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유전공학"(으)로 총 1,396건 검색되었습니다.
- 석유 대신 대장균으로 ‘나일론’ 만드는 날 올까2015.08.11
- 이상엽 KAIST 특훈교수. - KAIST 제공 석유 대신 미생물로 ‘나일론’을 만들 수 있는 가능성이 열렸다. 이상엽 KAIST 생명화학공학과 특훈교수팀은 세계 최초로 대장균에서 1,3-다이아미노프로판(원, 쓰리-다이아미노프로판)을 생산하는데 성공했다고 11일 밝혔다. 이는 의약 및 농약제품 제작에 이 ... ...
- [GMO 르포] 美 듀폰 파이오니어, 몬샌토 연구센터 가 보니2015.08.07
- 듀폰 파이오니어 연구센터에 있는 시험농장. 테오신트 부터 연구센터에서 개발한 옥수수 품종을 한 눈에 볼 수 있다. 지난달 24일 미국 중부 아이오와 주 디모인에 위치한 글로벌 종자회사 듀폰 파이어니어 연구센터. 이 연구센터가 운영하는 광활한 연구용 농지에서는 다양한 종자가 재배되고 있다 ... ...
- 글 도둑 막는 수학수학동아 l2015.08.04
- 최근 신경숙 작가가 1996년에 발표한 소설 ‘전설’이 일본인 작가 미시마 유키오가 1961년에 발표한 소설 ‘우국’을 표절했다는 논란이 일었다. 신 작가는 몇몇 작품이 고등학교 교과서에 실렸을 뿐만 아니라 문학상 심사위원으로도 활동해 충격이 크다. 수학동아 8월호 '슬쩍 슬쩍 글 도둑, 표절' ... ...
- [즐기자! 사이언스바캉스] 과학동아가 만든 고품격 과학 강연회 2015.07.31
- 25일 과학동아가 개최한 과학 강연회 ‘사이언스 바캉스’에 참가한 학생들이 흥미로운 강연을 들으며 미소를 짓고 있다. - 동아사이언스 제공 새벽부터 장맛비가 추적추적 내린 25일 오전. 여름방학에 토요일까지 겹쳐 조용하던 서울대 관악캠퍼스 제1공학관에 하나둘 사람들이 모여들기 시작했다. ... ...
- 당뇨병 치료제로 타이레놀 부작용 막는다2015.07.30
-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제공 타이레놀이라는 제품명으로 유명한 ‘아세트아미노펜’은 전 세계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대표적인 해열진통제다. 하루 4g 이하의 정량을 먹으면 부작용이 거의 없지만 과다 섭취하거나 술과 함께 먹으면 간 손상을 일으킬 수 있고 심하면 사망에 이르기도 한다. ... ...
- 노인도 ‘몸짱’ 될 수 있는 방법 찾아냈다2015.07.29
-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제공 사람은 나이가 들수록 근육이 점차 쇠퇴해 각종 질병에 걸리기 쉽다. 등허리가 굽는 등 근골격계 질환이 일어나기 쉽다. 국내 연구진이 이런 근육 노화를 막을 수 있는 방법을 처음으로 발견했다. 권기선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노화과학연구소장(사진) 팀은 흔히 ‘노화성 ... ...
- 피 안 멎는 혈우병, 세포치료제로 고칠 수 있나2015.07.24
- 혈우병 환자에게서 얻은 세포의 돌연변이 유전자를 고친 뒤 혈액응고인자를 만드는 혈관내피세포로 분화시키는 데 성공했다. - 기초과학연구원(IBS), 연세대 의대 제공 김진수 기초과학연구원(IBS) 유전체교정연구단장과 김동욱 연세대 의대 교수, 김종훈 고려대 생명공학부 교수 등으로 이뤄진 국 ... ...
- 뜨거워진 스마트폰, 어떻게 식히나2015.07.20
- 서울시립대 제공 스마트폰을 장시간 사용하다보면 발생하는 열 때문에 불편함을 느끼곤 한다. 전자기기에서 발생하는 열은 배터리의 수명을 줄이고 고장을 일으키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국내 연구진이 전자기기의 발열을 줄이면서도 기존보다 속도가 빠르고 구동에 필요한 전력도 대폭 줄인 반 ... ...
- ‘바이오해커’를 아십니까2015.07.19
- 일을 목표로 한다. 2004년부터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에서 매년 개최하고 있는 ‘국제유전공학기계(iGEM)’ 대회는 이런 바이오해커들이 모이는 축제다. 이들은 항암 성분이 포함된 맥주를 개발하거나 미생물에게 먹이를 적절하게 제공하는 스위치를 개발하는 등 다양한 활동을 한다. ... ...
- 매머드 때문에…황우석 박사, 박세필 교수 등 고소2015.07.15
- 황우석 박사가 매머드의 세포를 복제하는 데 참여한 연구진들을 고발한 것으로 확인됐다. 황 박사가 소속된 수암생명공학연구원 관계자는 15일 본보와의 전화 통화에서 황 박사가 박세필 제주대 줄기세포연구센터 교수와 정형민 건국대 줄기세포교실 교수, 김은영 미래셀바이오 대표 등 3명을 횡 ... ...
이전11811912012112212312412512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