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학자"(으)로 총 1,498건 검색되었습니다.
- 영국 과학, 스타일이 살아있네~2016.02.23
- 삶과 업적에 대해서는 ☞[2015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19)생명윤리 정책에 영향을 준 역사학자 ‘리사 자딘’ 참조). 이런 과정을 거쳐 이 기술이 안전하다고 판단한 HFEA는 2012년부터 대중을 상대로 MRT의 사회적, 윤리적 함의를 논의했고 긍정적인 방향으로 의견수렴이 이루어져 마침내 입법화에 성공한 ... ...
- ‘책임 회피’ ‘그럴만한 이유가 있었다’ 적반하장, 어떻게 행동하면 좋을까2016.02.16
- 하는 힘이 최종 결재자에게 있으니 말이다. 이런 의미에서 바우마이스터 등의 학자들은 의지, 자아(self)의 역할을 CEO나 조종사에 비유하기도 한다. 우리 마음은 비행기의 자동항법장치처럼 우리가 일일이 조종하지 않아도(그렇게 하지도 못하고) ‘알아서’ 흘러가지만 비행기도 때로 필요할 때,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260]아인슈타인도 두 번 놀랐을 중력파 검출 성공!2016.02.13
- ‘GW100916’이라고 명명했다. 이듬해 3월 14일 주최측은 이 신호가 가짜임을 발표해 과학자들을 실망시켰지만(물론 어느 정도 예상한 일이었겠지만), 라이고가 제대로 작동하는 시스템임을 확인시키면서 이어지는 업그레이드 작업에 박차를 가하게 됐다. 참고로 이번 진짜 중력파 사건은 ‘GW150914’로 ... ...
- 한 번 등돌린 사람, 다시 친해질 수 있을까2016.01.26
- 좌절은 더 많이 하고, 상처도 더 많이 받는다는 것이다. 이러한 일련의 연구들을 통해 학자들은 가능하다면 자신이나 타인이나 사람은 어느 정도는 변할 수 있으며 관계 또한 변할 수 있다고 생각해 보는 것이 좋다고 이야기 한다. 이를 관계에 대한 성장론적인 관점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내게 어느 ... ...
- 지카 바이러스와 소두증2016.01.25
- 이듬해 코빌린스키는 다시 아프리카 출장을 갔는데 우연히 텍사스대의 의학곤충학자 앤드류 해도우 교수를 만나 맥주를 마시며 담소를 나누다 미지의 감염에 대해 얘기했다. 그런데 해도우 교수의 할아버지가 바로 1947년 우간다에서 지카바이러스를 발견해 보고한 세 사람 가운데 한 명이었다. ... ...
- 꽃처럼 아름다운 눈결정에 담긴 비밀2016.01.18
- ‘그런가?’ 이 현상을 ‘발견하고’ 궁금해 할 독자들을 위해 얘기하면 놀랍게도 과학자들이 여전히 이 현상을 설명할 수 없다고 한다. 즉 세로축, 즉 습도에 따른 눈결정 형태의 변화는 그럴듯하게 설명할 수 있지만 가로축, 즉 온도에 따른 변화는 여전히 미스터리다. 우리가 전형적인 ... ...
- 암 발생의 ‘불운’ 가설 반박하는 논문 나와2016.01.11
- 보고 있다. 미국 존스홉킨스의대의 암유전학자 버트 보겔스타인 교수와 수리생물학자 크리스티안 토마세티 박사는 신체조직에 따라 암 발생률이 큰 차이를 보이는 현상에 의문이 들었다. 오늘날 암 발생의 주요 원인으로 널리 받아들여지고 있는 환경 요인과 유전 요인이 정말 그렇다면 이렇게 ... ...
- [2015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19)생명윤리 정책에 영향을 준 역사학자 ‘리사 자딘’2016.01.09
- 썼다. 이 가운데는 ‘The Curious Life of Robert Hook’(2003), ‘On a Grander Scale’(2002) 같은 과학자와 건축가(크리스토퍼 렌)의 전기도 있다. 자딘에게 저술가로 명성을 안겨준 대표작은 소비주의의 관점에서 르네상스를 재해석한 ‘Worldly Goods(상품의 역사)’(1996)로 그녀의 작품 가운데 유일하게 한국어판(2003 ... ...
- [2015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17)에이즈 환자 목숨 구한 면역학자 ‘윌리엄 폴’2016.01.07
- 소개합니다. ★윌리엄 폴(1936. 6.12 ~ 2015. 9.18) 수많은 에이즈 환자의 목숨을 구한 면역학자 윌리엄 폴 - Ronald Germain 제공 지금도 여전히 후천성면역결핍증(에이즈.AIDS)는 무서운 질병이지만 에이즈가 처음 등장한 1980년대와 환자가 급증한 1990년대는 ‘20세기 흑사병’으로 불리는 공포의 ... ...
- 성공전략 vs 실패전략, 어떤 전략이 내게 더 잘 맞을까2016.01.06
- 동기부여 되는지를 알고 자신에게 맞는 동기부여 전략을 선택하는 것이다. 예컨대 심리학자 Lockwood과 동료들의 연구에 의하면 향상동기가 높은 학생들은 성공한 사람을 보았을 때, 예방 동기가 높은 사람들은 실패한 사람들을 보았을 때 각각 “저 사람처럼 성공해야지” 또 “저 사람처럼 되지 ... ...
이전12412512612712812913013113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