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농도
밀집 상태
비중
에너지밀도
에너지
에네르기
빽빽함
d라이브러리
"
밀도
"(으)로 총 1,868건 검색되었습니다.
만약 전자의 스핀이 0으로 된다면?
과학동아
l
2000년 10호
광자를 방출해 에너지
밀도
가 매우 큰 광자 모임을 만들 수 있다. 집속력이 크고 에너지
밀도
가 높은 레이저가 만들어지는 이유다.보존들이 서로 모이는 경향을 보인 것이 거시적으로 관찰되는 경우가 있다. 헬륨 원자는 스핀이 0인 원자들이다. 이들의 온도가 매우 낮아지면 보존인 헬륨 원자들은 ... ...
피아노 도와 바이올린 도가 다르게 들리는 이유
과학동아
l
2000년 09호
파의 진행방향이 나란한 경우를 종파라고 한다.소리는 종파에 해당한다.즉 공기
밀도
의 소밀(성김과 빽빽함)이 전파돼 나가는 것이 바로 음파다.모든 파동은 수학적으로 간단하게 기술된다.예를 들어 수면파를 생각해보자.물결이 일면 물결의 높이와 파장,파동의 모양이 진행해 나가는 속도 ... ...
에릭슨
과학동아
l
2000년 09호
진보에 큰 기여를 했다. 이런 그의 업적을 나타내주는 것 중에 하나가 자기력 선속
밀도
의 국제단위로 사용되고 있는 테슬라(T)다.현재 전화박물관으로 사용되고 있는 1903년에 완공한 에릭슨 특별기념관이 있다. 원래는 회사의 제품을 전시하기 위해 만들어졌는데, 지금은 초기의 전화와 ... ...
3. 정보의 홍수로부터 해방 인간게놈프로젝트
과학동아
l
2000년 09호
단백질 서열로부터 3차 구조를 예측하거나 한 걸음 더 나아가 맞춤형 신약 개발을 위한 고
밀도
단염기다형성 지도 작성과 이들의 기능 규명을 위해 필요한 정보량은 지금의 슈퍼컴퓨터도 감당하지 못할 정도다.질병 일으키는 단백질 규명최근 IBM은 단백질이 접히는 과정을 밝히는데 사용하기 위해 ... ...
청자색 레이저
과학동아
l
2000년 09호
고화질로 전송된 2시간 정도의 영상을 저장할 수 있는 양이다. 따라서 이 정도의 저장
밀도
를 얻기 위해서는 보다 더 짧은 파장의 광원이 필요하다. 이런 조건을 만족시키는 것이 질화물 반도체를 이용한 4백10nm 정도의 청자색레이저다. 이를 이용하면 보통 화질의 영화 4편, 고화질텔레비전용 영화 ... ...
Ⅲ. 지구 대기권 밖으로 나가자
과학동아
l
2000년 08호
분포하는지 확인할 수 있을 정도로 정밀하게관측돼야 한다.우주가 아직 어렸을 때
밀도
요동이 있었 다면 그것은 곧 은하단의 생성을 뜻하기 때문이다.또 한가지 관측 되는 스펙트럼이 흑체에 얼마나 잘 맞는지를조사하는 작업이다.흑 체복사가 예측과 맞지 않는다면 먼 과거에 정체가 밝혀지지 ... ...
은하수 속의 발광성운과 암흑성운
과학동아
l
2000년 08호
나선팔에서 이루어지는 별 탄생과 관련된다. 암흑성운의 어떤 장소에서 가스
밀도
가 높아지고 안에서 별이 탄생하면 아기별에 비쳐 성운 전체가 빛나기 시작한다. 이것이‘발광성운’이다. 발광성운은 우주라는 정원에 피어난 꽃에 비유할 수 있다. 은하수를 따라 나타나는 대표적인 발광성운은 ... ...
중력의 임무(Mission Of Gravity)
과학동아
l
2000년 08호
지구인과의 접촉으로 과학의 효용인식백조자리 61번 별의 둘레를 도는 행성, 메스클린.
밀도
가 크면서 납작한 쟁반 모양으로, 하루가 겨우 17분 남짓에 불과한 엄청난 속도로 자전한다.이처럼 특이한 조건 때문에 메스클린의 환경은 지구와는 전혀 다른 양상이다. 적도에서의 중력은 원심력 때문에 ... ...
과학관 2백배 즐기기
과학동아
l
2000년 08호
이때 원심력은 회전하는 물체의 질량이 클수록,회전속도가 빠를수록 커진다.따라서
밀도
가 큰 액체가 더 큰 원심력을 받아 바깥쪽으로 밀린다.무중력거울 자신의 왼쪽 몸을 이용해 나머지 오른쪽 몸을 만들 수 있을까.무중력 거울일 이용하면 가능하다.거울의 모서리에 거울과 90도 각도로 서서 ... ...
③ 정보통신 : 남쪽 기술과 북쪽 인재의 결합
과학동아
l
2000년 07호
북한은 올해 연간 국민소득 5%를 전자정보기술 분야에 집중 투자하고 있다. 컴퓨터와 고
밀도
집적회로, 인공지능, 자동화 연구가 주요 분야이다.이 정도면 북한과 인터넷을 통해서도 정보를 교환할 수 있지 않을까. 그러나 북한에는 아직 인터넷이 특정기관을 제외하고 보급돼 있지 않다. 더구나 ... ...
이전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