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천문
천공
하늘
창공
태양
해
햇빛
d라이브러리
"
천체
"(으)로 총 2,081건 검색되었습니다.
지름 35광년짜리 '슈퍼 알'
과학동아
l
2004년 09호
이 ‘우주 알’ 은 지름이 무려 35광년이나 되는 ‘슈퍼 알’ 이다. 정식 이름이 N44F인 이
천체
는 남반구에서 볼 수 있는 별자리인 황새치자리의 대마젤란은하에 속해 있다. 지구에서 N44F까지의 거리는 대략 16만광년이다.이렇게 먼 우주에 ‘슈퍼 알’ 이 태어난 사연은 무엇일까.공교롭게 신라의 ... ...
과학으로 베일 벗는 한국 고대사
과학동아
l
2004년 09호
관측, 기록해온 천문자료를 바탕으로 한국 고대사의 실체를 밝히기 위해 노력해왔다.
천체
의 운동은 규칙성을 갖는다는 점에 주목해, 사료에 나타난 천문현상이 실제 일어났는지 확인하고 당시의 관측지점을 밝혀내 시대상황을 재구성한 것이다.‘하늘에 새긴 우리역사’ 는 박 교수가 10년 가까이 ... ...
만약 태양이 둘이라면?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거느릴 수 없을 것이라는 예측 때문이었다. 하지만 1999년 11월 미국 노트르담대의 한국인
천체
물리학자 이선홍 교수팀이 쌍성계를 공전하는 행성을 발견하면서 이전의 추측이 잘못됐음이 밝혀졌다. 다시 말해 우주에는 여러 별들이 쌍을 이뤄 돌면서 행성을 거느린 태양계가 존재할 수도 있는 ... ...
은하수 속에 숨은 펠리칸성운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보면 그렇지 않다. 펠리칸성운의 가장 밝은 영역인 북쪽 지역은 손쉽게 확인이 가능하다.
천체
망원경에서는 어떨까? 성운이 대형이어서 맨눈보다 오히려 더 보이지 않는다. 성운의 표면밝기가 매우 낮기 때문이다. 그러나 대구경 망원경에 경험이 풍부한 관측가라면 북아메리카 동부해안지역의 ... ...
가장 뜨거운 백색왜성 발견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알려진 가장 고온의 백색왜성이며 헬륨을 갖지 않는 최초의 경우라고 ‘천문학과
천체
물리학’ 7월호에 보고했다.백색왜성은 태양같은 별이 수명을 다한 뒤 폭발하고 내부 중심만 남은 별이다. 백색왜성은 더 이상 핵융합 반응을 하지 않고 서서히 식다가 결국 갈색왜성으로 바뀐다. 베르너 교수는 ... ...
빛을 찾아나선 사람들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어떻게 활용돼 왔는지를 살펴본다. 마지막으로 4부에서는 별빛의 탄생 과정과 천문학자,
천체
물리학자, 우주학자들의 모험을 따라 우주의 비밀에 한발짝 다가서본다.저자는 ‘빛 이야기’ 를 쓴 이유를 우리가 빛을 이용해 벌이는, 또 빛이 우리를 위해 벌이는 온갖 놀랍고 흥미로운 것들에 관해 ... ...
영화 '투모로우' 속 빙하기 과연 올 것인가?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대해서도 1990년 초반부터 연구해오고 있다.빙하기의 원인은
천체
현상이다1911년
천체
물리학자 밀란코비치는 태양 주위를 도는 지구의 운동이 항상 고정돼 있지 않기 때문에 빙하기와 간빙기가 발생한다는 가설을 생각했다. 오늘날 과학자들은 밀란코비치의 빙하기 생성이론을 받아들이고 있다. 이에 ... ...
우주로 향한 로켓기의 여정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실제의 천문학·
천체
역학 등이 여기에 포함된다 천구상에서 태양 · 달 · 행성 · 항성 등
천체
의 겉보기 위치나 운동 · 크기 · 표면에 나타나는 모양을 조사하여 전체의 크기, 그 곳까지의 거리 및 공간의 운동 등을 연구한다 도형을 세분하여 구분된 면적이나 체적을 구하고, 다시 이들의 합을 구한 ... ...
초신성 시나리오 증거 발견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발산하는 전파를 얻은 것이다. 이번 연구를 주도한 마이클 비에텐홀쯔 박사는 “이
천체
가 중성자별인지 블랙홀인지는 아직 모른다”면서 “이는 갖 태어난 아기를 힐끗 보고 아직 남아인지 여아인지 모르는 것과 같다”고 말했다 ... ...
우주에 건설된 바벨탑의 비밀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때문이다. 허블우주망원경의 뛰어난 해상력 덕분에 지구에서 2천3백광년이나 떨어진 이
천체
가 실제 사각형이 아니라 전체적으로 X자 모양임이 드러난 것이다.수백년마다 탑의 한단씩 형성돼성경에 따르면 대홍수가 휩쓸고 지나간 후 노아의 자손들은 바빌론에 도시를 건설하고 탑을 세우기 ... ...
이전
118
119
120
121
122
123
124
125
12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