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보존
지속
보전
기름종이
지탱
관리
보유
d라이브러리
"
유지
"(으)로 총 5,684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4. 푸드트럭 장수의 비결
수학동아
l
2017년 12호
유지
비율(r)이 높을수록 고객 생애 가치는 아래 그래프처럼 급격히 증가한다. 고객을
유지
하는게 당장의 이익보다 중요한 것이다. 김손님의 요구대로 음식을 새로 줘 단골로 만드는 게 합리적인 이유다. 푸드트럭을 주제로 한 영화 ‘아메리칸 셰프’의 실제 주인공인 로이 최가 취한 전략도 ... ...
[과학뉴스] 따뜻하면서 시원한 옷, 개발될까
과학동아
l
2017년 12호
놓느냐가 온도변화를 크게 좌우했다“며 “이 직물이 옷으로 개발된다면 건물의 온도를
유지
하는 데 드는 에너지를 20~30% 절약할 수 있다”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어드밴시스’ 11월 10일자에 실렸다. doi:10.1126/sciadv.170089 ... ...
Part 2. 100년 日기초과학 경쟁력의 상징
과학동아
l
2017년 12호
과학자는 최대한 배제한다”며 “엄격한 선발 기준을 통해 R&D 평가 결과에 대한 신뢰를
유지
한다”고 말했다. 과학자문위원으로 임명된 연구자들은 과거에 진행했거나 현재 진행하고 있는 연구 협력 관계도 투명하게 공개해야 한다. 풀데 박사는 “막스플랑크연구소는 연구자에 대한 신뢰가 ... ...
[인터뷰] 상산젊은수학자상 수상자➊ 오세진 교수
수학동아
l
2017년 12호
있는 개체는 동떨어지기 싫어서 이웃과 가까워지려고 하며, 그 사이에서 적당한 거리를
유지
하는 개체는 이웃과 속도를 맞추고 의견을 나누면서 상호작용하려고 한다는 간단한 이론을 소개했어요. 이 이론을 토대로 하면 새들이 군집을 이뤄 날아가는 현상, 물고기가 떼를 지어 헤엄치는 현상도 ... ...
Part 3. 소라게, 인공집은 과연 필요할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1호
인해 고둥껍데기가 사라진다!바닷물의 산도는 아주 오랫동안 pH 8.1~8.2 사이로 일정하게
유지
돼 왔어요. 해양생물들은 여기에 맞춰 적응해 왔지요. 그런데 산업혁명 이후 대기 중의 이산화탄소 양이 급격히 늘어나 상당량이 바다로 녹아 들어갔어요. 그 결과 바닷물의 수소 이온 농도가 상승해 ... ...
[과학뉴스] 오징어 위장술 모방한 신소재 개발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조사했다. 두족류는물속을 헤엄칠 때는 유체 저항을 줄이기 위해 매끈한 피부를
유지
하다가 몸을 숨겨야 할 필요가 생기면 0.2초 만에 피부 위에 원통형 돌기를 세운다(아래 사진). 유럽의 한 오징어 종은 최소 9개 그룹의 피부 돌기를 각각 제어할 수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연구에 참여한 로저 한론 ... ...
[Issue] 양자컴퓨터 전쟁 시작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공개함으로써 빨리 상용화 시키기 위한 것”이라고 평가했다. IBM은 현재 시스템을
유지
하면서 수년 안에 50큐비트 양자컴퓨터를 개발할 계획이다. 개발에 성공하면 유료화 전환을 통해 이익을 창출할 것으로 보인다. 포브스는 이런 IBM의 전략에 대해 “현재는 IBM이 영업 감소 위기를 맞았지만, ... ...
Part 4. 아쿠아 맨의 삼지창 초속 100m 초공동 어뢰로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적당하다. 문제는 삼지창은 포크처럼 창살이 여러 개로 갈라져 있어 초공동 현상이
유지
되기 어렵다는 점이다. 각각의 창살에 초공동 현상이 생기더라도 이것들을 가로로 잇는 가로방향 봉 때문에 초공동이 길게 만들어지지 않는다. 따라서 창살 간의 거리를 최대한 좁히거나, 당초 계획했던 ... ...
[Origin] 이기적 유전자는 왜 중요한가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한다는 조건이다.”(번역서 85쪽) 복제본의 형태로 수십, 수백만 년 동안 안정적으로
유지
되기에 자연 선택이 그 중 더 ‘이기적인’ 버전을 마음 놓고 고를 수 있게 해주는 실체를 도킨스는 ‘복제자’라고 불렀다. 물론 지구를 장악한 복제자의 일종에게 붙여진 이름은 유전자다. 요컨대, 복제자는 ... ...
Part 1. 유연해진 로봇이 온다!
수학동아
l
2017년 11호
원리를 이용해 로봇을 만들면 이보다 훨씬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어요. 구조를
유지
하면서 여러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게 하는 원리를 응용하는 것이지요. 종이접기를 활용해 곤충 크기의 소형 로봇을 만들고 있는 고제성 아주 대학교 기계공학과 교수는 “종이접기를 활용하면 기존 방법보다 작게 ... ...
이전
118
119
120
121
122
123
124
125
12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