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인공위성
텔스타
우주선
첨성
달별
d라이브러리
"
위성
"(으)로 총 2,712건 검색되었습니다.
'조명'받는 LED 조명
과학동아
l
2010년 03호
식물공장도 비추고어업과 농업 같은 1차 산업에도 LED조명이 본격 진출하고 있다. 인공
위성
에서도 보인다는 동해안 오징어잡이배의 집어등 빛 역시 LED조명으로 바뀌고 있다. 깜깜한 밤 불빛으로 오징어를 끌어들이는 오징어잡이는 옛날 횃불에서 시작해 지금은 대부분 메탈할라이드등을 쓰고 있다. ... ...
π-day 즐기기 3 깊이 들여다보기
수학동아
l
2010년 03호
파이값이 필요하지. 파이값을 잘못 계산하면 인공
위성
이 궤도에서 벗어나기도 한대. 인공
위성
이 우주 미아가 되고 마는 거지. 이런 실제 생활의 예를 보면 수학을 통해 과학은 늘 발전하고 진화하는 것 같아.이제 슬슬 파티를 마무리해야 할 것 같아. 아쉽지만 파티를 통해 나와 더 친근해졌길 바라. ... ...
태풍에서 기상예보까지
수학동아
l
2010년 03호
발사해 공기 중의 물방울에 부딪쳐 돌아오는 반사파를 분석해 비를 예측할 수 있어요.
위성
이나 비행기에서 관측한 사진이나 자료는 넓은 지역의 기상변화를 보는 데 중요합니다. 기상현상은 세계 전체적인 흐름이므로 세계 곳곳의 관측소는 같은 시각에 관측한 값을 공유하기도 해요. 이렇게 모은 ... ...
“여기는 아라온호, 남극 대륙이 눈앞에 보인다”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전문가가 승선하는데, 이들의 역할은 남극 위에 머물고 있는 인공
위성
이 보내온 실시간 얼음 정보를 분석해 바른 뱃길을 찾는 것이다. 국내에는 아직 이 분야의 전문가가 없어 이번 항해를 통해 러시아 전문가에게 전문 지식을 전수받을 예정이다. 또 아라온호에는바다 위를 떠다니는 크고 작은 유빙 ... ...
태양보다 200배 큰 별 폭발 장면 잡았다 !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노력해 왔다. 최근에는 반경이 수m인 대형 망원경뿐 아니라 허블우주망원경과 같은 인공
위성
탑재 망원경에 이르기까지 규모나 성능에서 획기적으로 발전했다. 이러한 노력의 궁극적인 목표는 지금까지 보지 못했던 먼 우주를 보는 것이다. 먼 우주에서 온 빛이 지구에 도달하기까지 긴 시간이 ... ...
웰컴투 초음속 월드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2호
로켓엔진이 유일해요. 지난해 8월 쏘아 올린 ‘나로 호’도 306㎞ 높이의 상공에 과학기술
위성
2호를 올리기 위해 이 속도로 대기권을 벗어났지요.로켓엔진은 내부의 공기 압력 차이로 날아가는 제트엔진과 달리, 연료를 태운 뒤 연소 가스를 빠르게 내뿜어서 날아가는 엔진이에요. 추진력이 큰데다 ... ...
한반도 상공 지킬 비밀 병기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선발하면 효율적”이라고 설명했다. 한국은 2019년 순수 우리 힘으로 만든 한국형
위성
발사체(KSLV-II)를 쏘아 올릴 계 획이다. 2020년에는 달 궤도에 탐사선을 진입시키고, 2025년에는 달에 탐사선을 착륙시킬 예정이다. 외국의 경 우 보통 유·무인 우주탐사 계 획의 시행 간격이 5년임을 고려 하면 203 ... ...
밤에 더 빛나는 구름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NASA)은 최근 ‘중간권 얼음현상 대기물리학(AIM)’
위성
이 포착한 야광운(夜光雲) 사진을 공개했다. 야광운은 극지방과 노르웨이, 알래스카 같은 고위도 지방의 밤하늘 80km 상공에서 빛을 발하는 구름을 말한다. 지구에서 가장 높이 떠 있어 해가 진 뒤에도 햇빛을 계속 반사한다. 그래서 깜깜한 밤에도 ... ...
새해 첫 천문이벤트 금환일식을 즐기자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가려 덜 어두운 지역은 부분일식이 진행된다. 실제로 개기일식이 일어나는 지역을 인공
위성
에서 내려다보면 달의 그림자가 지구 위에 드리워져 어둡게 보인다. 달이 해를 완전히 가리는 개기일식 때는 코로나나 홍염 같은 현상을 쉽게 관찰할 수 있다.달에 가린 해가 고리 모양을 하는 금환일식은 ... ...
“공군, 이제 우주로 간다”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등에서 위탁교육을 받고 있다. 또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이 지난 8월 한국 최초
위성
발사체 나로호(KSLV-I)를 발사할 때 지원하기도 했다. 공군은 도움이 필요한 여러 연구 기관들과 실질적 협력을 확대해 가고 있다.”▶ 2010년부터 공군 장교 가운데 우주비행사 후보를 뽑아 훈련시킨다고 알고 있다 ... ...
이전
118
119
120
121
122
123
124
125
12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