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학자"(으)로 총 1,503건 검색되었습니다.
- 피할 수 없을 땐 자기합리화?!2016.07.05
- 심지어 그 불행의 내용이 불합리하고 비도덕적이라고 해도 말이다. 스탠포드 대학의 심리학자 Kristin Laurin과 동료들은 캐나다에 사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다음과 같은 실험을 했다. 한 그룹에게는 어떤 이유로 자신이 살고 있는 국가, 즉 캐나다에서 벗어나 외국으로 이민을 가는 것이 점점 어려워질 ... ...
- 그레고르 멘델을 변호하다2016.07.04
- 기념하자’라는 제목의 글에서 토레스는 멘델을 비롯해 현대유전학의 토대를 쌓은 과학자들의 업적을 시대에 맞지 않는다고 버리는 건 말이 안 될 뿐 아니라 이들의 결과는 여전히 유전현상을 설명하는데 최고라고 주장했다. 즉 유전학의 지평이 넓어지긴 했지만 멘델의 유전학이 여전히 유전학의 ... ...
- 가진 것이 줄어들수록 보수적이 되는 이유는?2016.06.28
- 만들며, 그러는 사이 정작 중요한 내부의 문제는 방치하도록 만들 수 있다. 관련해서 심리학자 Jost는 사람들은 위협이 존재하고 불확실성이 큰 상황에서 낯선 적보다 익숙한 적을 선호하는 현상을 보인다고 언급하기도 했다. 똑같이 나쁜 놈이라면 익숙한 나쁜 놈에게 당하는 것이 낫다고 여긴다는 ... ...
- 당신은 나르시시스트입니까2016.06.21
- 자존감을 유지하는 방법 중 가장 위태롭고 불안한 원천이라는 점을 기억하자. 심리학자 크로커(Crocker & Park, 2004)에 의하면 누가 뭐래도 흔들리지 않는 자기만의 기준, 예컨대 나는 미적 감각이 있으니까, 나는 화분을 잘 키우니까, 나는 동물과 잘 지내니까 등등의 내적 기준으로 스스로를 판단할 때 ... ...
- ‘호빗’의 조상, 70만 년 전에 존재했다.2016.06.20
- 6만 년 전으로 대폭 수정해야 한다는 내용이다. 호빗 발굴을 주도했던 울런공대학 고생물학자들의 연구로 여기에도 마이크 모우드 교수의 이름이 보인다. 연구자들은 당시 호빗의 뼈가 발굴된 지층을 면밀히 재조사한 결과 토양이 무너져 지층이 뒤섞였다는 걸 발견하고 주위의 보존이 잘 된 ... ...
- 우리는 노케미족으로 살 수 있나?2016.06.13
- 결국은 사용이 금지됐다. 다른 천연물질로는 결코 사향을 대신할 수 없다. 다행히(?) 화학자들이 다양한 합성 머스크 분자들을 합성해 오늘날에도 향수의 잔향에서 사향을 느낄 수 있다. 20세기 후반 향수의 유행도 자연에는 없는 새로운 화합물이 주도했다. 여름철에 인기인 마린 노트(marine note), 즉 ... ...
- 스티븐 호킹 “블랙홀에도 빠져나올 구멍 있다”동아사이언스 l2016.06.12
- 양자역학과 일반상대성이론 사이의 어긋난 지점을 완전히 해결하지는 못한 것이어서 과학자들 사이에서는 논란이 끊이지 않고 있다. 과학계에서는 이번 논문 역시 ‘양자역학적 일반상대성이론’에 이르기에는 아직 부족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 ...
- “참으면 더 좋은 걸 주지~” 마쉬멜로우 실험의 다른 이야기2016.06.07
- ‘권력’을 가진 사람들과 가지지 않은 사람들 간의 심적 여유의 차이이다. Keltner 등 학자들의 연구들에 의하면 권력감이 낮은 사람들은 비교적 당장의 생존에 급급한 편이고 때문에 비교적 근시안적인 판단을 내리기 쉽다고 한다. 반면, 권력감이 높은 사람들은 비교적 느긋하며, 도전 등 리스크를 ... ...
- 다윈의 나방 유전자 마침내 규명2016.06.06
- Wrath)’는 ‘분노의 포도(The Grapes of Wrath)’에서 따왔다. 스타인벡의 소설을 갖고 와 생물학자들을 폄훼한데 대해 스타인벡의 소설로 응수한 것이다(저자가 맛이 갔다고(sour)). ‘생명과학’과 ‘생태학’ 10판(각각 2012년과 2014년 9판이 나왔다)을 만들 때 이번 연구결과를 포함해 다윈의 나방 ... ...
- “부드러운 분야는 제가 최고입니다”IBS l2016.06.02
- 미국 국가과학재단(NSF)에서도 지원할 만큼 의미 있는 행사로, 10여 명의 세계적인 과학자들이 강사로 나서 10일간 70~80명의 젊은 연구자들과 열정적인 소통으로 연성물질 연구의 저변 확대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 * 본 콘텐츠는 기초과학연구원의 온라인 뉴스레터 IBS 뉴스레터에서 발췌한 ... ...
이전12212312412512612712812913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