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선비
학장
지식인
전문가
현자
스콜라
장학생
스페셜
"
학자
"(으)로 총 1,503건 검색되었습니다.
생물권의 암흑물질 박테리오파지를 주목하라
2015.11.02
처음으로 파지요법 임상에 들어갔다. - 위키피디아 제공 한편 당시 러시아의 미생물
학자
조지 엘리아바는 오늘날 조지아(그루지아)의 수도인 트빌리시에서 연구하다 1918년 파스퇴르연구소에서 연수할 기회를 얻었고 3년간 머물렀다. 이때 데렐을 만났고 파지요법에 대해서도 알게 됐다. 1923년 ... ...
기억을 잃는다는 것
KISTI
l
2015.10.24
않는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아이들은 그 곳에 갔던 사실조차 기억하지 못한다. 정신분석
학자
지그문트 프로이트가 말한 ‘아동 기억상실증’이다. 기억은 성인이 되서도 잃는다. 흔한 예가 만취 상태에서 한 말이나 행동을 기억하지 못하는 것. 술이 깬 뒤에 아무리 기억해 보려 애써 봐도 ... ...
['고리 1호기' 특집 (1)] 한수원 김현준 안전점검 차장 “고리 1호기에 바친 땀과 열정"
한국원자력문화재단
l
2015.10.23
전공하고 유학까지 갔다온 친구가 원전에 대해 불신하는 데에는 할 말이 없었어요.
학자
는 수많은 실험 중 1%만 성공해도 성공하지만 엔지니어는 0.01%만 실패해도 실패한다는 게 우리 원전 기술인들의 신념입니다.” ‘오래된 미래’의 시간을 향하는 ‘연금술사’의 꿈 한 시간여의 인터뷰가 ... ...
2030년에 미니 빙하기가 온다고?
KISTI
l
2015.10.20
‘마운더 극소기(maunder minimum)’라고 명명했다. 그 같은 현상을 기록한 19세기 영국인 천문
학자
E. W. 마운더의 이름을 딴 작명이었다. 그런데 지난 7월 영국 노섬브리어대학 연구팀은 2030년부터 2040년 사이에 ‘마운더 극소기’에 버금가는 ‘미니 빙하기’가 닥칠 것이라는 주장을 제기해 주목을 ... ...
화성 탐사의 심리학
2015.10.19
절망하지만 곧 정신을 차리고 다음 탐사일정(4년 뒤)까지 살아남을 방법을 고민한다. 식물
학자
인 마크는 전공을 살려 감자를 키우기로 했고 화학지식을 총동원해 농사에 필요한 물을 자체 생산한다. 농사가 잘 돼 희희낙락하지만 폭발사고로 감자밭이 날아가면서 시간과의 싸움이 시작된다. ... ...
신토불이 과학연구 노벨상 거머쥐다!
2015.10.06
청호소(靑蒿素)라고 불렀다. 바로 아르테미시닌이다. 중국 동진시대의 도
학자
이자 의약
학자
였던 갈홍. 투유유 교수는 갈홍이 남긴 문헌에서 개똥쑥 추출법의 영감을 얻어 아르테미시닌을 분리하는데 성공했다. 일본의 문헌에 있는 갈홍의 모습. - 위키피디아 제공 투 교수팀은 이 놀라운 ... ...
네가와트 시대 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15.10.01
협의 중이다. 미래의 DR은 어떤 모습일까. DR이 사물인터넷(IoT)과 만나면 미국의 경제
학자
제레미 리프킨의 말처럼 ‘제3의 산업혁명’을 일으킬지도 모른다. 세탁기, 냉장고, 에어컨처럼 분산돼 있는 기기 하나하나가 자체 통신 기능과 제어 가능한 센서를 갖춘다면, 신호를 받아서 스스로 전력을 ... ...
광물로 움직이는 세상, 우라늄
한국원자력문화재단
l
2015.09.25
기체 이온화 작용을 연구하는 등 최초로 방사 화학의 초석을 다졌다. 1938년에는 독일의 과
학자
오토 한과 프리츠 슈트라스만이 우라늄235에 중성자를 때리면 바륨의 동위원소가 생기면서 많은 양의 에너지가 나오는 핵분열 현상을 발견했다. 이 발견으로 우라늄은 원자력발전소의 연료와 원자폭탄의 ... ...
호모 날레디, 고인류학을 비추는 별이 될까
2015.09.14
핫스팟으로 다시금 주목을 받았다. 사실 남아공은 고인류학이 시작된 곳이다. 1924년 해부
학자
레이먼드 다트는 남아공에서 원시 인류인 ‘타웅 아이(Taung child)’를 발굴해 ‘오스트랄로피테쿠스 아프리카누스(Australopithecus africanus)’로 명명했다. 그러나 당시 유인원 화석이라며 인정받지 못했다. ... ...
호킹 “물체 정보는 ‘사건의 지평선’에 저장”
2015.08.26
것이다. 이기명 고등과학원 교수는 “호킹이 발표한 내용은 이미 1990년대에 다른
학자
가 제시한 것과 유사한 것으로 새로운 결과는 아니다”라고 말했다. ... ...
이전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13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