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선비
학장
지식인
전문가
현자
스콜라
장학생
스페셜
"
학자
"(으)로 총 1,498건 검색되었습니다.
젖은 어떻게 만들어질까?
2016.04.25
게놈의 재조정을 통해 젖 생산에 가장 효율적인 상태가 되는 건 아닐까. 18세기 생물
학자
칼 폰 린네는 동물을 분류할 때 젖분비를 주요 기준으로 삼아 ‘포유강’을 만들었다. 린네가 이번 연구에 대해 알게 된다면 흐뭇하게 고개를 끄덕일 것 같다는 생각이 문득 든다. ※ 필자소개 강석기. ... ...
호킹 “나노 돛단배로 ‘인터스텔라’ 계획 실현하겠다”
2016.04.13
돛을 단 ‘나노 크래프트’ 모형도. 영국의 이론물리
학자
스티븐 호킹이 러시아 부호 유리 밀너, 페이스북 최고경영자(CEO) 마크 저커버그 등과 함께 40년 후에 외계 행성 탐사에 성공하겠다는 계획을 내놨다. 호킹은 12일(현지시간) 미국 뉴욕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초소형 우주선 ‘나노 ... ...
현생인류 Y염색체에 네안데르탈인의 흔적 없다
2016.04.11
것이라는 가정은 ‘홀데인 법칙’과도 부합하다”고 주장했다. 영국의 저명한 유전
학자
존 홀데인이 1922년 한 논문에서 제안한 이 법칙은 다음과 같다. 여기서 이형염색체배우자란 성염색체가 다른 성, 즉 사람의 경우 XY인 남성을 뜻한다. “두 이종 동물 사이에서 태어난 새끼 가운데 한쪽 성(sex ... ...
완벽주의자일수록 일을 뒤로 미룬다?!
2016.04.05
완벽주의적인 만큼 수행 수준이 높으면 좋지 않을까 싶지만 현실은 그렇지 않다. 심리
학자
Flett의 연구에 의하면 완벽주의적인 사람들은 실수나 실패에 대한 불안이 비교적 높은 편이다. 그리고 불안은 보통 사람들의 수행을 깎아먹는 역할을 한다. 예컨대 단 1점이라도 깎이는 것을 허용하지 ... ...
피해의식과 강한 신념 그리고 집단의식이 테러를 만든다
2016.03.29
소중한 사람’, ‘자기 주변’ 등을 선택적으로 향하기 때문이다. 최근 유명한 인지심리
학자
Paul Bloom도 The Atlantic 지와의 인터뷰를 통해 비슷한 이야기를 했다. “공감/이타심 같은 감정이 세상을 정말 좋은 곳으로 만드는 걸까?”라는 질문에 대해 그는 “그렇지 않다”고 답했다. 이들 감정의 ... ...
10파운드 지폐 인물이 된 스코틀랜드 신사임당은 누구?
2016.03.28
명명했다. 아폴로 15호가 찍은 사진이다. - NASA 제공 1835년 소머빌은 독일의 천문
학자
캐롤라인 허셜과 함께 영국왕립천문학회 최초의 여성 회원으로 선출됐다. 소머빌은 ‘물리과학의 연관성에 대해’ 6판(1842)에서 천왕성의 공전궤도를 교란시키는 가상의 천체에 대해 언급했는데, 1846년 해왕성이 ... ...
소극적인 사람이 전염병에도 덜 걸린다?
2016.03.22
이야기가 있듯이, 과거 전염병의 위력은 인류의 생존을 위협할정도였다. 따라서
학자
들은 인류가 전염병을 피하기 위한 다양한 육체적/심리적 기제(더러운 것을 보았을 때 자동적으로 느끼는 역겨움)를 발달시켰을 것이라고 보고있다. 그리고 역겨움 같은 정서적 반응뿐 아니라 인간의 기본적인 ... ...
[석기(石器)의 재조명] 인간을 인간답게 만든 것은 정말 ‘도구일까’
2016.03.21
이런 분위기가 우세하던 1990년대 스타우트 교수는 우연히 석기의 제작기술을 연구하는
학자
들을 알게 됐고 스스로 석기를 만들어보다가 너무 어려워 당황했다. 즉 인간만의 ‘독특한 능력’은 석기 디자인이라는 추상적 사고가 아니라 실제로 그것을 만드는 데 있음을 깨달았다. 몸돌에서 칼 ... ...
꿈★은 꼭 이루어지는 것은 아니다
2016.03.01
이루었도다’ 모드가 되어 애써 착한 일을 더 하지 않으려는 모습을 보이게 된다. 따라서
학자
들은 ‘이렇게 되면 정말 좋을거야!’라는 꿈과 상상의 달콤함을 빌려 동기 수준을 높이는 것은 좋지만 그것에서 그치지 않기를 주문한다. 비슷하게 과거의 영광이나 흐뭇한 상상, 무언가를 이루었다는 ... ...
과학, 음식과 요리를 만나 새로운 길을 찾다
IBS
l
2016.02.29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최근 과학계에서는 몸속 미생물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다. 과
학자
들은 한 사람의 몸속에 1만여 종의 미생물 100조 마리 이상이 살고 있다고 추산한다. 이 중 상당수가 소화관 내에 산다. 대장에서는 평균 4000여 종, 이에서는 1300여 종의 세균이 발견될 정도다. 이들 소화관 내의 ... ...
이전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