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천문"(으)로 총 3,078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3. 비판과 한계과학동아 l2012년 05호
- 시뮬레이션 다중우주는 가짜 우주일까. [지난 해 7월 스테판 피니 영국 런던대 물리천문학부 교수팀이 찾은 ‘영원한 인플레이션 다중우주’의 충돌 흔적 후보(오른쪽 아래 색이 다른 부분). 아직은 좀더 상세한 연구가 필요하다.]주기적 다중우주관측을 통해 검증할 수 있을까그린 교수는 ‘멀티 ... ...
- ‘별의 단발마’ 항성풍의 정체는과학동아 l2012년 05호
- 많았는데, 이번 연구로 해결됐다”고 밝혔다.앨버트 지즐스트라 영국 맨체스터대 물리천문학부 교수는 “강한 항성풍에 있는 먼지는 우주 먼지가 돼 새 별을 탄생시키는 역할을 한다”며 “별이 탄생하고 죽는 순환 과정을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 ...
- 1919년 경성, 물리학과 첫 졸업식과학동아 l2012년 05호
- 인상은 그 후 그분을 30년 가까이 옆에서 모시면서도 변함없었다.”광복 당시, 물리학과 천문학 분야의 박사학위 소지자 4명 중 한 명인 조응천(1895~1979)은 1895년 평안북도 강서군에서 태어나, 평양 숭실중학교와 숭실전문학교 문과를 졸업했다.1928년 미국 인디애나대에서 최대전류 조건에서의 ... ...
- 그가 붓을 들면 우주가 잠을 깬다과학동아 l2012년 05호
- 전달하고자 하는 내용을 왜곡하지 않고 정확히 표현하는 것 또한 중요하다”고 말한다. 천문학 분야의 시각화 작품이 ‘스타워즈’처럼 흥미롭지만 과학의 정확성도 유지하는 식으로 균형을 잡는 게 중요하다는 뜻이다.2008년 그는 우리은하를 위에서 바라볼 수 있다면 어떻게 생겼을지 정확히 ... ...
- A Little Neptune Suggests Big Things과학동아 l2012년 05호
- 조건이라면, M-왜성 주변에도 생명체가 있는 행성이 있을 수 있다고 생각했다. 하버드대 천문학자이자 베르타의 지도교수인 데이빗 샤르보노가 시작한 MEarth 프로젝트가 바로 이것이다. 작고 차가운 항성주변을 공전하는 행성 중 생명이 있을 가능성이 있는 곳을 찾는 것이다. 이 프로젝트는 ... ...
- 코페르니쿠스의 원리과학동아 l2012년 05호
- 방향으로 치우쳐 움직이고 있는지를 알게 된 것이다. 믿거나 말거나 이런 일이 가능하다.천문학자들은 코페르니쿠스 원리로부터 자유롭기를 갈망한다. 내가 보는 우주가 혹시 위치 때문에 정확히 보이지 않는 것은 아닐까 염려하며 북반구에서도 남반구에서도 가까운 우주와 먼 우주를 관측하고 또 ... ...
- 수학으로 외계인 찾는다! MIB(Math in Black)수학동아 l2012년 04호
- 알 수 있지. 벌써부터 드레이크 방정식으로 외계인의 존재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고, 천문학 속 수학 기법을 이용해 외계인과 외계행성을 찾을 수 있게 됐으니 말이야. 게다가 수학으로 대화도 쉽게 나눌 수 있지 않나?하지만 마지막 관문이 남아 있네! 오른쪽 지령을 완수해 주게. 우리는 먼저 MIB ... ...
- 빗겨간 탐욕, 4월 탄생석 다이아몬드의 눈물과학동아 l2012년 04호
- 행성(PSR J 1719-1438)'이 발견됐다는 연구 결과도 공개됐기 때문이다. 영국 맨체스터대 천문학자를 비롯해 독일, 미국, 호주 등 국제 연구팀이 발견했다고 주장한 이 다이아몬드 행성은 뱀자리에서 약 4000광년 떨어져 있으며 지구보다 5배 정도 큰 것으로 알려졌다. 연구진은 주기적으로 전파나 엑스선을 ... ...
- Part1. 왜 4할 타자가 사라졌을까과학동아 l2012년 04호
- 전체를 디지털 데이터로 만드는 ‘슬론 디지털 우주 조사(SDSS)’ 프로젝트는 하루 200GB의 천문 데이터를 생산하고 있다. 책은 어떨까. 전세계의 디지털 책에서 사용된 단어 중 2010년 12월 구글이 분석한 것만 모아도 5000억개가 넘는다. 하지만 전 세계 책의 4%에 불과하다. 디지털화되지 않은 책 ... ...
- 물리학자가 우주상수에 집착하는 이유과학동아 l2012년 04호
- 있는 것으로 해본 조사에 따르면 적어도 지금부터 46억 년 전까지 α는 상수였다.그런데 천문학자들이 우주에서 퀘이사를 발견하면서 α에 대한 조사가 아주 먼 초기 우주까지 거슬러 올라갔다. 퀘이사는 우주에서 가장 멀리 있는 천체다. 퀘이사를 연구하면 137억 년의 우주 나이 가운데 약 120억 년 ... ...
이전11912012112212312412512612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