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학자"(으)로 총 1,503건 검색되었습니다.
- [지뇽뇽의 사회심리학 블로그] #촛불시위 승리 원동력은? ‘분노’ vs ‘자부심’?2016.12.13
- action)에 대해 물었다. 두 번째 설문에서는 기본적으로 같은 질문에 ‘집단 행동의 성과-학자금 폐지-에 대해 얼마나 자부심(pride)을 느끼는지’, 그리고 ‘실패-소송에서 진 것-에 대해 얼마나 분노(anger)를 느끼는지’에 대해 추가적으로 물었다. 그 결과 우선 쉽게 예측할 수 있듯이 집단 행동에 ... ...
- [지뇽뇽의 사회심리학 블로그]자기비하 그만! ‘#너그러워지기’2016.12.06
- ‘넌 이제 끝장이야’까지 다른 누구보다 내가 나를 심하게 몰아붙이기도 한다. 심리학자 크리스텐 네프(Kristin Neff)는 이렇게 많은 사람들이 특히 삶이 어려워질 때, 스스로를 보듬지는 못할망정 누구보다 앞장서서 자기 자신을 비난하고 짓밟는다는 사실을 주목했다. 그리고 일련의 연구를 통해 ... ...
- 뇌 속 면역 담당한 미세아교세포의 두 얼굴2016.11.23
- 상징 메치니코프 타계 100주기’ 참조.) 메치니코프는 노벨상까지 받은 저명한 과학자이지만 신문에 글도 많이 기고하고 대중과학서적도 여러 권 냈다. 그 가운데 대표작이 1908년 출간한 ‘수명 연장’으로 2년 뒤 영어판이 나왔다. 읽어보니 글 솜씨가 보통이 아닌데 솔직히 찰스 다윈보다도 한 수 위 ... ...
- 사이코패스가 리더가 되면 어떤 일이 벌어질까?2016.11.22
- 카리스마틱한 성격이었을 것이라고 평가했을 가능성 등이 그것이다. 하지만 그럼에도 학자들로 하여금 성격 특성을 평가하도록 할 때 연구의 목적을 알리지 않았고 또 다양한 문항들을 섞어 배치함으로서 특정 성격 특성에 대한 조작이 쉽지 않았다는 점, 객관적인 성과 지표들에서도 일관적인 ... ...
- 자연 속에서 살아있는 과학을 체험하다과학기술인공제회 l2016.11.17
- "반드시 1등을 하고 싶고, 나중에 생태학자가 되고 싶어요"라는 참여 소감을 밝혔다. '생태학자'라니 이름도 생소한 학문 분야에 학생들을 푹 빠지게 한 이 프로그램은 대체 뭐란 말인가? 과학기술인공제회에서 회원을 대상으로 진행하고 있는 '과학기술인 가족과학캠프'의 '에코다이브'라는 행사로 ... ...
- 문학 바깥에도 문학이 있다과학기술인공제회 l2016.11.17
- 쓰였고 '바람만이 아는 대답(Blowin' in the Wind)' 이 36개의 논문에 쓰였다고 한다. 이렇게 과학자들이 밥 딜런의 노래를 자신의 연구에 인용하는 것은 1960 ~ 1970년대에 그의 음악을 들으며 자랐던 학생들이 1990년대 이후 사회의 중추가 되면서 그의 연구논문에 딜런의 문학적 서사를 인용한 것으로 보인다. ... ...
- 백인 미국인은 한국인을 어떻게 볼까?2016.11.15
- 우리의 감정과 인식에만 기대어 세상을 살만하게 만드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보는 학자들이 있다. 차라리 인권을 ‘외우게’ 하는 게 낫지 않을까. ‘저 사람도 인간의 범주에 들어간다면 당신이 그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고 어떻게 느끼든지 그 사람은 천부적인 권리를 가지고 있으며 당신이 그 ... ...
- 사이비 종교에 빠지면 빠져나오지 못하는 이유2016.11.09
- Graham & Haidt, 2010). 이렇게 종교의 근본적 기능을 집단의 화합을 위한 장치로 보고 있는 학자들은 다양한 종교적 ‘의식’들의 기능에도 주목한다. 연구에 의하면 여러 사람들이 싱크로 된 움직임을 할 경우 싱크로 되지 않은 행동을 할 때 비해 상호 호감, 신뢰, 협동심, 희생정신이 증가하는 현상이 ... ...
- ‘이해하는 것’과 '행동하는 것’은 별개!2016.11.05
- 상대방을 돕고싶다고 생각했을 때에만, 높은 이해도가 반응성과 관련을 보였다. 심리학자 Reis에 의하면 반응성은 다음의 세 가지 요소로 이루어진다. 1)상대의 욕구, 가치관, 정체성 등에 대한 정확한 이해(understanding)와 이에 대한 2)존중/인정(validation), 3)상대의 행복을 위한 보살핌 및 애정의 표현 ... ...
- 똑똑한 인간들이 왜 미신에 빠지는 걸까?2016.11.01
- 영향이 있게 아닐까 생각해볼 수 있다. 바로 불안과 불확실성이 그런 요소이다. 심리학자 Keinan에 의하면 일례로 말레이시아의 어부들의 경우 좋은 날씨에 안전하고 가까운 해역으로 낚시를 나갈 때는 별다른 주술적 의식을 행하지 않지만, 안 좋은 날씨에 먼 바다로 나갈 경우 다양한 의식을 ... ...
이전11811912012112212312412512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