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링크
결합
접속
유대
접촉
관계
직렬
뉴스
"
연결
"(으)로 총 4,530건 검색되었습니다.
"헬로, 닥터 윗슨"…국제우주정거장서 우주인이 소개한 韓 초등학생 그림
2025.07.05
이소연 박사도 화상
연결
을 통해 축하 인사를 건넸다. 이 박사는 “우주에 다녀온 지 17년이나 됐는데 우리나라 학생의 그림이 우주로 올라간다는 게 흥분되고 설렌다”며 “여러분이 대한민국 우주의 미래이고 우리나라 제2의, 제 ... ...
한국인 난청 유전자 지도 구축…진단율 20% 향상 효과
동아사이언스
l
2025.07.03
유전자 발현 과정에서 메신저리보핵산(mRNA) 전구체의 인트론을 제거하고 엑손을
연결
하는 과정으로 이 과정에 오류가 생기면 단백질 생산에 문제가 생긴다. 한국인의 난청 유전자 지도를 제시한 이번 연구는 향후 유전자 기반 맞춤형 치료제를 개발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상연 ... ...
수포자 사라질까…뇌 특정 영역 전기자극했더니 "수학 학습 효과 향상"
동아사이언스
l
2025.07.02
GABA는 뇌의 과도한 흥분을 억제하는 대표적인 억제성 신경전달물질이다. 이미 뇌
연결
이 잘 되어 있던 사람들에게는 효과가 제한적이었다. 카도시 교수는 "교육을 개선하려는 노력은 주로 교사나 교육과정 등에 집중돼 왔고 학습자의 생물학적 특성은 거의 간과됐다"며 "수학 성과에서 환경보다 ... ...
[표지로 읽는 과학] 올챙이 뇌에 전극 이식해 뇌 형성 추적
동아사이언스
l
2025.06.28
추적하기가 매우 어렵다는 점이다. 조직이 자라는 방향과 속도를 따라가며 자연스럽게
연결
될 수 있는 전극이 필요한 이유다. 지아 리우 하버드대 교수 연구팀은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극도로 얇고 부드러운 메쉬 구조의 마이크로 전극을 개발하고 연구 결과를 국제학술지 '네이처'에 26일 ... ...
오민환 서울대 교수, AI 강화학습 연구로 美 아마존 연구상 수상
동아사이언스
l
2025.06.27
오민환 서울대 데이터사이언스대학원 교수. 서울대 데이터사이언스대학원 제공 오민환 서울대 데이터사이언스대학원 교수가 인공지능(AI) 강화학습 분야 연 ... 함께 노력한 결실"이라며 "아마존의 지원을 바탕으로 이론적 기초와 실제 문제 해결을
연결
하는 연구를 이어가겠다"고 밝혔다 ... ...
배경훈 과기부 장관 후보자 "과학기술 R&D 예산 지속 확대 필요"
동아사이언스
l
2025.06.27
예산이 지속적으로 확대돼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배 후보자는 AI와 과학기술의
연결
도 강조했다. AI가 기업의 생산성을 높여주는 것처럼 과학기술 분야에서도 AI 활용을 통해 우수한 연구 성과를 만들 수 있다는 설명이다. 26일 열린 '2025년 제5회 국가연구개발사업평가 총괄위원회'에서 한국 ... ...
[과기원NOW] KAIST, 신소재로 軍 개인 맞춤형 훈련시대 연다 外
동아사이언스
l
2025.06.25
자율주행이나 스마트폰 등 무선 통신에 필요한 반도체 소자다. 회로 내의 고주파 신호를
연결
하거나 차단해 신호 흐름을 제어한다. 연구팀은 전류가 한번 흐르면 전원이 꺼져도 유지되는 특성이 있는 멤리스터 소자를 활용해 저전력·비휘발성 무선통신 반도체 소자를 개발했다. 김 교수는 "멤리스터 ... ...
'위고비' 등 비만치료제, 왜 메스꺼울까…"중추신경 직접 작용"
동아사이언스
l
2025.06.25
연수다. 세마글루타이드가 영향을 미치는 신경회로는 식욕·대사 조절과 밀접하게
연결
됐다는 사실만이 확인됐다. 전문가들은 장기 복용 시 중추신경계에 미치는 영향은 향후 연구를 통해 검증돼야 한다고 말한다. 연구팀은 “세마글루타이드가 연수 내 특정 신경세포를 자극해 식욕과 대사를 ... ...
위장약에서 파킨슨병 치료 실마리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6.25
상당수가 변비, 위무력증 같은 위장관 이상 증상을 보인다. 장과 뇌는 서로 밀접하게
연결
돼 있어 파킨슨병 환자가 위장관 증상을 겪는 것으로 추정된다. 연구팀은 위장 기능과 뇌 기능은 단절된 것이 아니라 상호작용하는 하나의 생리시스템이라는 전통적인 한의학 관점에서 위장 기능에 ... ...
"1960년대 고전컴퓨터와 현재 양자컴 닮아…오류정정 5년간 비약적 발전"
동아사이언스
l
2025.06.24
OSTP)에서 과학기술 정책을 주도한 경험을 바탕으로 양자 분야에서 정부와 산업, 학계를
연결
해 기술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 그는 전세계에서 공통적으로 양자 분야 인재 부족을 겪고 있다고 지적했다. 머츠바처 이사는 "앞으로 양자기술 활용도가 높아지면 생산자 입장인 퀀텀 메이커(quantum maker)뿐 ... ...
1
2
3
4
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