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농도
밀집 상태
비중
에너지밀도
에너지
에네르기
빽빽함
d라이브러리
"
밀도
"(으)로 총 1,868건 검색되었습니다.
외계행성 직접 증거 포착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궤도를 돌고 있다. 질량은 목성의 60% 정도. 그러나 행성의 반지름은 목성보다 63%나 커서
밀도
가 매우 낮은 가스형 행성으로 알려지고 있다. 이렇게 커다란 가스형 행성은 중심별 가까이에서는 생성될 수 없기 때문에 원래는 좀더 먼 곳에서 행성이 만들어진 다음 안쪽으로 이동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 ...
교과서 실험 이의 있습니다
과학동아
l
1999년 11호
멀다.깔때기를 사용해 잉크나 색소를 떨어뜨리는 실험은 앞서도 언급한 바와 같이
밀도
와 확산이라는 개념을 복합적으로 관련시킬 때 유용하다. 또 단순히 물위에 잉크를 떨어뜨렸을 때 관찰할 수 있는 퍼짐이라는 개념에 갈등을 일으키기 위한 것도 아니다. 한마디로 본 수업의 목적과는 전혀 다른 ... ...
생물의 최후 천태만상
과학동아
l
1999년 11호
것이다. 확실한 원리를 밝히지는 못했지만 때가 되면 늙은 쥐들이 죽어줌으로써 집단의
밀도
를 낮춰 결과적으로 종족보존에 도움을 준다는 설명이 있다. 이런 일은 3-4년 주기로 반복해 일어난다.‘집단적인 죽음’을 행한다고 알려진 또다른 동물은 코끼리다. 코끼리는 자신의 죽음을 알아차리고 ... ...
병원에서 방사선을 쓰는 이유
과학동아
l
1999년 11호
X선 촬영. 뼈가 부러졌을 때 찍어보는 것이 이것이다. X선의 투과율이 어떤 물질이냐,
밀도
가 얼마이냐에 따라 달라지는 것을 이용하면 훨씬 많은 정보를 알 수 있다. X선 단층촬영법(CT)은 이런 성질을 이용해 컴퓨터로 몸 내부를 그린다.이밖에도 테크네튬-99를 이용해 몸의 특정 부위의 상태를 ... ...
과학적 사고와 문제해결력의 만남
과학동아
l
1999년 11호
답하라. 물분자 층의 두께를 어떻게 추산할 수 있는지 보여라.● 아하! 그렇군요.물의
밀도
를 1g/cm³라고 하면 1cm²의 지면에 고인 1mm의 두께의 물의 부피는 0.1cm³이므로 질량은 0.1g이다. 이것은 1/180몰에 해당한다. 1몰의 물을 기화시키는 데 4만1천J의 에너지가 필요하므로 1/180몰에는 약 2백30J의 ... ...
지구에서 가장 가까운 별 태양
과학동아
l
1999년 10호
내부의 에너지가 대류층까지 도달하는데는 1백만년이 넘게 걸린다. 대류층은 압력과
밀도
가 상대적으로 낮은 지역으로 에너지는 대류의 형태로 태양의 겉표면인 광구까지 이른다.딱딱한 표면이 없는 태양은 하나의 거대한 가스덩어리라고 할 수 있다. 내부를 감싸고 있는 표면층도 기체로 둘러 싸여 ... ...
무인도에서 만든 페트병 정수기
과학동아
l
1999년 09호
더럽혀진 물은 대부분 자연적으로 정화된다. 강이나 호수에서 큰 먼지나 흙가루가
밀도
차에 의해 바닥으로 가라앉고, 유기 물질은 공기중의 산소에 의해 산화된다. 또 더러워진 물이 강물이나 호수의 깨끗한 물과 합쳐지면서 묽어져서 오염도가 낮아지는 것도 대표적인 정수과정이다.이 실험에서 ... ...
오토매틱 잠수함
과학동아
l
1999년 08호
때까지 반복된다.이처럼 잠수함의 운동은 물에 대한 상대적인
밀도
에 좌우된다. 즉
밀도
가 물보다 작으면 뜨고, 크면 가라앉는다.구연산의 분자량은 210이고 탄산수소나트륨의 분자량은 84이다. 1몰의 구연산은 3몰의 탄산수소나트륨과 반응을 하므로 반응이 잘 일어나는 구연산과 탄산수소나트륨의 ... ...
별은 어떻게 죽어 가는가
과학동아
l
1999년 08호
작은 백색왜성이 되는 마지막 단계에서는 한 숟갈의 무게가 5.5t이나 되는 엄청난
밀도
를 갖는다. 태양은 1백30억살이 되면 빛을 완전히 잃고 흑색왜성이 돼 차갑게 죽어갈 것이다.대낮에도 빛나는 별 초신성은하를 이루는 별들을 모두 합친 것보다 더 밝은 빛을 내며 죽어가는 별이 초신성이다. ... ...
1. 인간은 색을 어떻게 구별하나
과학동아
l
1999년 08호
황반이 물체에 관한 매우 상세한 정보를 뇌에 제공할 수 있는 것은 원추세포의 분포
밀도
가 높아서 신경세포와 1대 1로 접합하고 있기 때문이다. 간상세포는 명암의 구별에 관여하고 원추세포에는 적색, 녹색, 청색광에 예민한 세 종류의 세포가 있어 색깔을 구별할 수 있다. 사람에게 보이지 않는 ... ...
이전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