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농도
밀집 상태
비중
에너지밀도
에너지
에네르기
빽빽함
d라이브러리
"
밀도
"(으)로 총 1,868건 검색되었습니다.
4. 돛올린 국내 초전도기술 개발의 현장
과학동아
l
2002년 05호
내부에 공극과 불순물이 많이 존재한다. 이러한 이유로 금속계 초전도선에 비해 높은
밀도
의 전류를 흘릴 수 없는 약점이 있다. 물론 가격도 니오브-티탄선에 비해 1백배 정도 비싸다. 하지만 최근 고온 초전도선을 실용화하기 위한 많은 연구가 이뤄지고 있으며, 성능과 가격 면에서 큰 진전이 있을 ... ...
빛 속도를 마음대로 주무른다
과학동아
l
2002년 05호
원자가 더 많이 기체화되면 높은
밀도
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얻은 기체 원자의
밀도
는 BEC와 비슷하다.실온의 실질적인 문제는 도플러효과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먼저 EIT의 두빛을 같은 방향에서 쏘아준다. 그러면 두빛의 방향이 다르기 때문에 생기는 도플러효과를 제거할 수 있다. 하지만 ... ...
물의 표면장력 정복
과학동아
l
2002년 05호
둥글게 말린 종이뱀이 물 위에서 빙글빙글 돌아간다.물위에 뜬 철 물고기■왜 그럴까?
밀도
가 7.86g/cm³인 철로 만든 물고기가 어떻게 물 위에 뜰까. 그 이유는 물의 표면장력이 크기 때문이다. 표면의 물분자들은 아래 방향으로 잡아당기는 분자들 간의 인력으로 인해 표면적을 최소로 하려는 ... ...
에피소드로 알아보는 빅뱅우주론 3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매우 높은
밀도
와 온도 때문에 빛과 물질이 뒤엉켜 있었다. 우주가 팽창하면서 우주의
밀도
와 온도는 낮아지고 빅뱅이 일어난지 30만년 후 빛과 물질이 분리되는데, 이때 최초로 물질을 빠져나온 빛이 바로 우주배경복사다. 당시 3천K(절대온도 K= 섭씨온도 ℃+273.15)였던 우주배경복사는 우주가 ... ...
빅뱅 신화에 도전하는 최신우주론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시도 진공에너지는 밀어내는 효과를 가지기 때문에 우주를 가속팽창시키고, 우주 전체
밀도
의 모자라는 대부분을 설명할 수 있다. 그렇다고 진공에너지가 만능일까. 아니다. 진공에너지는 우주에 처음 생긴 후 양이 일정한 물질과 달리 우주공간이 늘어나면 양도 함께 늘어나는 괴상한 성질이 있다. ... ...
생명 창조의 기둥 품은 독수리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표면의 가스는‘증발’돼 아주 천천히 성운을 빠져나간다. 하지만 기둥의가스는
밀도
의 차이 때문에 동시에 빠져나가지 않는다. 가장 큰 기둥 꼭대기를 보자. 증발되지 않고 남은 밀집된 가스지역이 독수리 발톱처럼 뻗어 있다. 바로 발톱 끝부분에 성운 곳곳에서 잉태된 별을 품은‘알’들이 들어 ... ...
빅뱅과 인플레이션 따라잡기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실제 관측됐다. 물질의
밀도
가 우주배경복사에 영향을 미쳤기 때문이다. 초기
밀도
의 이런 불균일함은 후에 은하나 은하단으로 자라났다. 팽창하는 우주에서는 어디에서나 서로 간의 거리가 멀어지고 특정한 중심이 없다. 또 빅뱅 이후 ${10}^{-35}$ 초 후 인플레이션 시기에는 우주가 ${10}^{30}$ 배 이상 ... ...
보이지 않는 빛 과학으로 찍는다 - 이만홍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쌓을 수 있을까. 설탕을 다른 농도로 녹여 각각의 물의
밀도
를 다르게 했기 때문이다.
밀도
가 높은 물부터 바닥에 붓고 물이 섞이지 않도록 천천히 농도가 낮은 물을 그 위에 부으면 된다.무지개 물탑을 다 만들고 사진을 찍는다. 저런. 눈으로 보면 아름다운 무지개 물탑이지만 사진을 찍으면 물 ... ...
돌아라 돌아라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돌아간다.돌아가는 종이뱀■ 왜 그럴까?양초에 불을 붙이면 그 주변의 공기는 따뜻해져
밀도
가 작아진다. 따라서 가벼워진 공기는 위쪽으로 올라가기 때문에 촛불의 위쪽에는 위 방향으로 공기 흐름이 계속된다. 이것은 일종의 바람과도 같다.바람을 맞으면 바람개비가 회전하는 것처럼 종이뱀은 ... ...
위대한 유산 과학을 남긴 가문 - 캐번디시
과학동아
l
2002년 01호
빛날 수 있었던 것이 ‘다윈의 불독’ 헉슬리 때문이었던 것처럼. 그는 또한 지구의 평균
밀도
를 측정한 최초의 과학자이기도 한데, 그의 정확한 실험은 오늘날 ‘캐번디시 실험’으로 불리고 있다.언제 그가 들어왔고 또 언제 나갔는지를 아는 하인이 아무도 없을 정도로 베일 속에 살면서 외로운 ... ...
이전
118
119
120
121
122
123
124
125
12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