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보존
지속
보전
기름종이
지탱
관리
보유
d라이브러리
"
유지
"(으)로 총 5,684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4. 거대로봇, 기하학으로 일어서다
수학동아
l
2017년 11호
몸통이 너무 무거우면 걷기는커녕 서 있지도 못할 거예요. 그래서 재료의 단단함은
유지
하면서 가벼운 기하학적 구조인 ‘트러스’를 이용해 로봇을 설계했어요. 트러스 구조는 삼각형 모양을 이어 붙여 만들어요. 다리나 건축물 등에 널리 쓰이는 구조로 쓰는 재료의 양에 비해 큰 무게를 견딜 수 ... ...
Part 4. 아쿠아 맨의 삼지창 초속 100m 초공동 어뢰로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적당하다. 문제는 삼지창은 포크처럼 창살이 여러 개로 갈라져 있어 초공동 현상이
유지
되기 어렵다는 점이다. 각각의 창살에 초공동 현상이 생기더라도 이것들을 가로로 잇는 가로방향 봉 때문에 초공동이 길게 만들어지지 않는다. 따라서 창살 간의 거리를 최대한 좁히거나, 당초 계획했던 ... ...
[과학뉴스] 왜행성 ‘하우메아’서 고리 발견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분류했다. 왜행성은 태양 주위를 공전하며 천체 모양을 구형 또는 타원형으로
유지
하는 중력을 가지면서도 다른 행성의 위성이 아닌 천체를 말한다. 행성과의 차이점은 공전 궤도 인근에 다른 천체들을 흡수하거나 튕겨내지 못했다는 점이다. 이런 이유로 명왕성이 행성에서 왜행성으로 강등됐다 ... ...
Part 3. 원더우먼 굴복의 팔찌, 천의 얼굴 플라스마로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공격이 왔을 때 재빨리 팔을 들어 방어하는 것처럼 말이다. 한편 일정 기간 투명하게
유지
되는 보호막도 플라스마로 구현할 수 있다. 1995년 미국 브룩헤이븐국립연구소(BNL)의 물리학자 어디 허쉬코비치가 첫 가능성을 열었다. 그는 진공 챔버 안으로 외부 공기가 들어오는 것을 막는 용도로 ... ...
[Origin] 이기적 유전자는 왜 중요한가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한다는 조건이다.”(번역서 85쪽) 복제본의 형태로 수십, 수백만 년 동안 안정적으로
유지
되기에 자연 선택이 그 중 더 ‘이기적인’ 버전을 마음 놓고 고를 수 있게 해주는 실체를 도킨스는 ‘복제자’라고 불렀다. 물론 지구를 장악한 복제자의 일종에게 붙여진 이름은 유전자다. 요컨대, 복제자는 ... ...
[Career] 우리만 가졌다 차세대 전극 제조법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전극의 성능을 판단하는 요소인 면저항이 두 달이 지나도 ITO 전극과 비슷한 수준으로
유지
됐다. 기존 구리나노선 전극은 하루만 공기 중에 둬도 면저항이 약 100배나 증가한다. 이 교수는 “휘어지는 디스플레이 및 태양전지를 안정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는 기본적인 조건이 갖춰진 셈”이라고 ... ...
Part 1. 유연해진 로봇이 온다!
수학동아
l
2017년 11호
원리를 이용해 로봇을 만들면 이보다 훨씬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어요. 구조를
유지
하면서 여러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게 하는 원리를 응용하는 것이지요. 종이접기를 활용해 곤충 크기의 소형 로봇을 만들고 있는 고제성 아주 대학교 기계공학과 교수는 “종이접기를 활용하면 기존 방법보다 작게 ... ...
[공룡은 왜?] 공룡이 돌을 먹는다고? 용각류 위석의 비밀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1호
삼킨 걸까요?용각류들이 위 속에 지녔던 ‘위석’용각류 공룡들은 커다란 몸집을
유지
하기 위해 하루 종일 많은 양의 식물을 먹어야 했어요. 대표적인 용각류인 브라키오사우루스는 몸무게가 30∼80t, 목 길이만 12m인 대형 공룡으로, 하루에 식물을 2t씩 먹었다고 알려져 있지요. 이 때문에 용각류 ... ...
Part 3. 소라게, 인공집은 과연 필요할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1호
인해 고둥껍데기가 사라진다!바닷물의 산도는 아주 오랫동안 pH 8.1~8.2 사이로 일정하게
유지
돼 왔어요. 해양생물들은 여기에 맞춰 적응해 왔지요. 그런데 산업혁명 이후 대기 중의 이산화탄소 양이 급격히 늘어나 상당량이 바다로 녹아 들어갔어요. 그 결과 바닷물의 수소 이온 농도가 상승해 ... ...
[과학뉴스] 오징어 위장술 모방한 신소재 개발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조사했다. 두족류는물속을 헤엄칠 때는 유체 저항을 줄이기 위해 매끈한 피부를
유지
하다가 몸을 숨겨야 할 필요가 생기면 0.2초 만에 피부 위에 원통형 돌기를 세운다(아래 사진). 유럽의 한 오징어 종은 최소 9개 그룹의 피부 돌기를 각각 제어할 수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연구에 참여한 로저 한론 ... ...
이전
119
120
121
122
123
124
125
126
12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