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기존"(으)로 총 4,799건 검색되었습니다.
- [다중이용시설] 피난 약자 위한 대피공간 설계과학동아 l2018년 02호
- 출입문에 열기가 가해지는 것을 막고 연기를 차단한다. 연구팀은 화장실에 설치돼 있는 기존의 배기 시스템을 화재 시 급기 시스템으로 바꿔 연기를 막는 기술도 개발했다. 물론 모든 화장실 문에 이런 방화설비가 갖춰져 있는 것은 아니다. 신선임위원은 “화장실 문에 수건을 걸고 계속해서 물을 ... ...
- [규정] 도핑 ZERO ‘클린 올림픽’ 만든다과학동아 l2018년 02호
- 이용해 근육량이나 순발력, 지구력 등을 결정하는 유전자를 편집하는 기술이다. 기존의 금지 약물이 세포 수용체에 작용해 약효를 나타냈던 것에 반해 유전자 도핑은 유전자에 직접 작용해 약물의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권 센터장은 “EPO와 관련된 유전자 도핑을 적발하는 기술을 준비했지만 ... ...
- [Origin] 몸 밖의 몸, 오가노이드과학동아 l2018년 02호
- 있었습니다. 장 상피에서 크립트 구조가 만들어지는 기작은 학계의 오랜 난제였습니다. 기존에는 크립트 근처에 있는 근섬유아세포가 크립트 구조를 만드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고 추측해 왔습니다. 하지만 사토 연구원의 생각은 달랐습니다. 크립트를 분리해 만든 오가노이드가 완벽한 장 ... ...
- [과학뉴스] 인공 DNA로 단백질 만들다과학동아 l2018년 01호
- 그리고 약 3년 만에 인공 염기를 가진 대장균이 아미노산을 합성하는 데 성공한 것이다. 기존의 아미노산은 4개의 염기 중 3개의 조합으로 구성된다. 가령 글루타민은 ‘CAA’, 리신은 ‘AAA’ ‘AAG’의 조합으로 만들어진다. 연구팀은 X가 들어간 AXC와 GXC 등 세 염기의 조합으로 자연계에 없던 새로운 ... ...
- [시사기획] 폴더블폰, 그분이 오신다과학동아 l2018년 01호
- 따라 켜지거나 꺼지면서 전체적인 이미지를 만들어낸다. 트랜지스터를 심는 회로기판은 기존의 불투명한 폴리이미드 등으로 휘어지게 만들 수 있다. 문제는 트랜지스터인데, 다행히 폴더블폰은 접히는 부분만 휘어지게 만들면 된다. 따라서 단단한 무기물로 만든 트랜지스터를 휘어지게 만들 필요 ... ...
- [Future] 뒤로 공중돌기 완벽 성공, 너의 이름은 아틀라스과학동아 l2018년 01호
- ‘굴삭기 로봇’을 내놓을 예정이다. 조 선임연구원은 정교한 로봇손도 개발 중이다. 기존의 유압식 로봇팔에서 손목 부위는 180도로 움직이는 사람 손목과 달리 45~70도로 움직이는 데 그쳤다. 움직일 때마다 손목 부위가 덜렁거려 제어도 어렵다. 연구팀은 사람이 팔을 움직일 때 이두박근과 ... ...
- [Culture] 과학동아가 선정하는 이달의 책과학동아 l2018년 01호
- ”라는 의문을 가져본, 사람의 행동과 감정을 파악하는 일에 관심 있는 독자라면 기존 심리학으로 해석한 도서와 달리 색다른 흥미를 돋울 것이다. 사회적 성격을 알기 위해 사주나 혈액형별 성격을 확인하는 것보다는 뇌를 탐구하는 것이 더 정확하기도 하다. 사회 속에서 다른 사람을 대하면서 ... ...
- [Career] ‘전자약’으로 노화 걱정 덜어드립니다과학동아 l2018년 01호
- 분석할 수 있다. 이 칩을 이용하면 세포를 배양하고 실험하는 데 들어가는 비용을 기존의 800분의 1 정도로 줄일 수 있다. 실험 속도도 확연히 빨라졌다. 김 교수는 “세포에 가하는 전기자극의 조합은 전압과 주파수 등의 조합에 따라 경우의 수가 무한대”라며 “하나의 칩에서 여러 조건을 동시에 ... ...
- Part 2. 현실 같은 현실 아닌 가상현실과학동아 l2018년 01호
- 다르기 때문이다. 연애 시뮬레이션을 예로 들어 보자. 같은 1인칭 시점을 구현하더라도 기존에는 시야를 감독이 제어했다. 남자친구를 바라보다가 잠시 한 눈을 팔면(카메라를 돌리면) 그가 “자기야 어딜 봐, 나를 봐야지”라고 말하는 훈훈한 시나리오가 가능하다. 그러나 VR은 시선을 마음대로 ... ...
- Part 5. 온 몸이 보안 코드, 생체인증 시대과학동아 l2018년 01호
- FRR·생체인식시스템의 오류로 개인을 식별하지 못하는 등 나를 거부할 확률)은 2% 내외로 기존의 지문 인식과 비슷한 수준으로 인증 오류가 낮다. 특히 지문이나 홍채, 얼굴 등의 생체정보와 달리 위조나 변조가 불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조 수석연구원은 “향후 다중생체인증 시스템이 상용화되기 ... ...
이전12412512612712812913013113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