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무시"(으)로 총 1,229건 검색되었습니다.
- 터틀랜드 가봤니? 거북이가 착하기만 할 것 같지?기사 l20140316
- 하지만, 거북이 외에도 다양한 파충류와 원숭이 새도 있단다. 거북이와 토끼의 주인공인 바로 그 거북이도 볼 수 있고. 말만 들어도 무시한 악어/늑대 거북이도 있대. 거북이는 수생/육생으로 크게 나누어지는데, 전문가의 설명과 함께 재미있는 이야기도 많이 들을 수 있어.방향을 찾아가는 네비게이터 거북이도 있고, 뒤집혀져도 몸을 세울 수 있는 ...
- 토욜의 꽃샘추위를 무시하고...동생과 함께 인라인타고 씽씽씽~~~^^내일은 야생화 단지에포스팅 l20140308
- 토욜의 꽃샘추위를 무시하고...동생과 함께 인라인타고 씽씽씽~~~^^내일은 야생화 단지에 올챙이 보러갈께요. ㅎㅎㅎ ...
- 태양의 흑점 보이시나요? 여기서 가장 큰 흑점이 지구보다 더 큰 흑점이라네요 여러분 우리포스팅 l20140226
- 태양의 흑점 보이시나요? 여기서 가장 큰 흑점이 지구보다 더 큰 흑점이라네요 여러분 우리 흑점을 작다고 무시하지맙시다 ^o^ ^o^ ...
- 모기 VS 각다귀어린이과학동아 l20130726
- 캠핑장에 놀러가서 화장실에 들어갔는데 무시무시하게 큰 모기가 보였어요. 아빠한테 이야기했더니 모기가 아니라 각다귀라고 하시더라고요. 혹시 괴물 모기 아닌가요? 도대체 무엇이 다른 건가요? *본 기사는 어린이과학동아 15호(2013년8월1일 발행)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 덜컹! 갑자기 비행기 고도가 떨어졌다고?어린이과학동아 l20081013
- 고개를 갸우뚱 한다. “보통 날씨가 안 좋을 때는 안전벨트를 하라고 방송이 나오지 않나요? 안전벨트를 매라는 주의사항을 무시하신 건 아닌가요?” “아니에요. 그런 방송은 없었고 날씨도 매우 맑았어요. 비행기가 흔들리기 직전까지 정해진 항로로 안정적으로 날고 있었죠. 그래서 제가 음료수와 과자 등을 승객 분들에게 나눠 드리고 있었답니다. 그 때 ...
- 바꿔, 바꿔! 놀라운 발명(2)어린이과학동아 l20080514
- 몬만드러 박사의 눈길을 끈 것은 ‘진도구’였다. 진도구는 일본의 발명가 가와카미 켄지가 만든 말로, 실용성과 상품성은 일단 무시하고 오로지 창의성만을 살린 발명품을 말한다. 호오~, 이거 재미있는걸? 쓸모 없어 보여도 실제로는 발명의 기본 원리가 들어 있다고! 여러 도구를 합쳐 보자 - 청소기 겸용 슬리퍼, 빽빽이 연필 청소하기 싫다고? 걸어 ...
- 에이~,요! 식물도 힙합을 즐긴다고?어린이과학동아 l20080414
- 붙잡고 하소연하기 시작한다. “엉엉! 저보고 힙합의 ‘ㅎ’자도 모른다며 뭐라고 하잖아요. 식물도 힙합을 즐긴다면서 저를 대놓고 무시하는데, 엉엉!” 사뿐히 양의 말을 들은 닥터고글은 위층으로 올라가서 차근차근 이야기해 보기로 한다. “저…, 힙합음악이 너무 시끄러….” “에이~, 요! 힙합을 모르는 사람이 두 명이나 있다니! 식물도 힙합을 즐기 ...
- 홀라당~뒤바뀐 달걀?어린이과학동아 l20080313
- 힘이라뇨? 도대체 무슨 말씀을 하시나요?” 영문을 몰라 눈이 동그랗게 커진 가고파 군에게 설명하는 닥터고글. “알끈의 기능마저도 무시하면서 노른자와 흰자의 위치를 바꾸는 강력한 힘이 이 달걀을 만든 거예요! 그건 아마…, 원심력일 거예요!” “네에? 원심…, 뭐라구요? 괜히 어려운 말로 날 설득시키려나 본데, 이건 사기라니까요!” 도무지 이해가 ...
- 요건 몰랐 '쥐'어린이과학동아 l20080131
- 않을 수 있기 때문이다. 제리만큼이나 똑똑한 다람쥐가 아닐 수 없다! [소제시작]네 번째 개봉작 ▶ 미키마우스[소제끝] 무시무시하게 놀라운 가치 세상에 있는 쥐들이 모두 감탄해 마지않는 명작 중의 명작 ‘미키마우스’! 앙증맞고 신들린 듯한 명연기는 모두의 환호성을 이끌어 내기 충분하다. 하지만 우리의 입을 더욱 떡~ 벌어지게 하는 건 미키마우스 ...
- 생물자원 전쟁_크리스마스트리를 지켜라!(2)어린이과학동아 l20071130
- 소제시작]작다고 무시하면 큰코 다친다[소제끝] 세균이나 아메바 등 맨눈으로 보이지 않는 미생물도 생물자원으로 각광받고 있다. 페니실린과 같은 약을 만들거나 김치, 요구르트 등의 발효식품을 만드는 데 이미 미생물이 쓰인다는 것 정도는 알고 있겠지? 미생물은 흙 1g 속에 중국 인구보다 더 많은 20억 마리가 살 정도로 그 수가 많고, 아직 연구하 ...
이전11811912012112212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