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선비
학장
지식인
전문가
현자
스콜라
장학생
스페셜
"
학자
"(으)로 총 1,498건 검색되었습니다.
[2016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8) 힉스 메커니즘을 제안한 토머스 키블
2016.12.21
것이다. 2012년 힉스입자가 검출된 뒤 그 이론적 바탕이 되는 힉스 메커니즘을 제안한 물리
학자
들이 수상하는 게 기정사실화된 상황에서 다섯 명 가운데 선택을 해야 했기 때문이다. 힉스 메커니즘은 1964년 학술지 ‘피지컬리뷰레터스’에 몇 달 간격으로 실린 논문 세 편에서 각각 독립적으로 ... ...
[2016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7) 메타개체군 연구를 심화시킨 ‘일카 한스키’
2016.12.20
거부했다. 후배 과
학자
들이 하루 빨리 경력을 쌓아 독립하기를 바랐기 때문이다. 뛰어난
학자
이자 존경받는 스승으로 학계에서 널리 인정받고 있던 한스키는 그러나 2014년 암 진단을 받았다. 그 뒤 그는 자신의 삶과 연구를 뒤돌아보는 교양과학서를 집필했지만 아쉽게도 출간을 보지 못하고 지난 ... ...
[2016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4)생역학의 개척자, 맥네일 알렉산더
2016.12.16
McNeill Alexander)가 지난 3월 21일 82세로 작고했다. 1934년 북아일랜드 리즈번에서 도시공
학자
로버트 알렉산더와 작가 자넷 맥네일 사이에서 태어난 맥네일 알렉산더는 생물 교사의 영향으로 일찌감치 생물학에 눈을 떴다. 열여섯 살 때 방의 옷장 위에 둥지를 튼 새를 관찰해 이듬해 ‘산란기 울새의 ... ...
[2016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3)계산화학의 선구자, 월터 콘
2016.12.15
써서 나트륨 격자 안에 있는 전자의 에너지를 계산하는데 성공했고 그 뒤 화
학자
들이 이론연구에 본격적으로 적용하고 컴퓨터의 성능이 급격히 향상되면서 계산화학 분야가 꽃을 피웠다. 월터 콘은 이 업적으로 1998년 노벨화학상을 받았다. ※ 필자소개 강석기. 서울대 화학과와 동대학원을 ... ...
[2016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2)게임이론의 개척차 ‘로이드 섀플리’
2016.12.13
때까지 과정을 반복하면 가장 안정한 매칭이 이뤄진다. 1970년대 섀플리는 예일대의 경제
학자
허버트 스카프와 함께 물물교환(barter exchange)에 대해 연구했고 훗날 신장이식의 알고리즘을 개발하는데 기초가 됐다. 내쉬와 멀어진 섀플리는 그러나 내쉬가 조현병으로 정신이 무너지는 모습을 ... ...
[지뇽뇽의 사회심리학 블로그] #촛불시위 승리 원동력은? ‘분노’ vs ‘자부심’?
2016.12.13
action)에 대해 물었다. 두 번째 설문에서는 기본적으로 같은 질문에 ‘집단 행동의 성과-
학자
금 폐지-에 대해 얼마나 자부심(pride)을 느끼는지’, 그리고 ‘실패-소송에서 진 것-에 대해 얼마나 분노(anger)를 느끼는지’에 대해 추가적으로 물었다. 그 결과 우선 쉽게 예측할 수 있듯이 집단 행동에 ... ...
[지뇽뇽의 사회심리학 블로그]자기비하 그만! ‘#너그러워지기’
2016.12.06
‘넌 이제 끝장이야’까지 다른 누구보다 내가 나를 심하게 몰아붙이기도 한다. 심리
학자
크리스텐 네프(Kristin Neff)는 이렇게 많은 사람들이 특히 삶이 어려워질 때, 스스로를 보듬지는 못할망정 누구보다 앞장서서 자기 자신을 비난하고 짓밟는다는 사실을 주목했다. 그리고 일련의 연구를 통해 ... ...
뇌 속 면역 담당한 미세아교세포의 두 얼굴
2016.11.23
상징 메치니코프 타계 100주기’ 참조.) 메치니코프는 노벨상까지 받은 저명한 과
학자
이지만 신문에 글도 많이 기고하고 대중과학서적도 여러 권 냈다. 그 가운데 대표작이 1908년 출간한 ‘수명 연장’으로 2년 뒤 영어판이 나왔다. 읽어보니 글 솜씨가 보통이 아닌데 솔직히 찰스 다윈보다도 한 수 위 ... ...
사이코패스가 리더가 되면 어떤 일이 벌어질까?
2016.11.22
카리스마틱한 성격이었을 것이라고 평가했을 가능성 등이 그것이다. 하지만 그럼에도
학자
들로 하여금 성격 특성을 평가하도록 할 때 연구의 목적을 알리지 않았고 또 다양한 문항들을 섞어 배치함으로서 특정 성격 특성에 대한 조작이 쉽지 않았다는 점, 객관적인 성과 지표들에서도 일관적인 ... ...
자연 속에서 살아있는 과학을 체험하다
과학기술인공제회
l
2016.11.17
"반드시 1등을 하고 싶고, 나중에 생태
학자
가 되고 싶어요"라는 참여 소감을 밝혔다. '생태
학자
'라니 이름도 생소한 학문 분야에 학생들을 푹 빠지게 한 이 프로그램은 대체 뭐란 말인가? 과학기술인공제회에서 회원을 대상으로 진행하고 있는 '과학기술인 가족과학캠프'의 '에코다이브'라는 행사로 ... ...
이전
117
118
119
120
121
122
123
124
12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