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농도
밀집 상태
비중
에너지밀도
에너지
에네르기
빽빽함
d라이브러리
"
밀도
"(으)로 총 1,868건 검색되었습니다.
중국 용 '용의 해'에 멸종위기 처해
과학동아
l
2000년 03호
따르면 야생 양자강악어가 1백50마리도 채 남지 않았다고 한다.양자강악어는 인구
밀도
가 높은 남동부 안후이성의 몇몇 마을 연못에 겨우 생존해 있다. 그나마 밀렵과 지나친 농약의 사용으로 서식지가 점점 축소되고 있어 야생에서 멸종하는 최초의 악어종이 될 것이라는 우려가 크다.사람 손으로 ... ...
빅뱅 직후 상태 처음으로 재현
과학동아
l
2000년 03호
빛의 속도로 납판에 충돌시켰다. 또 초고온(태양 중심부의 10만배인 1-2조K)과 초에너지
밀도
(전기에너지 3-4GeV/10-15m3)의 환경을 만들어 냈다.실험 결과 핵 안에 묶여있는 쿼크와 글루온이 분리돼 플라스마 상태로 유도됐다. 현재 우주에는 존재하지 않지만 이론상으로 빅뱅 직후 약 10만분의 1초 동안에 ... ...
만약 마찰이 없다면?
과학동아
l
2000년 02호
이러한 저항력은 운동 방향에 수직한 물체의 단면적에 비례하며, 속도의 제곱과 공기의
밀도
를 곱한 양에 비례한다.저항력을 크게 만들면 낙하하는 물체를 천천히 떨어지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카이다이빙을 할 때 몸을 활짝 펼쳐 단면적을 크게 만들면 저항력이 커져서 떨어지는 속도를 줄일 ... ...
5. 신소재 백화점 우주복
과학동아
l
2000년 02호
한다.20%의 산소와 80%의 질소로 구성돼 있는 지구의 대기는 약 5.5km의 해발고도에서는 공기
밀도
가 지상에 비해 약 절반 정도에 불과하고, 약 12km가 되면 공기층이 너무 얇아져서 압축산소마스크도 더 이상 제기능을 못한다. 해발고도 약 19km 이상의 높이에서는 호흡에 필요한 산소를 공급하고 우리 ... ...
물질의 비밀을 찾아가는 길
과학동아
l
2000년 01호
비슷한 다른 분자보다 녹는점과 끓는점이 훨씬 더 높고,
밀도
와 열용량이 크며, 고체의
밀도
가 액체보다 더 작은 매우 특별한 특징을 갖게 된다. 물의 이런 특성 때문에 지구상의 모든 생명체들이 물을 용매로 이용해서 생명을 이어갈 수 있다는 사실을 생각하면 분자의 모양과 대칭성이 얼마나 ... ...
스피드와 마찰의 조화, 스키
과학동아
l
2000년 01호
그리고 슬로프 각도의 코사인 값을 곱해 얻어진다(F마찰력= mgcosθ ). 공기저항은 공기의
밀도
(ρ)와 공기저항계수(C), 스키어가 통과하는 전방 면적(S), 그리고 스키어의 빠르기(V)의 제곱에 비례한다(F공기저항=$\frac{1}{2}$${ρCSV}^{2}$). 여기서 간단히 알 수 있는 사실은 스키어의 속도가 빠르면 빠를수록 ... ...
과학마술
과학동아
l
2000년 01호
설탕물 용액을 이용하면 무지개 물탑도 만들 수 있다. 이때 식용유를 먼저 넣은 상태에서
밀도
가 큰 용액부터 떨어뜨리면 용액이 천천히 떨어져 서로 섞이지 않으면서 순서대로 물탑이 만들어진다. 설탕 이외에 물에 잘 녹는 물질이라면 어느 것이나 사용할 수 있다.2.천하장사 고무장갑왜그럴까 ... ...
외계행성 직접 증거 포착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궤도를 돌고 있다. 질량은 목성의 60% 정도. 그러나 행성의 반지름은 목성보다 63%나 커서
밀도
가 매우 낮은 가스형 행성으로 알려지고 있다. 이렇게 커다란 가스형 행성은 중심별 가까이에서는 생성될 수 없기 때문에 원래는 좀더 먼 곳에서 행성이 만들어진 다음 안쪽으로 이동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 ...
Ⅲ. 미래형 신분증 DNA칩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간세포에서 생성되는 단백질 1만개가 무엇인지도 알 수 있다. 인간의 유전정보를 고
밀도
로 담은 DNA칩이 개발됐기에 가능해진 일이다.DNA칩은 말 그대로 인간의 유전정보인 DNA를 컴퓨터의 반도체 칩처럼 우표 크기의 판 위에 심어놓은 장치다. DNA칩은 기존의 분자생물학적 지식과 기계공학, 그리고 ... ...
세상에서 가장 작은 레이저포 개발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레이저가 발생한다. 또 초대규모집적회로(VLSI)를 제조하는 것과 비슷한 방법을 통해 고
밀도
의 마이크로레이저 행렬을 손쉽게 얻을 수 있다. 지름 10㎛(1㎛=${10}^{-6}$m)이 채 안되는 소형 레이저포가 다양한 크기로 무수히 밀집한 모습을 떠올리면 된다. 비용이 훨씬 절감되면서 ‘입맛에 맞는’ ... ...
이전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