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입자
구성원
극소량
티끌
미립자
분자농도
농도
d라이브러리
"
분자
"(으)로 총 3,240건 검색되었습니다.
트론 : 새로운 시작(Tron: Legacy)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비슷한 생각을 했다. 그는 1988년에 쓴 ‘정신의 자손’이라는 책에서 현실의 사물을
분자
단위로 스캔해 정보를 읽어 들인 뒤, 그 정보를 로봇의 신체에 ‘다운로드’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했다. 인간의 의식이 로봇에 옮겨지는 것이다. 그는 생물에 비해 더 견고하고 정보처리 및 이동의 제약이 ... ...
엄지공주도 깜짝 놀란 마이크로 세상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23호
뇌로 보낸다. 뱀●2010 니콘 스몰월드 수상 후보작●매리 앤더슨●스웨덴 우메아대학교
분자
생물학과●배율 20배모기의 눈을 확대한 모습. 수천 개의 눈이 모여 하나의 원 모양을 이루는 겹눈이다. 마치 갑옷이나 나무를 칭칭 감고 있는 뱀을 연상시킨다. 이유 있는 숲 속 친구들의 생김새숲 속에 ... ...
우주가 들썩 들썩~, 지구를 지켜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21호
최소 30억 년 이상 지구에서는 약 30억 년 전 남조류와 같이 광합성 으로 산소와 같은 유기
분자
를 만들 수 있는 생명체가 생겨났다. 현재의 인류가 나타난 건 불과 12만 년 전이다. 따라서 행성이 탄생하고 최소 30억년은 지나야 지능을 가진 생명체가 있을 가능성이 있다고 본다.❹ 암석으로 이뤄진 ... ...
주사바늘은 가라! 붙이는 주사약 개발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15호
찌르는 대신 피부에 붙이면 되는 주사약이 나올 테니까요.미국 조지아공과대학 화학생명
분자
공학과 마크 프라우스니츠 교수 연구팀은 콘텍트렌즈의 재료이기도 한 ‘폴리비닐피롤리돈’이라는 플라스틱을 이용해 길이가 0.65㎜이고 속이 빈 작은 바늘을 만들었어요. 그런 뒤 이 바늘에 백신을 넣고, ... ...
금성도 옛날엔 물 부자!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14호
생명이 살 뻔했단 거죠. 물이 있으면 생명이 태어날 수 있으니까요. 하지만 제 몸에서 물
분자
가 계속 빠져 나가는 바람에 바다도 생명도 결국 안 생겼지요. 유럽우주국이 연구를 계속해 제가 어떻게 지금의 모습이 되었는지 밝혀 줄 거예요 ... ...
특종! 고슴도치 섬에 우주인이 나타났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13호
*모세관 현상 : 액체
분자
들끼리 잡아당기는 힘과 액체에 꼽혀 있는 가느다란 관과 액체
분자
가 서로 잡아당기는 힘이 차이가 나면서 액체가 관을 타고 오르내리는 현상.도전! 나만의 양초 만들기!➊ 양초의 몸통으로 쓸 파라핀과 꾸미는 데 쓸 여러 색깔의 파라핀 덩어리를 분리한다. 큰 파라핀 ... ...
5
분자
를 정리하는 수학 아이디어, 군
수학동아
l
2010년 12호
“이렇게
분자
의 모양을 이용해
분자
나라를 잘 정리할 수 있었던 건 수학의 아이디어가 있었기 때문이야. 조금은 어렵고 생소하겠지만 너희들에게 ‘군(group)’이라고 부르는 ... 대칭요소를 찾아서! 4
분자
, 거울에 비춰보다!5
분자
를 정리하는 수학 아이디어, 군
분자
에 숨어 있는 수학 . ...
미생물 바이오 공장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0%를 대체할 것으로 내다봤다. 네덜란드 위트레흐트대의 연구팀은 2009년에 “2020년이면 고
분자
화합물 시장의 최대 90%를 미생물이 만들 것”이라고 예상했다. 대사공학을 통한 바이오소재와 바이오연료의 생산경쟁은 국제적으로 치열하다. 앞서 말한 듀폰사 외에도 세계적 농업기업 카길과 다국적 ... ...
Part 1. 한의학은 과학이다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이번 ‘네이처 뉴로사이언스’에 발표된 새로운 메커니즘은 아데노신이라는 신호
분자
가 관여한다. 즉 침의 자극을 받은 세포의 표면에서 아데노신이 만들어지면 A1R이라는 수용체가 이를 감지해 진통효과를 인다는 것. 흥미롭게도 A1R은 카페인에도 반응한다. 따라서 A1R이 이미 카페인과 합돼 있다면 ... ...
과거가 없는 현재, 현재가 없는 미래는 없다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경험을 예로 들어가며 과학 연구에서 과거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맥그래스 교수가
분자
생물학을 처음 접할 당시는 생물학계가 왓슨과 크릭의 DNA 구조 발견으로 인해 급속한 성장기에 접어들 때였다. 당시 20대 초반이었던 맥그래스 교수는 끊임없는 발견과 새로운 연구 성과에 고무돼 있었지만, 어느 ... ...
이전
118
119
120
121
122
123
124
125
12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