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단일체
객체
단일
개인
통일체
사람
d라이브러리
"
개체
"(으)로 총 1,399건 검색되었습니다.
인체 유전자 지도 완성 멀지 않다
과학동아
l
1995년 01호
이 차이는 선조 대대로 일어난 변이를 축적한 기록. 게놈을 철저하게 해석해 비교하면
개체
나 집단에 어떤 순서로 변화가 일어났는가를 추적할 수 있다. 특히 미토콘드리아DNA의 변화를 추적하는 일은 이 목적에 잘 부합된다.과거 베링해협이 연결돼 있을 때 몽골리안이 북미대륙을 건너서 수 만년 ... ...
3. 짝짓기 선택 암컷의 특권이라는데…
과학동아
l
1994년 12호
연구하는 학자들은 우생설(good gene theory)을 지지하는 경향이다. 수컷의 장식은 건강과 힘,
개체
의 유전적 적응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어린이 입에 물린 온도계에 비유될 수 있다는 설이다. 이 설은 1975년 이스라엘 텔아비브 대학의 행동학자 아모츠 자하비(Amotz Zahavi)의 '장애설'(handicap theory)로까지 .. ...
1. 유성생식, 종족보존에 유리한가
과학동아
l
1994년 12호
태초 형태로서 두
개체
가 실제적으로 융합할 것을 강요했고 그 뒤 이 기생적 DNA는
개체
군 전체가 성을 가지게 될 때까지 전염병처럼 퍼질 수 있었다는 것이다. 이런 식으로 성의 기원을 설명하는 가설을 '유전자 전달설'이라고 한다.이와 경쟁하는 다른 가설은 미코드(Miched) 같은 사람이 주장한 DNA ... ...
암치료용 양성자 가속기
과학동아
l
1994년 12호
경우 약 7년동안 겉으로는 특별한 이상이 나타나지 않는다. 이후 치료를 하지 않는다면
개체
증식이 10번만 진행되어도(겨우 2년 동안) 종양의 크기는 1천배로 커지고 이 경우 환자의 생명은 위험한 상태에 놓이게 된다.■ 방사선치료 문제점 해결암의 경우 현재까지 널리 사용되는 치료법으로 외과적 ... ...
[2] 미지의 생체 네트워크-질병치료에도
과학동아
l
1994년 11호
피질 아래에는 자율 신경에 관련된 뇌간이 있다. 자율신경은 인간의 의식과는 상관없이
개체
의 생명을 유지하기 위한 식물적기능(호흡 순환 영양 배설 생식 등)을 담당한다. 이에 반해 운동신경과 감각신경은 동물적 기능을 담당한다고 할 수 있다. 식물인간은 바로 운동신경과 감각신경은 ... ...
생물 - 나비의 탈바꿈도 호르몬 덕분
과학동아
l
1994년 11호
잘라버려도 며칠 동안은 산다. 이같은 성질을 이용해서 일주기성 활동을 하고 있던
개체
의 머리를 잘라냈더니 일주기성을 잃어버리고 무주기성 활동을 하게 되었다. 이러한 현상이 일어나는 것은 그 물질이 머리 부분에서 만들어지기 때문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 생각해 봅시다바퀴는 사다리꼴 ... ...
인공위성 통해 철새 이동경로 연구
과학동아
l
1994년 11호
아니라 새의 생리나 운동량 등도 측정이 가능 할 것"이라고 말한다. 앞으로 새를 비롯해
개체
생물에게 부담을 주지 않으면서 신뢰성 있는 제품이 나온다면 그동안 신비에 싸였던 동물의 생태에 대한 많은 의문이 해소될 것으로 예상된다 ... ...
한강생태계, 되살아나고 있다
과학동아
l
1994년 11호
등도 많이 관찰됐다. 특히 한강의 조류는 월동조류가 전체의 35%를 차지하고 있으며 총
개체
수(마리수)로는 80%를 차지하고 있다.과거와 비교해 볼 때 종수가 전체적으로 다양해지는 현상을 보이고 있다. 이것은 최근 생태계가 한강 하류 수질의 회복과 더불어 서서히 회복되고 있다는 증거다. 또한 ... ...
동물도 자살한다
과학동아
l
1994년 09호
내포하고 있을 때 이 일은 또한 잠재적인 이익을 동반하기 때문에 생긴다고 한다.민감한
개체
들은 그들의 동료들보다 포식자가 다가오는 소리라든가, 새로운 동료의 불확실한 몸짓과 같은 중요한 변화들을 잘 알아챈다. 그들은 모든 것을 보고 듣고 냄새맡고 느낀다. 그들은 마치 아름다운 ... ...
인간사회 축소판 개미의 세계
과학동아
l
1994년 09호
것이 페로몬이라는 방향성 물질인데, 때로는 개미가 공격을 받았을 경우 그 집단의 다른
개체
들에게 공격적으로 반응하라는 경보의 수단으로 쓰인다.최근에 안 일이지만 어떤 종의 개미는 소리를 내고 듣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 장차는 그 소리가 개미의 의사전달에 관계가 있다는 것도 증명될 ... ...
이전
119
120
121
122
123
124
125
126
12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