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현존
존재
생존
현재
d라이브러리
"
기존
"(으)로 총 4,799건 검색되었습니다.
[DGIST] 눈앞에 ‘뙇’ 증강현실 수술 내비게이션
과학동아
l
2018년 04호
많은 사람들이 양질의 의료 혜택을 누리도록 돕는 게 목표”라며 “외국에서 개발된
기존
장비와 정확도는 비슷하고, 가격은 10분의 1 수준으로 낮췄다”고 말했다. 연구진은 현재 국내 유수 대형병원과의 공동 연구를 통해 AR 수술 내비게이션의 성능을 검증하고 있다. 이미 동물 뼈와 사람의 사체에 ... ...
[서울대 공대] 전기·정보공학부 최대&최강 교수진의 힘
과학동아
l
2018년 04호
석권한 것이 원동력이었다. 하나는 데이터베이스(DB)를 하드디스크에 저장한 뒤 분석하던
기존
방식과 달리 메모리에서 저장과 분석을 동시에 진행해 데이터 분석 효율을 극대화한 기술이다. 이병호 학부장은 “국내 기업이 가치를 알아보지 못해 해외에 이전할 수밖에 없었던 기술”이라며 “학부 ... ...
Part 3. 집에서도 즐기는 인생맛집
수학동아
l
2018년 04호
매스토랑을 즐겨보세요. 매스토랑은
기존
의 식품 관련 서비스에 수학과 정보통신기술을 접목한 업체들과 협력해 색다른 홈서비스 메뉴를 제공합니다. 놀라운 사실은 매스토랑이 제공하는 모든 서비스는 수학 전공자들이 개발했다는 것입니다. 선택 ➊ 신선한 재료 당일배송 서비스 오늘 저녁 ... ...
[시사과학 뉴스] 전세계는 지금 비트코인 열풍!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04호
많아요. 우선 암호화폐의 가격이 1초마다 급격히 변해서 화폐로서 기능을 하기 어려워요.
기존
화폐에 비해 거래 속도도 느리지요. 또한 암호화폐 자체는 해킹이 불가능하지만, 암호화폐를 거래하는 거래소는 해킹으로부터 안전하지 않아요. 암호화폐가 널리 쓰이려면 아직 시간이 좀 더 ... ...
[과학뉴스] 고마웠어, 케플러!
과학동아
l
2018년 04호
됐다. 당시 케플러의 자세를 고정하는 리액션 휠 4개 중 2개가 고장을 일으켰고, 이후
기존
임무대신 새로운 임무(K2)를 시작했다. 카메라를 고정하지 않고 3개월 마다 방향을 돌리면서 다양한 각도에서 우주를 관찰한 것이다. 이달까지 케플러는 이 임무를 17회 완수했다. 케플러는 현재 지구에서 약 ... ...
[과학뉴스] 슈퍼박테리아 잡을 ‘오리너구리 모유’
과학동아
l
2018년 04호
위험에 쉽게 노출된다. 연구팀은 오리너구리 모유 속 단공류젖분비단백질(MLP)에서
기존
MLP에서 볼 수 없었던 작은 고리모양의 독특한 구조를 발견했다. 줄리 샤프 디킨대 선임연구원은 “MLP가 슈퍼박테리아 성장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었다”며 “오리너구리가 모유를 먹이는 독특한 방식 덕분에 ... ...
[Origin] 계란의 ‘슈퍼 파워’
과학동아
l
2018년 04호
강도를 갖게 됐다”고 설명했습니다. 이 교수는 “단백질 사이의 거리가 짧아지면서
기존
에 없던 분자 간 상호작용이 생긴 것 같다”고 말했습니다. 노른자의 과학 - 점성 1000배 ‘마요네즈 효과’계란 흰자가 대단해 보이지 않나요? 그런데 노른자도 흰자만큼이나 특별한 능력을 가진 ... ...
과학 수사의 최전선, 겹친 지문을 분리하라
과학동아
l
2018년 04호
많지만 초기 단계의 홀로그램을 구현한 연구들이 속속 등장하고 있다. 이 교수팀은
기존
홀로그램 기술의 한계였던 낮은 해상도와 좁은 시야각을 대폭 개선한 연구 결과를 국제학술지 ‘나노 스케일’ 2017년 12월 28일자에 발표하는 등 이 분야에서 선도적인 연구를 하고 있다. 연구팀은 홀로그램 ... ...
최초의 수학문화관, 문을 열다
수학동아
l
2018년 04호
든 생각이다. 마치 놀이기구처럼 보이는 체험형 수학 구조물로 가득 찬 공간이었다.
기존
수학체험관이 손으로만 만지는 데 그쳤다면, 수학어드벤처관에서는 총 16가지의 대형 수학 구조물을 온몸으로 체험할 수 있다. 커다란 삼각형 안으로 3명이 함께 들어가 각 꼭짓점으로부터 거리의 합이 최소가 ... ...
Part 3. [68%] 미지의 힘, 암흑에너지
수학동아
l
2018년 03호
필요하게 된 이유는 무엇일까? 이석천 경상대학교 기초과학연구소 학술연구교수는 “
기존
우주팽창모형을 유지한 채로 여러 관측 결과를 설명하기 위해서는 암흑에너지가 필요했다”고 설명했다. 일반상대성이론에 기초한 우주팽창모형의 해를 구하기 위해서는 총 16개의 2차 미분방정식을 ... ...
이전
120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