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보존
지속
보전
기름종이
지탱
관리
보유
d라이브러리
"
유지
"(으)로 총 5,684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뉴스] 오징어 위장술 모방한 신소재 개발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조사했다. 두족류는물속을 헤엄칠 때는 유체 저항을 줄이기 위해 매끈한 피부를
유지
하다가 몸을 숨겨야 할 필요가 생기면 0.2초 만에 피부 위에 원통형 돌기를 세운다(아래 사진). 유럽의 한 오징어 종은 최소 9개 그룹의 피부 돌기를 각각 제어할 수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연구에 참여한 로저 한론 ... ...
Part 4. [이그노벨상] 고양이는 고체일까, 액체일까?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선정됐다. 연구팀은 수학 공식을 이용해 어린 고양이가 늙은 고양이보다 모양을 오래
유지
할 수 있다는 결론을 도출했다(Rheology Bulletin, vol. 83 No. 2, Jul 2014). 듬이벌레를 관찰했다. 놀랍게도 암컷과 수컷의 생식기가 뒤바뀌어 있었다. 곤충은 보통 수컷이 암컷 위에 올라타고 교미하는데, 이조차도 ... ...
Part 5. [노벨상 예측] 노벨상 제정 벌써 117년 향후 노벨상 탈 연구는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면역세포(특히 T세포)가 암세포를 공격하게 하는 방법이다. 본래 우리 몸은 항상성을
유지
하기 위해 면역 활성화 시스템과 면역 억제화 시스템을 모두 갖고 있다. 그런데 암세포는 면역체계의 감시를 피하기 위해 면역 억제화 시스템을 강화한다. 이렇게 되면 면역 억제화 시스템을 이루는 분자인 ... ...
[Photo] 위대한 후원자의 이름 딴 스미스소나이트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규모를 짐작할 수 있다. 그의 유산은 미국에게 특별한 선물이 됐다. 미 정부는 그의
유지
를 잘 살려 미국인은 물론 세계인들에게 깊고 넓은 지식을 제공하는 세계 최고의 박물관을 1881년 건립했다. 1905년에는 이탈리아 제노바의 영국인 묘지에 안장돼 있던 스미스슨의 시신을 미국으로 가져와, ... ...
[Culture] 캐나다 국방연구개발원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향상시키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습니다. 쉽게 말해 전투기 또는 잠수함에서 군인의 생명
유지
시스템을 연구하고 보호복을 개발하는 연구들입니다. 여기에 쓰이는 연구 장비는 무기를 만드는 쪽과는 거리가 멉니다. 토론토연구센터는 인간이 어느 정도의 중력을 견딜수 있는지 테스트하는 중력가속도 ... ...
Part 1. 기이한 술법 3가지
수학동아
l
2017년 11호
홍학은 안정적으로 서서 균형을
유지
했습니다. 심지어 몸을 흔들어도 한 발 자세를
유지
했습니다. 두 다리로 세우자 오히려 균형을 잡지 못했지요. 비결은 무게중심의 위치입니다. 무게중심은 작용하는 총 중력의 작용점입니다. 중력에 의한 합력이 0이 되는 기준점을 말하지요. 가느다란 다리에 ... ...
위상수학자가 도넛을 사랑하는 이유
수학동아
l
2017년 11호
남기고 나머지 조각을 버리는 상황을 상상해 봅시다. 남은 조각 몇 개로 곡면 전체를
유지
할 수 있는 경우, 이 곡면을 ‘유한하다’ 또는 ‘콤팩트하다’고 부릅니다. 반면 절대로 조각 몇 개로 만들 수 없는 곡면이 있습니다. 모든 방향으로 무한히 뻗어나가는 평면은 유한하지 않은 곡면의 대표적인 ... ...
Part 4. 거대로봇, 기하학으로 일어서다
수학동아
l
2017년 11호
몸통이 너무 무거우면 걷기는커녕 서 있지도 못할 거예요. 그래서 재료의 단단함은
유지
하면서 가벼운 기하학적 구조인 ‘트러스’를 이용해 로봇을 설계했어요. 트러스 구조는 삼각형 모양을 이어 붙여 만들어요. 다리나 건축물 등에 널리 쓰이는 구조로 쓰는 재료의 양에 비해 큰 무게를 견딜 수 ... ...
Part 3. 소라게, 인공집은 과연 필요할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1호
인해 고둥껍데기가 사라진다!바닷물의 산도는 아주 오랫동안 pH 8.1~8.2 사이로 일정하게
유지
돼 왔어요. 해양생물들은 여기에 맞춰 적응해 왔지요. 그런데 산업혁명 이후 대기 중의 이산화탄소 양이 급격히 늘어나 상당량이 바다로 녹아 들어갔어요. 그 결과 바닷물의 수소 이온 농도가 상승해 ... ...
[과학뉴스] 왜행성 ‘하우메아’서 고리 발견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분류했다. 왜행성은 태양 주위를 공전하며 천체 모양을 구형 또는 타원형으로
유지
하는 중력을 가지면서도 다른 행성의 위성이 아닌 천체를 말한다. 행성과의 차이점은 공전 궤도 인근에 다른 천체들을 흡수하거나 튕겨내지 못했다는 점이다. 이런 이유로 명왕성이 행성에서 왜행성으로 강등됐다 ... ...
이전
119
120
121
122
123
124
125
126
12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