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천문
천공
하늘
창공
태양
해
햇빛
d라이브러리
"
천체
"(으)로 총 2,081건 검색되었습니다.
블랙홀 탄생의 순간, 우주가 놀란 감마선폭발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결실을 눈앞에 두고 있다. 이론분야에서도 몇몇 국내 연구진이 블랙홀 및 감마선폭발
천체
에 대한 세계적인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별은 어떻게 최후를 맞을까태양과 같은 별은 주로 수소를 연료로 해서 핵융합 반응을 일으키며 빛을 내고 있다. 태양은 1백억년 동안 빛을 내며 살다가 수소 연료가 ... ...
밤하늘에 핀 장미한송이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우리는 렌즈의 노출시간을 길게 해 빛을 충분히 받을 수 있는 사진의 도움을 받는다.
천체
사진에 마침내 드러난 모습은 암흑 속에 피어난 한송이의 장미다. 절로 입이 벌어질 만큼 화려하다 ... ...
03. [시간의 역사] 옛날에는 시간약속을 어떻게 했나?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그리스의 태음력을 되는대로 받아들여 혼란스러운 점이 많았다. 알다시피 태양력은
천체
의 운행과 대체로 맞고 계절의 변화를 수용할 수 있는 반면 태음력은 시각적인 기준(달의 위상 변화)이 있어 날짜를 파악하기에 유리한 측면이 있다. 하지만 두체계는 질적으로 달라서 함께 혼용할 수는 ... ...
6대의 탐사선이 생명체 존재 여부 밝힌다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물론 마이크로컴퓨터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기종에 사용되고 있다춘분점을 하나의
천체
로 보았을 때의 시각(時角) 시각은 천구상의 한 점과 하늘의 극을 연결하는 원이 자오선과 이루는 각이다 항성시는 그 지점의 자오선에 의거하므로 정확히는 지방항성시인 셈이다 춘분점은 천구상에서 고정된 ... ...
01. [시간의 기원] 시간의 시작은 있나?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인간은 시간의 창시자인 셈이다.그렇다면 물리학자와 천문학자는 어떻게 말할까. 이론
천체
물리학자인 서울대 이형목 교수는 “인간은 시간의 발견자”라고 말한다. 고대인이 해와 달이 뜨고지며, 계절이 반복되는 주기적인 천문현상의 관찰을 통해 시간을 발견했다는 것이다.시간에 관한 가장 ... ...
04. [시간의 측정] 왜 시계는 정확해져야 하나?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발전된 미래를 약속할 것이다. 계절 따라 자전속도 다르다수정시계가 등장하기 전에는
천체
를 관측해 시간을 맞췄다. 매일 밤 망원경으로 별을 관찰할 때 그 별이 보이는 시간은 항상 일정하다고 생각했다. 그래서 어떤 별이 관측되는 시간을 보고서 진자시계를 맞췄다. 그런데 수정시계가 나온 후 ... ...
갈릴레이, 목성 위성 발견해 명성 얻어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망원경을 통해 본 달은 그로 하여금 새로운 우주관을 확신하게끔 해주는 듯 했다.
천체
에 속하는 달은 전통 우주관이 말하는 완벽한 하늘의 보석 이미지와는 전혀 달랐다. 달은 지상계에 속하는 조야한 지구와 마찬가지로 울퉁불퉁한 산이 존재하는 구멍투성이의 암석 덩어리였다. 그후 갈릴레오는 ... ...
최첨단 시스템 장착된 2004년 렉서스
과학동아
l
2003년 12호
우주기지로서 여러 기능의 우주활동이나 업무를 수행한다항성이 1천만개에서 1조개 모인
천체
태양계가 속해 있는 은하를 우리의 은하 혹은 은하계라 부른다 은하도 집단을 이루어 존재한다지구자장의 불규칙한 변화가운데 지구전체에 걸쳐 동시에 일어나는 커다란 변화 원인으로는 태양면 폭발, ... ...
괴물처럼 거대한 태양 폭발
과학동아
l
2003년 12호
중성자 감속재나 냉각재로 사용되고 있다고대 중국의 우주관이던 혼천설을 기초로 하여
천체
의 운행과 그 위치를 측정하기 위하여 만든 측각기의 일종 혼의기(渾儀器) 또는 선기옥형(璇璣玉衡)이라고도 하며, 고대와 중세에 동아시아의 기본적인 천문의기였다 중국에서는 기원전 2세기 경에 ... ...
푸른빛의 환상! 플레아데스성단
과학동아
l
2003년 12호
위치한 메로페성운 영역이다. 이 성운들은 사진상에서 매우 잘 확인되지만 안타깝게도
천체
망원경으로도 쉽지 않으며 많은 경험을 요구한다. 날씨가 좋은 장소에서 저배율로 관측한다면 이 성운들을 보는데 그리 어려움이 없을 것이다.한겨울에 볼 수 있는 플레아데스 특유의 푸른빛은 별이 얼마나 ... ...
이전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