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개체"(으)로 총 1,399건 검색되었습니다.
- 생물- 대장균이 길러낸 인슐린으로 당뇨병 치료과학동아 l1994년 03호
- 형성방법도 유전공학에서 자주 활용되는 기술이다. 클론(clone)이란 단일세포 또는 단일개체로부터 무성적으로 생겨난 복제형 생물로, 핵을 제거한 미수정란에 체세포의 핵을 넣어 발생시킨다.클로닝(cloning)은 인위적인 방법에 의해 클론을 얻는 방법을 말하며, 단일클론항체 합성 방법은 1975년에 ... ...
- 2. 기형아치료 새 생물 창조 등 의학 육종학의 새 전기 마련과학동아 l1994년 03호
- 거친 뒤에도 늘 그 특정형태에 관한 유전 정보를 자손에게 전달할 것이고 새로 태어나는 개체 역시 똑같은 모양을 형성해 나가는 것이다.이런 맥락에서 보면 형태형성에 이상이 생긴 많은 돌연변이체를 선발해 그 유전자를 분리하고 그 특성을 파악하는 일이 우선돼야 형태와 모양의 인위적 변환도 ... ...
- 3. 변화무쌍한 돌연변이로 '싸움'과 '공존'의 이중전략 구사과학동아 l1994년 02호
- 논문에서 이들은 '바이러스종이란 실제로는 전체로서 움직이며, 다양하면서도 관계한 개체에서 생기는 복잡하고 자기 영속적인 집단'이라는 것을 주장했다. 종(species)을 '준종'으로 대체하는 것은 단순히 언어상의 문제만은 아니며 바이러스의 움직임에 대해 어떤 깊은 통찰을 부여한다는 것이다 ... ...
- 생물- 왜 자식은 부모를 닮았으면서 똑같지는 않은가과학동아 l1994년 02호
- 생물의 유전을 설명하는 중요한 법칙이 만들어졌다멘델의 법칙1. 대립형질을 갖는 두 개체를 교배하면, ${F}_{1}$에는 P중의 우성인 형질만이 표현된다(우열의 법칙).2. ${F}_{1}$끼리 교배하여 얻은 ${F}_{2}$에는 ${F}_{1}$에서 나타나지 않던 형질이 분리되어 표현된다(분리의 법칙).3. 두쌍 이상의 대립 ... ...
- 삽살개과학동아 l1994년 01호
- 특이하나, 친족 관계가 가까울수록 서로 닮은 바 코드를 비교해봄으로써 친자확인 개체확인 가계분석 등이 가능한 DNA 지문법은 삽살개의 집단내 혈통 관계를 파악하는 데 사용됐다. DNA 지문법에 의한 혈통 분석DNA 지문법의 실시 방법과 삽살개에 대한 결과를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 ...
- 생물 - 수정란 1개의 무한한 잠재력과학동아 l1994년 01호
- 계속하여 60조개의 세포를 가진 나(사람)도 손오공처럼 나와 똑같은 유전자를 가진 개체를 만들 수 있을까? 즉, 60조개 세포의 각자의 핵도 완전한 발생 능력을 가지고 있는 것일까?다음 2가지 실험으로 그 문제의 해결점에 접근해 보자.(1) 거든(J.B. Gurdon)의 실험 : 아프리카산 물두꺼비인 제노프스의 ... ...
- 1. 누가 뉴턴의 세계에 돌을 던졌나과학동아 l1994년 01호
- 단 X값은 편의상 1과 0 사이의 숫자로 제한한다. 이는 제임스 트레필이 난생동물인 곤충의 개체수 변화를 살피기 위해 등장시킨 방정식과도 유사하다. 이를 논리 차이 방정식이라고 부른다.이 방정식 중 n을 변화시켜가면 재미있는 현상이 발견된다. n이 3 이하일 때는 X′는 일정한 숫자에 수렴하지만 ... ...
- 동물잡종교배 어디까지 가능한가과학동아 l1994년 01호
- 인한 정자 사멸도 원인이 된다고 지적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교미를 한번도 하지 않았던 개체를 사용한 실험을 계획중이며, 산란용 메추리가 아닌 육용 메추리를 사용한 실험도 계획되고 있습니다." 정일정 박사의 말이다.그러나 농민들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기 때문에 항상 수익성을 배제할 수 ... ...
- 생물 - 동물들의 본능행동과학동아 l1993년 12호
- 나오는 화학물질이라는 것이 밝혀졌다. 이와 같이 미량으로 같은 종의 다른 개체의 행동을 유발시킬 수 있는 분비 물질을 페로몬이라고 하며, 비교적 작은 분자로 구성되어 있다.누에나방의 암컷은 고치에서 나오자마자 꼬리 끝에서 주머니 모양의 돌기물(측포)을 내어 성페로몬을 분비하는데, ... ...
- (3) 공룡의 진화도 플룸이 지배했다과학동아 l1993년 12호
- 당시는 포유류형 파충류 등의 파충류가 전성기를 누리고 있었고, 공룡은 생태계 속에서 개체수로는 겨우 6%를 점하는데 지나지 않았다. 그러나 곧 지구를 덮친 대규모 고온·건조화에 의해 양서류나 파충류 중에서도 물에 의존하는 정도가 큰 종은 사라지고 그같은 환경에 순응력을 가지고 있던 ... ...
이전12212312412512612712812913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