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겨울철
동계
한천
동기
d라이브러리
"
겨울
"(으)로 총 2,664건 검색되었습니다.
개화유전자 FT 발견
과학동아
l
2010년 03호
가을에 꽃봉오리가 형성되지만 바로 꽃이 피지 않고 잠복기에 들어간다. 그리고
겨울
을 난 뒤 기온이 올라가는 주변 신호를 받아 꽃봉오리가 깨어나면서 꽃이 핀다. 이들도 화성소 이론의 예외가 아닌 셈이다. 아직도 끝나지 않은 논란 FT 단백질이 잎에서 만들어진 뒤 정단 부위로 이동하는 설명은 ... ...
살찌지 않는 건강식 문어
과학동아
l
2010년 03호
보러가기어느새 3월이다. 초목의 싹이 돋고,
겨울
잠에서 깨어난 벌레들이 하나둘 기어 나온다는 경칩이 눈앞이다. 과연 양지바른 곳을 내다보니 파릇한 기운이 느껴지고, 어디선가 곤충의 날갯짓 소리가 들려오는 듯하다. 만물이 생동하는 새봄을 맞아 맛있는 문어 요리를 즐기며 겨우내 까칠해진 ... ...
어과동 기상 특보! 올
겨울
눈폭탄의 정체는?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3호
붙여졌다. 열대 동태평 양의 수온이 올라가는 전형적인 엘니뇨는 동아시아 지역의
겨울
을 따뜻하게 만든다. 하지만 최근 자주 발생하는 웜풀 엘니뇨(엘니뇨 모도키)는 열대 중부태평양의 해수면 온도가 올라 동아시아 지역에 한파와 폭설을 몰고 오는 원인으로 꼽히고 있다. ▲ 2010년 1월 20일 전지구 ... ...
일본 이리오모테 섬에 가다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살고 있다. 또 기온은 가장 낮은 1월에도 18℃ 아래로 내려가지 않는다. 덕분에 한
겨울
에도 카누를 타거나 스쿠버 다이빙을 즐기기 위해 섬을 찾는 사람들이 많다. 이리오모테 섬이 오래전부터 에코투어의 낙원으로 주목받는 이유가 바로 이런 천혜의 자연조건 때문이다.동양의 갈라파고스라 불리는 ... ...
과학으로 디자인한 우리 옷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어떻게 쓰는 모 자인지에 관계없이 얇거나 가볍다는 공통점이 있 다. 또 아무리 두꺼운
겨울
모자라도 머리 위쪽 정 수리 부분은 시원하게 트여 있다. 여기에는 두한족 열, 즉 ‘머리는 차게 발은 따듯하게 한다’는 조상들 이 생각한 건강의 원리가 담겨 있다. 정수리 부분이 뚫린 모자는 사람이 ... ...
상상을 초월하는 별난 동물 이야기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새겨져 있다. 먹이를 많이 먹는 여름에는 지방분이 많이 쌓여 밝은 색 층을 이루고
겨울
에는 반대로 어두운 색 층이 쌓이기 때문이다. 층의 개수를 세면 고래의 나이를 가늠할 수 있는 셈이다.‘아궁이새’라 불리는 스윈호오목눈이(Remiz pendulinus)는 풀과 나뭇잎, 소똥, 모래, 흙을 섞어 아궁이 모양의 ... ...
[hot issue] 한반도 폭설과 한파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독특한 기상 현상이 일어난다. 서울대 지구환경과학부 허창회 교수에 따르면 평균적으로
겨울
철에 10회 정도 발생하는 한파 가운데 약 30%는 북극진동과 관련된 것으로 추측된다(과학동아 2005년 6월호 ‘한반도 기후의 숨은 실세 극진동’ 참조).그렇다면 이러한 북극진동 자체는 예측이 가능한 ... ...
나타났다 사라지는 마술의 비밀은?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2호
!”거대한 티라노사우르스가 지금 눈앞에 있어! 어떻게 된 거냐구?
겨울
방학을 맞아 3D 입체 영화를 보러 왔거든. 입체 안경을 쓰면 공룡들이 실제로 살아 움직이는 것처럼 생생해. 그런데 입체 안경에는 무슨 비밀이 있는 걸까? 정말 궁금해. 앗! 티라노사우르스가 입을 크게 벌리며 나에게 돌진하고 ... ...
새 교과서의 첫 번째 성격! 대화가 필요해
수학동아
l
2010년 02호
✚ 엄마, 아빠, 아들이 식탁에 앉아 밥을 먹는데 대화가 부족해서 일어나는 사건을 소재로 한 콩트를 기억하니? 바쁘게 살아가는 현대 사회에서 가족 ... 해결의 힘 정순영 교수님이 밝히는 2010년 수학 공부 방법! 얼음 위에 새기는 스포츠 수학
겨울
스포츠의 꽃 얼음 위의 날쌘돌이 곡선 위의 ... ...
한
겨울
추위 이기게 하는 입 큰 생선 대구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번성할 수밖에 없다. 실제로 대구가 엄청난 개체 수를 자랑하던 때가 있었다. 과거에는
겨울
철만 되면 대량으로 잡혀 남해안의 어시장이 대구로 넘쳐나곤 했다.그러나 대구도 다른 물고기들과 마찬가지로 남획의 운명을 피해갈 수 없었다. 해마다 어획량이 줄기 시작하더니 1993년에는 아예 씨가 ... ...
이전
119
120
121
122
123
124
125
126
12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