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농도
밀집 상태
비중
에너지밀도
에너지
에네르기
빽빽함
d라이브러리
"
밀도
"(으)로 총 1,868건 검색되었습니다.
들판에 형성된 불가사의 원
과학동아
l
1999년 04호
떼지어 있다. 하늘에서 보면 원 바깥쪽에 있는 나무들의
밀도
는 빽빽한데 원 내부의
밀도
는 낮다. 원 안쪽 벌판은 바깥쪽보다 1-2m 정도 낮다.곰팡이설은 한 지점에서 균류에 의한 감염이 시작돼 원모양으로 주변부에 퍼져나갔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 숲에서는 곰팡이가 발견되지 않았고, 결정적으로 ... ...
컴퓨터 회로 1백분의 1로 줄일 수 있다
과학동아
l
1999년 04호
연구팀은 전자 오비탈이라는 5번째 요인이 변수로 작용한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전자
밀도
에 따라 에너지의 흐름 속도가 달라진다는 사실을 발견한 것이다.큰 덩어리의 물질을 작게 쪼갬으로써 회로의 크기를 줄이는 현재의 접근법은 한계에 직면하고 있다. 린세이는 “수십년 내에 컴퓨터 회로는 ... ...
① 빅뱅우주론에서 인플레이션까지
과학동아
l
1999년 04호
우주의 시간을 거꾸로 돌리면 모든 물질(은하와 별)이 한 점에 모이는 초고온 초
밀도
의 특이점이 생긴다. 즉 물리학으로는 도저히 설명할 수 없는 현상이 벌어지는데, 납득하기 어려웠던 것이다. 그래서 그들은 1948년 ‘정상우주론’(steady state cos-mology)을 들고 나왔다.정상우주론에서는 우주가 ... ...
③ 아인슈타인은 실수하지 않았다
과학동아
l
1999년 04호
있다. 하지만 양성자나 중성자 같은 중입자(baryon)로 만들어진 빛나는 천체들의 평균
밀도
는 겨우 ${Ω}_{0}$≃0.04±0.01에 불과하다. 이것은 우리 눈에 밝게 보이는 은하들은 이 우주에 ‘있어야 하는’ 질량의 10%가 채 되지 않음을 뜻한다. 결국 거의 소경이나 진배없는 천문학자들이 우주를 바라보며 ... ...
천문학자 밴 앨런과의 대화
과학동아
l
1999년 04호
매우 높은 압력에 의해 여기되면서 전류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목성에서는 태양풍의
밀도
가 지구의 25분의 1 밖에 안되지만 자기장이 워낙 강하여 태양풍 입자는 다 붙잡힌다. 지구의 자기장 세기는 목성의 1백분의 1이어서 태양풍 입자들을 대부분 놓친다. 그런데 밴 앨런대가 내대와 외대로 ... ...
② 관측우주론의 딜레마, 자식보다 어린 부모?
과학동아
l
1999년 04호
나오는 우주의 현재
밀도
인자의 값은 1(이 중 물질
밀도
인자는 0.3이고, 우주상수
밀도
인자는 0.7임)로서, 현재의 우주공간은 우주 곡률이 0인 편평공간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이 값들은 아직도 불확실해 정밀한 측정을 할 수 있는 연구가 앞으로도 많이 필요한 실정이다.현대우주론의 화두는 ... ...
Ⅲ. 에너지와 정보 저장의 보고 박막
과학동아
l
1999년 03호
문제가 된다. 따라서 신호의 세기를 일정하게 보상해주기 위해서는 단위면적당 전하
밀도
를 높여야 한다. 그러므로 D램에서 용량 증가는 결국 어떤 종류의 캐패시터 박막을 어떤 방식으로 만드느냐의 문제로 좁혀진다.1Mb 용량까지는 캐패시터의 유전체를 질화규소와 산화규소(Si₃N₄-SiO₂)의 ... ...
① 우주 탄생에서 박테리아 등장까지
과학동아
l
1999년 02호
원반과 같은 모습을 갖추기 시작했다. 수축이 어느 단계에 이르면 원반의 중심부가 높은
밀도
와 큰 질량을 갖게 되고, 그 결과 온도가 높아져 핵융합반응이 일어나 태양이 탄생한다. 이때 태양 주변에 떠돌던 먼지 입자가 모여 태양 주위를 도는 행성, 그리고 행성 주위를 도는 위성을 형성한다. ... ...
② 수소 발견 이야기
과학동아
l
1999년 01호
다른 금속과 산들의 반응에서 발생하는 가연성 공기가 모두 동일하다는 점과 이 공기의
밀도
가 보통 공기(대기)보다 매우 작다는 점을 발견했다. 캐번디시는 이 결과를 왕립학회에서 ‘인공의 공기들’이라는 제목으로 발표했다.18세기에는 이 가연성 공기 외에도 몇가지 새로운 공기가 다수 ... ...
④ 각광받는 미래에너지 수소
과학동아
l
1999년 01호
높은
밀도
로 유지하면서 가능한한 긴 시간 동안(1m3당 1천20개 이상의 플라스마
밀도
하에서 1초 이상) 가두어 두기 위한 실험장치들이 고안됐다. 그 중에서 옛소련의 사하로프와 탬에 의해 자기장을 가지는 진공용기로 개발된 토카막(Tokamak) 장치는 1968년 처음으로 1천만도로 초고온인 플라스마를 ... ...
이전
129
130
131
132
133
134
135
136
13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