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학자"(으)로 총 1,498건 검색되었습니다.
- [2015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7)공룡발굴에 헌신한 조피아 카일란-자우오로우스카2015.12.28
- 동서 냉전체제였음에도 서구학계와 교류를 갖기 위해 노력했다. 프랑스, 영국 고생물학자들과 공동으로 오늘날 설치류 비슷하게 생긴 소형 포유류인 네멕트바타르(Nemegtbaatar)와 출산바타르(Chulsanbaatar)의 두개골을 세밀하게 분석하는 등 포유류의 기원과 초기 진화 연구에 많은 기여를 했다. 2004년 ... ...
- [2015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4)레이저를 발명한 물리학자 ‘찰스 타운스’2015.12.24
- 거대질량블랙홀이 존재한다는 증거를 내놓기도 했다. 타운스는 여러 대통령의 과학자문을 맡아 과학정책 결정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 타운스는 과학과 종교가 서로 공존할 수 없다는 생각에 반대했는데, 둘 다 ‘존재라는 미스터리를 이해하고자 하는 욕망’에서 비롯한 활동이라고 봤기 ... ...
- [2015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3)대뇌피질뉴런 구조를 밝힌 뇌과학자 ‘버논 마운트캐슬’ 2015.12.23
- 끝내고 실험실로 출근했다고 한다. 그에게 일주일에 60시간을 일하지 못하는 신경과학자는 ‘파트타임근무자’였다고 한다. ※ 필자소개 서울대 화학과와 동대학원을 졸업했다. LG생활건강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근무했으며, 2000년부터 2012년까지 동아사이언스에서 기자로 일했다. 2012년 9월부터 ... ...
- ‘쿠크다스’ 심장 보듬는 칭찬 방법2015.12.22
- 타인에게 칭찬을 하면 우리 자신에게도 어떤 좋은 점이 있는지 알아보도록 하자. 심리학자 캐롤 드웩(Dweck)에 의하면 일반적으로 ‘넌 머리가 좋구나’같이 타고난 재능을 칭찬하기 보다 ‘노력을 참 많이 했구나’ 같이 행동과 성취 과정을 칭찬하는 편이 좋다고 한다. 그녀의 연구에 의하면 ... ...
- [2015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1)독일 과학계 구조조정을 이끈 ‘후베르트 마르클’ 2015.12.21
- 얻었다. 이듬해 다름슈타트공대 교수가 됐고 1974년 콘스탄츠대으로 옮겼다. 이처럼 학자로서 성공적인 삶을 살아가던 마르클은 같은 해 독일연구재단의 위원으로 선출되며 새로운 재능을 발견한다. 즉 과학행정가로서 탁월한 리더십을 발휘했던 것. 1986년 48세의 나이로 재단 최연소 회장으로 ... ...
- “내가 해 봐서 아는데~”의 함정2015.12.15
- 사람들이 그 일을 처음 겪게 될 사람들을 잘 이해할 거 같다고 여기곤 한다. 하지만 심리학자 Campbell과 동료들의 연구에 의하면 반대의 현상이 관찰된다고 한다. 특정 나쁜 경험이나 좋은 경험에 자주 반복되어 노출된 사람들은 (반복적인 농담이나 소음 등) 거기에 '익숙'해져버려서 그걸 처음 겪는 ... ...
- 거짓말을 잘하고, 지저분한 사람은 ○○○이 높다?2015.12.08
- 거짓말 뿐만 아니라 지저분함도 창의성과 관련을 보인다. 미국 미네소타대 심리학자 Vohs와 동료들의 연구에 따르면 책상 환경이 사람들의 창의성에 영향을 미친다. 말끔하게 정리정돈이 잘 된 깨끗한 책상에 앉은 사람들은 어질러진 책상에 앉은 사람에 비해 자선행사에 더 많은 액수의 돈을 기부할 ... ...
- [KSTAR 그것이 알고 싶다 7] 숫자로 보는 핵융합, "1억 도"2015.11.25
- 초고온의 플라즈마 상태가 필요한 것이다. 태양에너지의 원리는 1939년 독일의 물리학자 한스 베테가 처음 밝혀내, 핵융합이 현실적인 에너지원으로 주목받기 시작한 전환점이 되어 주기도 했다. ● 1억℃, 어떻게 만들고 어디에 담을까 문제는 1억℃의 플라즈마를 어떻게 만들고 어디에 ... ...
- 파이(π)와 함께 춤을...2015.11.23
- 51년 전인 1964년 힉스메커니즘을 제안한 논문을 발표한 미국 로체스터대의 이론물리학자 칼 헤이건이라는 것이다. 1964년 학술지 ‘피지컬리뷰레터스’에는 불과 몇 달 사이 힉스메커니즘을 제안한 논문 세 편이 잇달아 발표됐다. 헤이건과 제럴드 구럴닉, 톰 키블의 논문은 세 번째였고 그래서인지 ... ...
- '사교위상수학과 플로어 상동성' 분야의 기본 교과서 출간IBS l2015.11.17
- 활발하다. 예를 들어 그로모프가 사교다양체를 연구할 수 있는 탐사체(probe)가 초끈이론학자 에드워드 위튼의 비선형 시그마모델(nonlinear sigma model)에서 다루는 대상과 실제로 동일하다는 사실을 알게 됐는데, 이로써 1990년대 초 그로모프-위튼 이론이 만들어졌다. 현재 사교위상수학과 초끈이론은 ... ...
이전12612712812913013113213313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