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대학"(으)로 총 10,409건 검색되었습니다.
- [기획] 다지류 선조는 육지를 휩쓰셨다고~!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3호
- 12월에는 지금까지 발견된 가장 거대한 노래기 화석이 발견되었습니다. 영국 케임브리지대학교 지구과학과 닐 데이비스 박사팀은 영국 북동부 노섬벌랜드 지역에서 3억 2600만 년 전 고생대 석탄기에 살았던 노래기 ‘아르트로플레우라’의 껍데기 일부분을 찾았습니다. 약 70cm 크기의 화석을 토대로 ... ...
- [가상 인터뷰] ‘북극에 웬 댐이…?’ 지구온난화가 넓힌 비버의 여행지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3호
- 올랐기 때문이에요. 지난해 12월, 미국 알래스카에서 비버를 연구하고 있는 알래스카대학교 켄 테이프 교수는 비버들이 예전에는 살 수 없었던 북극 최북단까지 진출했다고 발표했어요. 1949년부터 기록된 위성 사진을 분석한 결과 현재 북극에는 비버의 댐이 1만 2000개나 있는 것으로 확인됐죠. ... ...
- [특집] 같이 할래? 시민과학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3호
- 지구사랑탐사대는 어느덧 올해로 10번째 주인공을 기다리고 있어요. 2013년 약 300명으로 시작된 지구사랑탐사대는 이제 3000여 명의 대원이 다양한 생물을 탐사하고 기록하는 시민과학 프로젝트로 성장했지요. 시민과학자들이 앱에 올려준 자료는 과학자들의 연구에 쓰이고 있어요. 지구사랑탐사 ... ...
- [특집] 우리 사회에 어떻게 기여했을까? 시민과학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3호
- 시민이 직접 바람직한 방향으로 발전하도록 관리하며 의사결정하는 것을 뜻해요. 고려대학교 과학기술학연구소 김지연 교수는 “시민과학은 전문가만으로 모든 문제를 해결하려고 하지 말고 다양하고 새로운 접근법으로 문제를 바라보자는 것에서 시작됐다”며, “실험실 속 과학이 사회로 ... ...
- [특집] 당신에게 시민과학은 무엇인가요?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3호
- 과학기술학연구소 연구교수 나미라이화여자대학교 자연대학 에코크리에이티브 협동과정 연구원 시민과학의 무엇이 시민과학자로 활동하는 동기가 되나요? 내가 측정하고 관측한 데이터가 모여 다른 사람과 공유할 수 있다는 것, 나 또한 다른 시민과학자가 측정한 데이터에 접근해 새로운 ... ...
- [수학뉴스] 150년 만에 n-퀸즈 문제의 근삿값을 알아냈어요!수학동아 l2022년 03호
- 가로줄, 세로줄, 대각선줄에 있어야 한다는 조건이 있어요. 마이클 심킨 미국 하버드대학교 수리과학응용센터 연구원은 5년에 걸쳐 이 문제의 근삿값을 구했어요. 먼저 퀸이 있을 확률이 높은 공간을 중심으로 가능한 배열 방법의 가짓수를 찾는 식을 만들어 하한을 구했어요. 그리고 확률 함수를 ... ...
- 응용│몸·마음 여는 1조 개의 열쇠과학동아 l2022년 03호
- 여기저기에 후각센서를 가지고 있다. 1991년 린다 벅 미국 컬럼비아대 의대 교수는 같은 대학의 리처드 액설 교수와 함께 후각상피에 존재하며 냄새를 감지하는 단백질인 후각수용체를 처음으로 찾아낸 공로로 2004년 노벨 생리의학상을 수상했다. doi: 10.1016/0092-8674(91)90418-x 이후 우리 몸속 유전자의 ... ...
- [4컷 만화] 머릿니, 고대인의 일기장이 되어 주다!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3호
- 12월, 영국 레딩대학교의 알레한드로 페로티 교수팀은 고대인의 미라 머리카락 속에서 발견한 서캐에 담긴 DNA를 추출해 고대인이 살았던 환경과 이동 경로를 밝혀냈습니다.서캐는 머릿니의 알입니다. 머릿니는 사람의 머리카락에 살며 날카로운 이빨로 두피를 찔러 피를 빨아먹는 기생충이에요. ... ...
- [이달의 과학사] 1946년 2월 14일 컴퓨터의 선구자, ‘에니악’ 공개되다!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3호
- 최초의 컴퓨터가 실제로 무엇인지에 대해 계속 논쟁 중입니다. 1939년 미국 아이오와주립대학교의 아타나소프 교수가 만든 ‘ABC’나, 영국의 암호 해독가들이 1943~1945년 사이에 활용한 ‘콜로서스’가 최초의 컴퓨터라는 주장도 있지요. 특히 콜로서스의 경우 영국 정부가 국가 기밀로 숨겼기 때문에 ... ...
- [특집] 지구사랑탐사대 10주년 보고서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3호
- 정말 뿌듯하고 놀라울 따름이에요. ●미니인터뷰나미라(이화여자대학교 자연대학 에코크리에이티브협동과정 연구원) 저는 지금 지사탐이 대원들에게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고 있어요. 어떤 지식을 알고 있다고 해도 이를 실행하는 건 다른 의미예요. 예를 들어 플라스틱이 환경에 나쁘다는 ... ...
이전11811912012112212312412512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