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너비
넓이
나비
가로
면적
더위
폭염
뉴스
"
폭
"(으)로 총 1,393건 검색되었습니다.
[수학교육 논쟁] 수학을 제대로 가르치자
2015.09.16
있지만 이는 기우에 불과하다. 수학이 쉬워지면 일단 중학교 이하의 선행 사교육이 대
폭
줄어들 것이다. 지금 사교육의 최정점은 중학생들이 고등학교 수학 선행학습이다. 이것이 비정상이기 때문에 당장 줄여야 하며, 쉬워지는 수학 시험에 대한 영향력 또한 줄여야 한다. 평가가 곧 시험이라는 ... ...
고양이 눈동자가 세로로 길쭉한 이유
2015.09.07
심도가 얕아져 양안시의 입체영상 해상도가 떨어짐을 의미한다. 따라서 눈동자의 가로
폭
을 좁혀, 즉 세로형 눈동자가 돼 심도를 깊게 해서 이 효과를 상쇄했다는 것이다. ●파노라마 시야에 최적화된 구조 한편 초식동물의 가로형 눈동자에 대해 저자들은 천적을 감시하는데 최적화된 결과라고 ... ...
일기예보는 얼마나 더 정확해질까?
2015.09.06
도약할 수 있는 새로운 시대가 열릴 것으로 기대한다”며 “줄기세포부터 우주개발까지
폭
넓은 투자 의지를 나타내고 있다”고 밝혔다. 실제로 이란 정부는 3억 달러(약 3540억 원)를 투자한 이란 최대의 기초과학연구 프로젝트를 시행할 예정이라고 밝힌 바 있다. ... ...
南北 대화 모드, 과학계에도 온풍 부나
2015.08.28
준비해야 한다”고 말했다. 산업 표준도 개혁이 필요하다. 예컨대 남북의 철도는 선로
폭
은 같지만 전압이 다르다. 우리 열차가 북한 땅을 달리려면 전압 변화에 대응하는 장치를 개발해 열차에 붙여야 한다. 또 통일 이후에는 러시아까지 열차를 연결해야 하는 만큼 여기에도 대응해야 한다. ... ...
PART 01. 태양계 행성 여행자를 위한 안내서
과학동아
l
2015.08.27
명왕성을 처음 발견한 천문학자 이름을 따 이 지역을 ‘톰보 영역’이라고 부른다)의
폭
은 2000km이다. 명왕성의 하트 지형은 태양 빛을 반사해 명왕성을 더 밝게 보이게 한다. 현재는 궤도상 명왕성과 태양이 점점 가까워지고 있어 당분간은 하트의 크기가 점점 더 줄어들 전망이다. 하트 지형을 ... ...
수질 감시에는 ‘깡통 로봇’이 장땡
2015.08.21
감시하는 센서 로봇이 완성 단계에 이르렀다”고 밝혔다. 이 로봇은 높이 54cm,
폭
20cm 정도로 UC버클리의 센서 로봇에 비해 다소 큰 편이다. 이는 지형이 복잡한 국내 환경에 적합하게 설계했기 때문이다. 최 연구원은 “높은 교량 위에서 집어던져도 파손되지 않을 만큼 튼튼하게 만들었다”면서 ... ...
해저 6000m 누빌 韓 두 번째 심해 무인 로봇
2015.08.14
중국은 4월 심해 연구선 ‘장젠(張健)’호를 건조하기 시작했다. 장젠호는 길이 97m,
폭
17.8m의 대형 탐사선이다. 수심 1만1000m까지 탐사할 수 있는 유인 잠수정 ‘레인보 피시’를 싣고 다닐 모선(母船)이다. 일본도 1만 m급 심해 잠수정을 개발하기로 했다. 일본해양연구개발기구(JAMSTEC)는 2월 자원 ... ...
화학전지+태양광=하이브리드 전지
2015.08.03
소형 전자기기용 배터리에 사용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연구진은 태양전지의 활용
폭
을 넓히기 위해 일반 2차전지에 태양전지를 일체형으로 부착해서 충전할 때 전기와 태양에너지를 동시에 활용하는 방법을 고안했다. 이를 위해 연구진은 요오드화리튬전지 윗부분에 색소를 이용해 태양빛을 ... ...
고교 1학년 성적이 3학년까지 계속 간다? NO!
동아일보
l
2015.07.23
그러나 고교생들의 3년 치 내신성적 추이를 분석해보니 고교 3년 동안 내신 등급의 변화
폭
이 상당히 큰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3명 중 한 명은 1학년 때 5등급대 이하였던 내신이 3학년에는 수도권 대학 지원이 가능한 4등급 이상으로 도약한 것으로 조사됐다. 입시정보기관 진학사가 2011∼2014년에 ... ...
양말처럼 편한 구두, 3D 스캐너로 만든다
2015.07.22
시일 안에 제작할 수 있는 기술을 국내 연구진이 개발했다. 맞춤 구두 제작기간을 큰
폭
으로 줄일 수 있어 수제 구두산업 발전으로 이어질 전망이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퇴직 과학자인 조맹섭 박사는 3D 스캐너와 3D프린팅 기술을 활용해 맞춤형 구두제작 기술을 개발했다고 22일 밝혔다. ... ...
이전
117
118
119
120
121
122
123
124
12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