아 l2017년 02호
- 소리는 자신과 가족, 심지어 기르는 강아지까지 우스꽝스럽게 재해석해 우리가 현실에서 표현하지 못하는 ‘마음의 소리’를 대변해 준다. 그래서 사람들은 이 웹툰을 보며 미소를 머금고, 때로는 폭소를 터뜨린다. 마음의 소리 TV판에서 방영된 ‘쉰(50)세계’ 에피소드에서 오가는 대사다. ... ...
- Part 2. 정보의학시대 논쟁, DNA 공공 데이터베이스과학동아 l2017년 02호
- 전체의 1%도 채 되지 않는 것으로 추정된다. 미국 하버드대 의대 아이작 코헤인 교수는 “표현형(형질)을 알지 못하면 게놈은 별로 소용이 없다”고 말하기도 했다(‘벌거벗은 유전자’ 中).어떤 유전자가 특정 질병을 유발하는지, 또 어떤 유전자가 머리 색과 눈 색깔을 결정하는지 등 유전자와 ... ...
- Part 3. 수명의 열쇠는 텔로미어?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2호
- 또한 노화의 일부로 보는 거예요.그렇다면 왜 사람들은 20~30대가 돼서야 ‘늙는다’는 표현을 사용하는 걸까요? 그 이유는 태어난 뒤 어른이 되기까지는 성장이 더욱 활발하게 일어나기 때문이에요. 키와 몸집이 자라는 것은 물론, 2차 성징을 겪으며 어른이 되는 거지요. 그러다 24세 즈음에 우리 ... ...
- 집중하는 시간이 행복한 수학자수학동아 l2017년 02호
- 특이한 일이 일어날 거라고 말했답니다. 이런 상황을 수학적으로 ‘불안정하다’라고 표현하는데, 저는 전하를 띤 구형 블랙홀의 내부가 불안정한 이유를 수학적으로 증명한 거고요.연구에 블랙홀 이야기가 많이 나오지만 어렸을 때부터 블랙홀과 우주를 좋아했던 건 아니었어요. 대학원에서 만난 ... ...
- [에디터 노트] 모두 다 생명과학동아 l2017년 02호
- 싶기도 합니다. 이 숨막히는 사건이 ‘살처분 3000만 마리’라는 몇 마디로 간명하게 표현될 수 있다는 사실에, 숫자를 발명한 인류의 추상화 능력이 야속하기도 합니다.생명의 곡(曲)이 귓가에 울립니다. 도래하지 않은, 다른 종류의 노래입니다. 몇 만 년 동안 자신 외의 인류를 만나본 적 없는 ... ...
- [포커스 뉴스] 천경자 ‘미인도’ 진위 논란… 과학은 알고 있다?과학동아 l2017년 02호
- 다중스펙트럼 카메라로 촬영한 이미지를 디지털화한 뒤, 화가가 전체적으로 빛을 어떻게 표현했는지 관찰했다. 또 눈의 흰자위에 입힌 하얀 안료의 두께를 측정해 붓질의 스타일을, 눈의윤곽선 각도를 재 선의 스타일을 알아냈다. 총 일곱 가지 사항을 관찰했다.그 결과 미인도를 제외한 다른 ... ...
- [수학뉴스] ‘모아나’ 속 바다를 만든 건 수학자!수학동아 l2017년 02호
- 수학자가 영화 ‘모아나’에서 진짜보다 더 진짜 같은 바다를 만들었습니다. 조셉 테란 미국 캘리포니아대학교 로스앤젤레스캠퍼스(UCLA) 수학과 교수팀과 월트 디즈니 소 ... 떠 있는 줄 알았을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수학 덕분에 모아나가 겪은 역경을 생생하게 표현할 수 있었습니다 ... ...
- 밸런타인 데이의 로맨틱한 수학적 고백법수학동아 l2017년 02호
- 서울대학교 익명게시판 대나무숲에 올라온 게시글이었다. 함수를 활용해 자신의 마음을 표현했다. 상대방이 x이고, 자신이 y=f(x)이면서 증가함수이고 싶다는 건 상대방에 맞춰 함께 사랑을 키워가겠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이계도함수★조차 항상 양이라는 말은 서로 좋아하는 마음이 더 빠르게 ... ...
이전11912012112212312412512612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