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농도
밀집 상태
비중
에너지밀도
에너지
에네르기
빽빽함
d라이브러리
"
밀도
"(으)로 총 1,868건 검색되었습니다.
블랙홀은 온돌에서 땔감 때우는 아궁이
과학동아
l
2001년 10호
뉴턴(Newton) 등이 우주공간에서 활동중이다. 특히 1999년 발사돼 현재 활동중인 찬드라는 고
밀도
별(백색왜성, 중성자별, 블랙홀) 연구의 업적으로 1983년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한 찬드라세카르 박사의 이름을 딴 것이다.현재까지 블랙홀은 크게 두종류가 발견됐다. 첫째가 은하의 중심부에 있는 거대 ... ...
유리잔으로 물질
밀도
알아맞추기
과학동아
l
2001년 10호
물 속에 가라앉아 있던 기름방울이 서서히 떠오른다. 여러가지 액체를 유리잔에 넣고 만든 액체 탑으로 물질의
밀도
를 알아낼 수 있다.떠오르는 ... 알아보려면 이 방법을 이용해보는 것도 좋을 것이다. 이 실험에서 유리잔에 넣은 물질의
밀도
는 사탕 > 초콜릿 > 방울토마토 > 웨하스 순이다 ... ...
휴대폰 전자파 인체에 얼마나 흡수될까
과학동아
l
2001년 09호
방식이다. 인체의 각 부위를 자기공명영상 촬영을 통해 인체 각 조직의 전기전도도와
밀도
를 알아낸 후 이에 맞춰 인체를 격자구조로 나눈다. 인체처럼 복잡한 구조를 가진 경우 실제와 가깝게 모델링하는데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다.전자파 줄이는 휴대폰 사용법 휴대폰에서 복사되는 ... ...
3D 애니메이션이 탄생시킨 시험관아기
과학동아
l
2001년 08호
때와 늪지대를 걸어갈 때의 동작을 상상해보라. 사람의 중량과 발이 닿는 늪지대의
밀도
와 표면 장력이 정확히 계산돼 진흙 속 몇 cm까지 신발이 잠기는지, 그리고 신발의 형상에 따라 진흙은 어떤 형태의 물리적 좌표를 갖게 될지 나와야 하고, 여기에 아스팔트에 발을 딛는 반발력과 진흙에서 밟을 ... ...
에너지를 내손으로 만들자
과학동아
l
2001년 08호
돌아가는 것일까. 태양에너지를 흡수하는 깡통 안의 공기는 가열된다. 따라서 공기의
밀도
가 작아져서 주변의 공기보다 가벼워진다. 그래서 위로 떠오르게 된다. 상승한 공기는 깡통의 위쪽 구멍으로 빠져 나오게 된다. 다시 뚫려 있는 아랫부분으로 공기가 들어가 가열되고 위로 올라간다. 이런 ... ...
가짜 화석에 울고 웃는 전세계 과학자
과학동아
l
2001년 07호
화석을 화려하게 꾸며서 더 높은 값을 받기 위해 갈아내고 낱개를 함께 붙여 화석의
밀도
를 높인다. 심지어 조각을 하기도 하고 틀을 만들어 암석가루로 찍어내 구운 후 다른 암석에 교묘히 붙이기도 한다. 중국에서 밀반출되는 공룡알 중에는 서로 다른 공룡알 껍데기를 함께 붙여 마치 모자이크한 ... ...
뒤집어본 제주도 지질 상식
과학동아
l
2001년 07호
양쪽의 퇴적방향이 정반대가 된다. 또한 화구에서 멀어질수록 화산먼지나 화산재의 입자
밀도
가 감소하기 때문에 퇴적층의 두께가 가늘어진다. 수월봉의 경우에는 한라산쪽으로 두께가 가늘어진다(그림1). 이제 어떤 결론을 내릴 수 있을까. 수월봉과 차귀도는 같은 화산폭발로 형성됐다. 그리고 ... ...
③ 1억종에 달하는 생물 다양성
과학동아
l
2001년 06호
넓은 의미에서 집게에 속하는 심해 새우와 말미잘, 눈이 퇴화된 게, 새우류 등 갑각류의
밀도
가 서서히 높아진다. 그리고 다모류와 살아있는 화석이라 불릴 만큼 오래된 만각류도 보인다.분출구 근방 수m에는 홍합류, 흰패각조개류, 그리고 커다란 관벌레(Riftia pachyptila)가 용암의 틈 사이에 밀집하고 ... ...
왜 극고진공상태를 얻으려 하나
과학동아
l
2001년 06호
쏘여 결정을 성장시키는 제조공정을 통해 만들어진다. 이때 작업실 내 기체분자의
밀도
가 충분히 낮지 않으면 기판에 기체분자가 덮이게 돼 결정이 제대로 성장하지 못한다. 불량반도체가 생산되는 것이다.그런데 중요한 점은 반도체의 집적도가 높아질수록 점점 높은 수준의 진공도가 요구된다는 ... ...
시멘트의 출생장소는 도자기 굽는 가마
과학동아
l
2001년 05호
때문이다.점토가 주성분인 흙벽돌은 물을 섞으면 입자들 속의 빈 공간이 없어지면서
밀도
가 높아지고 이후 물이 증발되면서 입자들이 단단해진다. 그러나 시멘트는 기존 건축재료인 흙벽돌과는 전혀 다른 개념의 건축재료이다. 시멘트는 수화작용으로 물과 결합하면서 강도를 주는 칼슘실리케이트 ... ...
이전
120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