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연결"(으)로 총 5,848건 검색되었습니다.
- [출동! 기자단] 반짝반짝 황금빛 보물을 간직한 엘도라도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7호
- 올챙이를 많이 낳고 물과 육지에서 생활하기 때문에 다산의 상징이자, 물과 땅을 연결하는 신성한 동물이었지요. 또 당시 원주민들은 죽은 뒤 동굴을 통해 다른 세상으로 갈 수 있다고 믿었기 때문에, 동굴에서 생활하는 박쥐는 신비로운 존재였답니다.그런데 이름과 전혀 다른 동물 모양의 장식품도 ... ...
- 먹고 사는 일도 과학이 돕는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6호
- 등이 은행을 대신할 수 있어요. 블록체인은 여러 거래 기록을 블록 하나로 묶어 차례로 연결한 거래 장부예요. 이 장부를 여러 컴퓨터에 나눠 저장하기 때문에 누군가 나쁜 마음을 먹고 조작하기 어렵지요. WFP는 장부에 적힌 금액을 일정 기간마다 각 가게에 지불한답니다. 인공지능으로 난민 취업 ... ...
- [통합과학 교과서] 아슬아슬 전선 위의 미션 블랙아웃을 막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6호
- 곳곳에 공급하지 못하게 돼요. 지역별로 전기를 공급하는 전력망은 거미줄처럼 서로 연결돼 있어요. 그래서 다른 지역까지 영향을 미쳐 연쇄적으로 블랙아웃이 일어난답니다. [통합과학 넓히기] 블랙아웃을 대비하라, 대용량 에너지 저장장치! 전기는 발전소에서 만들어진 뒤 송전탑을 거쳐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코딩로봇으로 화재현장에서 대피하라! 뚜루뚜루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5호
- 과장님께 도움을 요청했지요. “카드를 아무리 넣어도 뚜루뚜루가 꿈쩍을 안 해요. 연결이 안 된 건가요?”정의석 과장님은 친구가 완성한 코딩을 확인한 후, 작동이 안 된 이유를 친절히 설명해 줬어요.“친구가 좋은 질문을 했어요. 뚜루뚜루는 사람과 달리 동작을 언제 시작해야 하는지 알지 ... ...
- [통합과학 교과서] 전세계를 거미줄처럼 연결한다?! 해저 케이블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5호
- 2019년까지 3개의 해저케이블을 새로 설치하겠다고 발표했어요. 이 중 칠레와 미국의 LA를 연결하는 길이 9978km의 케이블은 과학자인 마리 퀴리의 이름을 따 ‘퀴리’라는 이름이 붙었지요. 퀴리 케이블은 일반 기업이 설치하는 최초의 대륙 간 케이블이에요. 원래 해저 케이블은 각 나라의 통신 회사가 ... ...
- [과학뉴스] 아픔 느끼는 로봇 손 개발!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4호
- 왼팔을 잃은 실험자를 대상으로 환상 손 지도를 만들었어요. 환지통이 뇌의 어느 부위와 연결돼 있는지 알아본 거예요. 예를 들어 팔죽지 앞쪽 말초신경을 자극하면 실험자는 존재하지 않는 엄지와 검지에 통증이 있다고 느낀다는 사실을 알아냈지요.이어서 연구진은 전자 피부를 만들어 로봇 손에 ... ...
- [팩트체크 5] DMZ, 평화지대로 거듭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2호
- 바뀐 적이 있다니 희망적인걸? 앞으로 지리산에서 백두산까지, 한반도의 백두대간이 연결되는 날을 기다려 봐도 되겠어! 친구들도 앞으로 남북관계 이슈에 꾸준히 관심을 가지고 있다가 좋은 소식이 들리면 나에게 알려줘~!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과학으로 통일을 ... ...
- 여우각시별, 이수연 사원의 웨어러블 로봇이 궁금하다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온 몸이 마비된 남성 환자의 뇌 감각 피질에 마이크로전극을 이식한 뒤, 이를 로봇 팔과 연결해 로봇 팔의 손가락을 만졌을 때 그 감각을 느끼게 하는 데 성공했다. doi: 10.1126/scitranslmed.aaf8083 황 교수는 “예를 들면 검지손가락을 만졌을 때는 뇌의 감각피질에 A라는 전기자극을 주고, 새끼손가락을 ... ...
- 코딩으로 수학 배우고 R&E까지 폴수학학교수학동아 l2018년 12호
- 있다는 것이 우리 학교의 철학”이라며, “알고리즘적인 사고방식을 통해 각 과목을 연결 지어 생각할 수 있는 기회를 주려고 한다”고 말했다. 함께 배우면 더 쉬워지는 수학과 코딩 수학과 코딩을 어떻게 함께 배울 수 있을까. 예를 들면 최대공약수를 배울 때 개념을 익힌 뒤 그 개념을 코드로 ... ...
- [통합과학 완벽 정리 12] 지구 에너지의 근원, 태양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이론). 원자력발전소는 이런 열에너지를 이용해 물을 끓여 증기로 터빈을 돌리고, 터빈과 연결된 발전기에서 전기에너지를 생산한다. 핵분열 시 방출되는 2~3개의 중성자가 다른 우라늄 원자핵들과 충돌해 또 다른 핵분열이 반복되는 것을 연쇄반응이라고 한다. 연쇄 반응은 제어봉과 감속재를 ... ...
이전11912012112212312412512612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