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대학"(으)로 총 10,409건 검색되었습니다.
- [4컷 만화] 마스크가 번쩍? 삐빅, 코로나 확진입니다!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2호
- 12월, 일본 교토부립대학교의 쓰카모토 야스히로 교수팀이 타조 항체를 이용해 코로나19바이러스와 접촉하면 형광을 내는 마스크를 공개했어요.타조는 면역력이 뛰어난 동물입니다. 상처가 나도 빠르게 치유되죠. 연구팀은 타조의 강한 질병 저항력을 코로나19 항체● 생성에 활용했습니다. 우선 ... ...
- [가상 인터뷰] 해충이 아니라 인명 구조 바퀴벌레라고!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2호
- 있으니 저를 사이보그 바퀴벌레라 부를 수 있는 셈이죠. 지난해 12월, 싱가포르 난양공과대학교의 기계항공우주공학부 사토 히로타카 교수는 제 등에 장비를 얹어 인명 구조에 활용하는 연구를 발표했어요. 어쩌다 인명 구조 임무를 맡게 되었니?저는 ‘마다가스카르휘파람바퀴벌레’라는 종에 ... ...
- [통합과학 교과서] 사랑꾼 에릭 왕자를 구해 줘!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2호
- 나타나죠. 이 증상은 지금껏 해결해야 할 문제로 남아 있었어요.12월 9일, 미국 텍사스대학교 사우스웨스턴 메디컬센터 벤저민 르빈 교수팀은 우주비행사의 시력을 지킬 수 있는 해답을 ‘침낭’에서 찾았다고 발표했어요. 연구팀이 개발한 우주 침낭은 허리부터 발끝까지 감싸는 형태로 진공 흡입 ... ...
- [수학뉴스] 전기차 에너지, 최적 경로 알고리듬으로 아껴 봐!수학동아 l2022년 02호
- 작은 전기차도 택배 운송에 활용할 수 있을까요? 최근 발라즈 쿨사르 스웨덴 샬머스공과대학교 전자공학부 교수팀이 택배 운송용 전기차의 최적 이동 경로를 계산하는 알고리듬을 개발해 국제학술지 에 발표했어요. 연구팀은 택배 운송용 전기차의 배터리가 ... ...
- [특집] 수학 하는 AI, 너 정체가 뭐니?수학동아 l2022년 02호
- 빠른 계산으로 카즈단-루스티그 다항식을 구하는 방법을 알아낸 거야. 박의용 서울시립대학교 수학과 교수님은 “카즈단-루스티그 다항식은 차수가 높아지면 푸는 데 필요한 계산이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난다”며, “그런 계산을 AI가 해내 규칙을 찾아낼 수 있었던 것”이라고 말했어 ... ...
- [2022 필즈상 예측] 줄곧 탄탄대로 달려온 루마니아 출신 천재 수학자 기호 3. 아나 카라이아니수학동아 l2022년 02호
- 카라이아니 교수와 같은 지도교수 아래에서 연구했던 신석우 미국 캘리포니아대학교 버클리캠퍼스 수학과 교수는 “미로와 같은 문제 속에서 방법을 찾아내고 응용하기까지 했다”며, “2020년 유럽수학회상 등 많은 상을 받을 정도로 정수론 분야에서 크게 인정받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필즈상 ... ...
- [핫이슈] 자가복제 하는 로봇의 탄생, 제노봇수학동아 l2022년 02호
- 어떻게 된 일인지 알아봤습니다. 2021년 12월, 미국 버몬트대학교와 터프츠대학교, 하버드대학교 생체모방공학연구소 공동연구팀은 세계 최초의 살아 있는 세포 로봇인 ‘제노봇’이 자가복제를 하는 데 성공했다고 밝혔어요. 해당 연구는 과학 전문 학술지 에 실렸어요 ... ...
- [나도 수학쌤 문장제 문제] #2. 속력 문제의 또 다른 열쇠, 상대속도!수학동아 l2022년 02호
- 1월호에서는 일차방정식 활용 문제의 단골 손님, 속력 문제를 거리, 속력, 시간의 관계를 이용해 해결해 봤어. 이번에는 ‘상대속도’라는 개념으로 풀어 보자! 같은 유형의 문제도 다른 접근법으로 풀 수 있어~. 에프매스 TV 속력 문제, 상대속도로 해결~! 중학교 1학년 문자와 식 단원 ‘일차방정 ... ...
- [수학 기자의 책장] 수학으로 1만 년 뒤 우리의 모습을 그리다!수학동아 l2022년 02호
- 발전해 온 오랜 학문이라는 것을요. 위상수학 분야의 세계적 권위자인 저자 송용진 인하대학교 수학과 교수는 우리 대부분이 놓치고 있을 긴 수학의 역사에 집중합니다. 수학이 과학, 더 나아가 인류의 문명에 어떤 역할을 했는지 짚어 내지요. 현재에 이르러서는 4차 산업혁명이 일어나면서 수학은 ... ...
- 사라진 골목의 시계장인들과학동아 l2022년 02호
- 배우는 것이 아닌 고급 기술로 변모했다”고 했다.2004년엔 시계를 교육하는 국내 유일의 대학 학과인 동서울대 럭셔리워치주얼리학과가 개설됐다. 기존 시계기술자들이 습득한 시계기술은 일제강점기 일본인 시계기술자들의 기술이 시초다. 그래서 용어도 일본식 용어를 사용했다. 반면 독일 ... ...
이전12112212312412512612712812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