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너비
넓이
나비
가로
면적
더위
폭염
뉴스
"
폭
"(으)로 총 1,393건 검색되었습니다.
“생물다양성 보존은 지구를 지키는 길”
어린이과학동아
l
2015.03.25
지정해, 유럽 전역으로 연결된 약 12,500km의 생태 띠로 키운 독일의 예를 들었다. 또 “4km
폭
의 DMZ는 인간이 이동하는 통로 몇 개만으로도 쉽게 분절되어 생물다양성을 잃을 것”이라며, “통일이 되더라도 이 생태 띠는 반드시 보존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최 원장은 강연을 마치며 “앞으로는 ... ...
두둥! 그래핀 위에서 저절로 자라는 나노와이어 발견
2015.03.24
나노리본’을 만드는 데 성공했다. 그래핀 나노리본이란 평면 형태의 그래핀 표면을
폭
이 10nm 정도인 좁은 띠 형태로 만든 것으로 그래핀 자체가 도체임에도 불구하고 반도체와 같은 특징을 나타내는 특징이 있다. 하지만 제작방법이 까다롭다는 단점이 있었다. 연구진은 금 나노와이어가 생성된 ... ...
미래형 3차원 반도체 제조법 발견
2015.03.16
입체로 구성할 수 있는 방법을 국내 연구진이 개발했다. 반도체 용량이나 속도를 큰
폭
으로 늘릴 수 있어 각종 전자제품의 성능 개선에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박원일 한양대 신소재공학과 교수팀은 지름이 나노미터(nm=10억분의 1m) 정도에 불과한 산화아연 막대의 지름과 길이를 자유롭게 ... ...
4D 프린팅이란? “물체가 스스로 조립된다는 점에서 3D 프린팅보다 한 단계 진화”
동아닷컴
l
2015.03.16
PNAS)’에 발표했다. 현재 자기조립 기술은 더 정교해져 암 치료에까지 활용
폭
을 넓히고 있다. 다비드 그라시아스 미국 존스홉킨스대 교수팀은 몸속에서 스스로 조립돼 암세포 하나를 집어낼 수 있는 장치를 개발했다고 지난해 ‘나노 레터스’에 발표했다. 4D 프린팅은 국방 분야에서도 활용 가치가 ... ...
휴대용 초음파 검사기 가능해진다
2015.03.02
무전원 신호 증
폭
이 가능한 음향 증
폭
구조물의 모습. - 한국기계연구원 제공 전기가 없이도 소리를 최대 10배까지 크게 증
폭
시킬 수 있는 기술을 ... 지난해 12월 11일자에 게재됐다. 송경준 선임연구원이 새롭게 개발한 무전원 신호 증
폭
장비를 들어 보이고 있다. - 한국기계연구원 ... ...
3D 프린팅 넘어 ‘4D 프린팅’ 온다
2015.02.13
- 미국 존스홉킨스대 제공 현재 자기조립 기술은 더 정교해져 암 치료에까지 활용
폭
을 넓히고 있다. 다비드 그라시아스 미국 존스홉킨스대 교수팀은 몸속에서 스스로 조립돼 암세포 하나를 집어낼 수 있는 장치를 개발했다고 지난해 ‘나노 레터스’에 발표했다. 문명운 한국과학기술연구원 ... ...
인터넷 100배 빨라지고 뇌 혈관 손금처럼 본다
2015.02.05
받은 ‘천연물 신약 폐질환 치료제’를 소개했다. 재료연구소는 가볍고 튼튼하지만
폭
발위험이 있는 마그네슘을 친환경적으로 처리한 기술을 소개했다. 학생 관람객들이 행사 체험시설을 이용하며 즐거워하고 있다. - 국가과학기술연구회 제공 이날 행사는 10대 기술 발표 이외에도 다양한 ... ...
고효율 자가발전 연료전지 성능 UP!
2015.02.04
발전 효율이 낮은 점이 상용화의 걸림돌이 돼 왔다. 국내 연구진이 연료전지의 효율을 큰
폭
으로 끌어 올릴 수 있는 신기술을 새롭게 개발했다.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서울서부센터 한옥희 책임연구원팀은 미국 산타바바라 캘리포니아대(UC산타바바라) 한송이 교수팀과 공동으로 연료전지의 ... ...
나스카라인 이번에는 해변에 생겼다
2015.01.12
그림을 그릴 수 있는 로봇을 개발했다. 로봇의 이름은 ‘비치봇’으로 길이 60cm,
폭
40cm로 가정용 청소기만 하다 . 바닷가를 거니는 로봇인 만큼 연구팀은 로봇을 바다거북이 모양으로 디자인 했다. '비치봇'이 해변에 그린 거북이 그림 - ETHZ 제공 거북이 모양을 한 '비치봇'의 모습. - ETHZ 제공 ... ...
남한 곳곳에 北 땅굴 있다고? 그건 ‘거짓말’
2015.01.09
되돌아오기도 한다. 박삼규 한국지질자원연구원 탐사개발연구실장은 “땅굴은
폭
이 2m 이하로 좁은 편이지만 전파 분석으로 찾을 수 있다”면서 “비슷한 속도의 전파끼리 등고선처럼 서로 이으면 땅굴이 있는 부분은 확실히 둥글게 나타난다”고 말했다. 지질자원연구원은 현재 육군의 땅굴 ... ...
이전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