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인공위성
텔스타
우주선
첨성
달별
d라이브러리
"
위성
"(으)로 총 2,712건 검색되었습니다.
수성에서 발견된 ‘검은 물체’ 미스터리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나타나는 괴상한 검은 물체(원 안)의 정체는 무엇일까”라는 질문을 던졌다. 크레이터란
위성
이나 행성 표면에서 관측되는 다양한 형태의 구멍이나 웅덩이를 가리킨다. 사진에 찍힌 크레이터의 크기와 비교했을 때 괴상한 물체의 길이는 10㎞에 이른다.사진을 본 대다수 누리꾼들은 “큰 유성이나 ... ...
밤에 더 빛나는 구름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NASA)은 최근 ‘중간권 얼음현상 대기물리학(AIM)’
위성
이 포착한 야광운(夜光雲) 사진을 공개했다. 야광운은 극지방과 노르웨이, 알래스카 같은 고위도 지방의 밤하늘 80km 상공에서 빛을 발하는 구름을 말한다. 지구에서 가장 높이 떠 있어 해가 진 뒤에도 햇빛을 계속 반사한다. 그래서 깜깜한 밤에도 ... ...
발견 400주년 목성 4대
위성
과 그 형제들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갈릴레오 갈릴레이는 자신이 만든 망원경으로 목성의
위성
을 발견한 사 실을 지금으로부터 딱 400년 전인 1610년 1월 7일 쓴 한 편지에 언급했 다. 이 ... 칼리스토에 대한 탐사를 목적으로 하고 있다.400년 전 갈릴레오가 겨우 존재를 파악한 목성
위성
에 인류의 발자국이 찍힐 날은 언제일까 ... ...
2부. 훌륭한 리더는 수로 다스린다!
수학동아
l
2010년 01호
지리 백과사전에 이 표가 있지요. 이렇게 만든 김정호의 대동여지도는 오늘날 인공
위성
이 찍어 보낸 우리나라의 지도와 거의 일치합니다.대동여지도의 도로와 물길에서도 수학적인 측면을 찾을 수 있습니다. 목판 위에 지도를 그려야 했던 김정호 선생은 물길과 도로를 색깔로 구분할 수 ... ...
2030년 한반도 하늘과 땅 손금 보듯 살핀다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위성
을 공격하는 레이저 무기를 확보하는 방안도 구상 중이다. 군과 민간에서 사용되는
위성
위치확인시스템(GPS)에 한국의 독자 기술도 추가될 전망이다.공군은 한국 첫 우주인이 배출된 2008년에 우주 정책과 기획업무를 담당할 우주전문인력을 최초로 뽑았다. 조종, 항공통제, 방공포처럼 ... ...
사이언스誌 선정 10대 과학뉴스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발사된 뒤
위성
보호용 덮개(페어링) 한쪽이 정상적으로 분리되지 않아 과학기술
위성
2호를 궤도에 진입시키지 못했다.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은 페어링 분리에 실패한 원인을 아직 조사 중이다. 정부는 2010년 상반기 나로 호 2차 발사를 앞두고 있다. 2009년 과학기술 뉴스 2위는 2000억 원에 이르는 연구용 ... ...
두 남자의 호주 사막 조난기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강은 거의 메말라 있었다. 먹을 물을 얻지는 못하지만 차가 지나가기엔 이상적이었다.
위성
위치확인시스템(GPS)이 목적지에서 70km 떨어진 위치를 가리키고 있을 때쯤 세 번째 위기가 닥쳤다.오르막길 중간에 패인 물웅덩이를 통과하기 위해 기어를 저단에 놓고 엑셀레이터 페달을 힘차게 밟았다. ... ...
The Best Invention of the Year: NASA's Ares Rockets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이 새로운 발상이 실현되면 우주인은 행성에 순회방문을 하거나 달, 화성, 화성의 두
위성
주변을 공전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면서 암석을 채집하고 실험을 수행할 탐사선을 보낼 수 있다. 비슷한 방식으로 지구 근처 소행성에도 접근할 수 있을 것이다.이러한 예측이 낙관적인지 여부를 증명할 ... ...
한반도 상공 지킬 비밀 병기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선발하면 효율적”이라고 설명했다. 한국은 2019년 순수 우리 힘으로 만든 한국형
위성
발사체(KSLV-II)를 쏘아 올릴 계 획이다. 2020년에는 달 궤도에 탐사선을 진입시키고, 2025년에는 달에 탐사선을 착륙시킬 예정이다. 외국의 경 우 보통 유·무인 우주탐사 계 획의 시행 간격이 5년임을 고려 하면 203 ... ...
도넛 가득한 세상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우주정거장은 대부분 도넛 모양이다. 우주정거장은 지구 주변에서 일정 궤도를 돌면서
위성
이나 미사일을 발사하거나 우주선에 연료를 보급하고, 우주인들이 과학 실험을 할 수 있는 대형우주구조물이다. 지구에 있는 네모 반듯한 건물과 달리 우주정거장 모양이 특별한 이유는 우주 공간이 무중력 ... ...
이전
119
120
121
122
123
124
125
126
12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