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학자"(으)로 총 1,503건 검색되었습니다.
- “내가 해 봐서 아는데~”의 함정2015.12.15
- 사람들이 그 일을 처음 겪게 될 사람들을 잘 이해할 거 같다고 여기곤 한다. 하지만 심리학자 Campbell과 동료들의 연구에 의하면 반대의 현상이 관찰된다고 한다. 특정 나쁜 경험이나 좋은 경험에 자주 반복되어 노출된 사람들은 (반복적인 농담이나 소음 등) 거기에 '익숙'해져버려서 그걸 처음 겪는 ... ...
- 거짓말을 잘하고, 지저분한 사람은 ○○○이 높다?2015.12.08
- 거짓말 뿐만 아니라 지저분함도 창의성과 관련을 보인다. 미국 미네소타대 심리학자 Vohs와 동료들의 연구에 따르면 책상 환경이 사람들의 창의성에 영향을 미친다. 말끔하게 정리정돈이 잘 된 깨끗한 책상에 앉은 사람들은 어질러진 책상에 앉은 사람에 비해 자선행사에 더 많은 액수의 돈을 기부할 ... ...
- [KSTAR 그것이 알고 싶다 7] 숫자로 보는 핵융합, "1억 도"2015.11.25
- 초고온의 플라즈마 상태가 필요한 것이다. 태양에너지의 원리는 1939년 독일의 물리학자 한스 베테가 처음 밝혀내, 핵융합이 현실적인 에너지원으로 주목받기 시작한 전환점이 되어 주기도 했다. ● 1억℃, 어떻게 만들고 어디에 담을까 문제는 1억℃의 플라즈마를 어떻게 만들고 어디에 ... ...
- 파이(π)와 함께 춤을...2015.11.23
- 51년 전인 1964년 힉스메커니즘을 제안한 논문을 발표한 미국 로체스터대의 이론물리학자 칼 헤이건이라는 것이다. 1964년 학술지 ‘피지컬리뷰레터스’에는 불과 몇 달 사이 힉스메커니즘을 제안한 논문 세 편이 잇달아 발표됐다. 헤이건과 제럴드 구럴닉, 톰 키블의 논문은 세 번째였고 그래서인지 ... ...
- '사교위상수학과 플로어 상동성' 분야의 기본 교과서 출간IBS l2015.11.17
- 활발하다. 예를 들어 그로모프가 사교다양체를 연구할 수 있는 탐사체(probe)가 초끈이론학자 에드워드 위튼의 비선형 시그마모델(nonlinear sigma model)에서 다루는 대상과 실제로 동일하다는 사실을 알게 됐는데, 이로써 1990년대 초 그로모프-위튼 이론이 만들어졌다. 현재 사교위상수학과 초끈이론은 ... ...
- 중성미자 변신은 무죄IBS l2015.11.16
- 나타났기 때문이다. 혹시 중성미자가 태양에서 지구로 오는 도중에 사라진 것일까. 과학자들은 이 수수께끼 같은 현상을 설명하기 위해 중성미자의 ‘진동변환’이란 가설을 도입했는데, 이는 세 종류의 중성미자가 서로 변환한다는 아이디어다. 예를 들어 태양에서 방출된 전자 중성미자의 ... ...
- [HISTORY] 우리나라 전기공학의 선구자, 한만춘KISTI l2015.11.14
- 1948년, 27살이라는 젊은 나이에 서울대학교 전기공학과 교수가 되면서 본격적인 전기공학자의 길을 걷기 시작했다. 1955년부터는 연세대학교 이공대학 전기공학과 교수로 근무하면서 초대 공학부장, 이공대학장, 산업대학원장 등을 역임했다. ■ 국내 최초 아날로그 컴퓨터 제작 한만춘 박사의 ... ...
- 백년대계가 낳은 값진 열매 동아사이언스 l2015.11.12
- 열악하다. 본격적으로 연구가 시작된 것도 2009년에 이르러서였다. 박 부원장을 비롯한 학자들의 집요한 설득의 결과였다. 다행히 2010년 해양수산부의 정식 과제로 기획되어 10여년의 사업기간을 설정하고 연구를 추진하여 우수과제로 선정될 만큼의 성과를 내기도 했다. “기상 분야도 마찬가지지만, ... ...
- 섬 모양을 통해 새로운 상상력 발현 동아사이언스 l2015.11.12
- 시작했다. 몇 개의 섬은 직접 이야기를 만들었지만 이내 부족한 부분을 깨닫고 인문학자를 만나 도움을 요청했다. 일단 100여 개의 섬 중 일반적인 형태의 40개를 추러 나갔다. 일련의 우여곡절 끝에 최영호 해군사관학교 인문학과 교수의 글이 더해져 2013년 ‘상상력의 마술상자, 섬’이라는 제목의 ... ...
- 태평양 한가운데 삶의 현장을 만나다 동아사이언스 l2015.11.12
- 아이들에게 알려줄 수 있어서 정말 의미 있는 시간이었다”고 소감을 밝혔다. 해양생물학자가 꿈인 최세진 군(경기 파주 한민고 1)은 “인터넷으로는 알 수 있는 게 제한적인데, 이곳에 와서 눈으로 해양생물을 보고 궁금한 점은 박사님께 직접 여쭤볼 수 있어서 정말 값진 시간이었다”며 “연구원 ... ...
이전12712812913013113213313413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