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천체
날씨
일기
기후
양미간
눈살
미간
d라이브러리
"
천문
"(으)로 총 3,078건 검색되었습니다.
[시사] 상부상조를 위한 수학, 보험
수학동아
l
2012년 07호
수 있게 됐다. 이를 근거로 생명보험을 만드는 것이다.생명표는 핼리혜성으로 유명한
천문
학자 에드몬드 핼리가 1693년에 처음으로 만들었다. 핼리는 수년동안 공동묘지를 다니며, 묘비에 새겨진 사망자들의 기록을 수집해 인간생명에 관한 통계를 완성했다. 이 통계를 이용해 수학자 제임스 ... ...
Part 1. 태양보다 100억 배 무거운 블랙홀 있다!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그의 책에서 “거대질량 블랙홀은 레버가 1939년 이미 발견한 것이었다”며 “그러나
천문
학자들이 블랙홀이라고 결론을 내릴 때까지는 40년이 걸렸다”고 쓰고 있다.중간질량 블랙홀 연구도 활발2000년대 들어 중심에 거대질량 블랙홀이 있는 것으로 보이는 은하가 계속 발견됨에 따라 이제 거대질량 ... ...
우주 불꽃놀이 ‘거대 플레어’의 비밀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9월 1일 관측된 것으로, 이 때 처음으로 존재가 확인됐다.마에하라 히로유키 일본 교토대
천문
학과 교수팀은 미국항공우주국(NASA)의 케플러 우주망원경이 2009년부터 반복해서 관측해온 약 8만 3000개의 태양형 항성의 관측 자료를 분석했다. 이 중 갑자기 밝기 변화가 크게 일어난 별을 골라 원인을 ... ...
과학사에 등장한 4대 악마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라플라스의 악마에게 그 답을 묻고 싶다. [피에르-시몽 라플라스(1749-1827) - 프랑스의
천문
학자 겸 수학자. 그가 1827년 완성한 ‘천체역학’은 뉴턴의 ‘프린키피아’와 맞먹는 명저다. 수학에서는 그가 남긴 ‘라플라스 변환’과 ‘라플라스 방정식’이 유명하다.]‘맥스웰의 악마’는 꽤나 ... ...
시로 읊고 퍼즐로 푼다! 수학 삼국지
수학동아
l
2012년 06호
얻기도 했다. 행성의 위치에 대한
천문
관측과 지리학 연구에 쓰이는 수학적 기법과
천문
장비 등에 대해 연구했다.중국의 주판이나 인도의 숫자를 비롯한 아시아의 수학과 도구가 서양으로 전해져 수학 발전의 밑거름이 됐다. 그동안 서양 수학에 비해 많이 알려져 있지 않았던 아시아의 수학사를 ... ...
Intro. 우주의 괴수 거대질량 블랙홀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어떻게 이런 거대한 덩치를 키웠을까. 이런 의문은 여전히 해결되지 않았지만 최근
천문
학자들은 이에 대해 하나 둘 답을 하기 시작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우주의 괴수 거대질량 블랙홀Part 1. 태양보다 100억 배 무거운 블랙홀 있다!Part 2. 은하 안방 차지하고 무수한 별 ... ...
종말론 뒤집은 마야달력 발견!
수학동아
l
2012년 06호
천문
학 계산을 한 상형문자도 고스란히 남아 있었다.연구팀은 “이와 같은 복잡한
천문
계산은 마야 달력을 만들기 위해 필요했을 것”이라며, 마야 달력의 위대함을 강조했다 ... ...
Part 2. 은하 안방 차지하고 무수한 별 먹었다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위성이 이 순간을 최초로 포착했다.우리나라에서도 서울대 초기우주천체연구단과 한국
천문
연구원의 연구진이 보현산 1.8m 망원경을 비롯한 여러 지상관측 시설을 이용해 이 현상이 실제로 조석파괴이며, 이를 일으킨 거대질량 블랙홀의 질량이 태양의 약 1000만 배라는 중요한 사실을 알아내는 데 ... ...
지옥보다 독한 극한실험실5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결합이 느슨해져 거의 점성이 없는 묽은 수프나 기체처럼 변하게 하는 온도다. 이는
천문
학자들이 대폭발(빅뱅) 시기와 같다고 보는 상태다. 이 실험을 ‘미니빅뱅’이라 부르는 이유다.한 가지 재밌는 사실은 기네스 기록도 우주 최고의 온도로 빅뱅을 꼽고 있다는 점이다. 인류가 직접 경험하지 ... ...
Intro. 우주를 뛰어넘은 사랑 가능할까 - 다중우주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단 한번도 확인할 수 없던 일”이다. 그나마 가설이나 이론을 만들 수 있게 된 것도 관측
천문
학이 발달한 불과 몇 십 년밖에 되지 않는다. 만약 우리가 사는 우주 외에 또다른 우주가 있다면 과연 어떤 모습일까. 지금부터 다중우주를 찾는 (가상의) 모험을 시작해 보자. 모험은 크게 세 부분으로 ... ...
이전
118
119
120
121
122
123
124
125
12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