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기존"(으)로 총 4,799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산업계 지켜줄 첨단 파수꾼과학동아 l2018년 05호
- 속도가 각각 6.31Mb, 0.43Mb, 4G LTE 방식에서는 각각 35.82Mb, 17Mb로 조사됐다. 4G LTE를 기준으로 기존 기술과 데이터 송수신 속도를 비교하면 송신 속도는 비슷하지만 수신 속도는 최대 5분의 1 수준까지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연구팀은 논문에서 “통화 품질에는 문제가 없었다”고 밝혔다. 또 ... ...
- 최초의 미적분학 입문서, 이탈리아 청년을 위한 미적분학수학동아 l2018년 05호
- 새롭지 않다고 지적했습니다. 그러나 ‘이탈리아 청년을 위한 미적분학’은 애초에 기존 이론을 정리하고 학생을 가르치기 위해 쓴 책이지 연구서가 아니라며 이 지적에 반박하는 사람도 있습니다. 많은 수학자의 작업을 자신만의 해석으로 통합했고, 책이 나왔을 때 학계에 뜨거운 반응을 일으킨 ... ...
- [과학뉴스] 헬멧처럼 머리에 쓰는 웨어러블 뇌자도 측정기과학동아 l2018년 05호
- 도중에도 뇌자도 측정에 문제가 없었다. 브룩스 교수는 “유아나 어린이, 장애인 등 기존 장비를 이용하기 어려운 사람들의 뇌파 측정이 가능하다”며 “머리 움직임에 제약이 없는 만큼 다양한 상황에서 뇌자도 측정이 가능하다”고 밝혔다. doi:10.1038/nature2614 ... ...
- Part 1. 현존 가장 안전한 보안기술과학동아 l2018년 05호
- 암호체계라는 것이 암호학계의 중론이다. 현재 전자상거래 등에 널리 쓰이는 RSA 같은 기존암호체계는 양자컴퓨터가 도입되면 붕괴될 수밖에 없다. 양자컴퓨터는 큰 수의 소인수분해와 데이터베이스 검색을 매우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고 알려져 있는데, RSA의 토대가 소인수분해이기 때문이다 ... ...
- [Tech] 요즘 뜨는 나노 기술 3과학동아 l2018년 05호
- 설명했다. 양자점 태양전지는 아직 연구 초기단계이지만 학계에서는 몇 년 안에 기존 실리콘 태양전지를 뛰어넘을 것으로 전망 한다. 김 선임연구원은 “실리콘으로 만든 태양전지는 두껍 고 단단할 뿐만 아니라 공정이 까다로워 비용이 많이 든다”며 “양자점 태양전지는 광흡수 효율이 100배 더 ... ...
- [Culture] 새 책과학동아 l2018년 05호
- 미끄럽고, 63빌딩 꼭대기에서 동전이 떨어져도 정수리에 구멍이 나지 않는다는 등 기존 지식에 대한 오류도 짚어준다. 저자는 과학적 지식을 토대로 죽음에 가장 가까이 다가간 결과들을 엮었다는 의미에서 ‘오싹한 죽음 실험실’이라는 별칭도 붙였다. “어느 날 문득 정신을 차려보니, ... ...
- 신과람 교사가 직접 들려주는 5대 핵심역량 키우기과학동아 l2018년 05호
- 분야의 지식, 기술, 경험을 융합적으로 활용해 새로운 것을 창출해 내는 능력입니다. 기존의 물건이 가지는 기능에 불필요한 기능은 보완하고 새로운 기능을 접목해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정보를 찾고 그 정보 중 필요한 정보만 추려서 얻어내야 합니다.따라서 이 과정에서 ... ...
- [과학뉴스] 남성 경구 피임약, 상용화 한 발짝 더과학동아 l2018년 04호
- 결과를 3월 18일 미국 시카고에서 열린 ‘제100회 내분비학회 연례회의’에서 발표했다. 기존에 나온 경구용 테스토스테론은 간 손상 위험이 있고, 1일 2회 이상 복용해야 한다는 문제점 때문에 개발이 중단된 상태다. 연구팀은 18~50세 건강한 남성 100명을 3개 그룹으로 나눠 4주 동안 DMAU를 각각 100mg, ... ...
- [과학뉴스] ‘꿈의 신소재’로 손상 없이 머리 염색?과학동아 l2018년 04호
- 영구 염색약 기준도 충족한다. 황 자싱 교수는 “그래핀은 가볍고 유연하기 때문에 기존의 일회성 염색약과 달리 색이 오래 간다”고 설명했다. 또한 그는 “그래핀이 전도성을 지니고 있어 정전기 발생을 방지하는 만큼 앞으로 웨어러블 기기에 응용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doi:10.1016/j.chempr.2018.0 ... ...
- [Future] DNA에 사진 담고 원자에 영화 담는 차세대 메모리과학동아 l2018년 04호
- DNA 메모리는 4비트로 정보를 저장할 수 있기 때문에 메모리의 밀도가 대폭 높아진다. 기존 하드디스크의 정보 기억 밀도는 1mm2 당 1010바이트인 반면, DNA의 저장 밀도는 1mm2 당 1018바이트 정도로, 1억 배 이상 높다. 더구나 DNA는 현재 메모리 장치에 사용되는 실리콘보다 외부 자극에 강하기 때문에 장기 ... ...
이전11811912012112212312412512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