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짐작
어림
추리
억측
상상
공상
추정
d라이브러리
"
추측
"(으)로 총 2,391건 검색되었습니다.
800년 만에 돌아온 고려 시대 보물선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나무토막이 발견되기도 했다. 전문가들은 불을 지피려는 용도였을 것이라고 막연히
추측
했지만, 발굴되는 갯수가 너무 많아 확실하지 않았다. 이 궁금증은 올해 마도 2호선을 발굴하면서 풀렸다. 선박 안에 놓인 화물 아래로 원통형 나무토막이 깔려 있었던 것이다. 양 연구사는 “나무로 배를 ... ...
기준에 맞춰 모여! 모두 집합!
수학동아
l
2010년 12호
적혈구가 들어 있습니다. 따라서 우리 몸 전체에 들어 있는 적혈구가 약 15조 개 정도라고
추측
할 수 있습니다. 이때 우리는 적혈구 개수를 정확하게 셀 수 있을까요? 물론입니다. 의학 도구를 이용한다면 적혈구의 정확한 개수를 셀 수 있습니다. 적혈구의 수는 반드시 한계가 있기 때문이죠 ... ...
말보다 정직한 ‘몸의 언어’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인류학 분야에서 최근 밝혀진 연구도 제시하며 이 책에 나오는 정보가 개인의 경험이나
추측
에서만 나온 것이 아니라고 말한다. 저자는 비언어 커뮤니케이션을 설명하기 위해 특히 뇌의 변연계(원시형태의 뇌)를 주목한다. 의식적, 무의식적으로 뇌는 인간의 모든 행동을 통제한다. 변연계는 ... ...
20세기 최고 수학자는 누구?
수학동아
l
2010년 11호
때문이다. 32세의 젊은 나이로 프랑스 과학아카데미의 회원이 되기도 한 그는 푸앵카레
추측
과 삼체문제, 혼돈 이론, 위상수학 등으로 현대수학 발달에 크게 기여했다. 그리고 우주진화론과 상대성 이론에도 많은 도움을 줬다. 20세기의 100대 인물에 뽑힌 수학자 2명세계적인 잡지인 타임이 ‘2 ... ...
피라미드에 숨겨진 퍼즐
수학동아
l
2010년 11호
될까? 면과 면을 붙이면 면 2개가 사라지니까 10개의 평평한 면을 가질 것이라고
추측
할 수 있다. 그러나 실제로 두 입체도형을 붙여보면 면 2개가 사라지고 2개씩 이어진 면이 3개가 나타나 평평한 면은 모두 7개인 입체도형이 된다. 즉 7면 입체도형이 생긴다.여러 가지 입체 도형을 만들어 보고 ... ...
인류의 에너지원 ‘별’ 탐구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할 때 이 둘을 합한 값을 질량수 ‘A’라 하자. 질량수와 원자번호를 알면 중성자의 수를
추측
할 수 있으므로 원소의 종류를 나타내는 원소기호와 원자번호 질량수만으로 원소를 표기한다. 원소기호가 X라면로 표기한다.원소의 기원우주의 기원을 빅뱅으로 봤을 때 우리 주변에 있으며 우리를 ... ...
소행성 충돌 사건의 진실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태양 주위를 공전하고 있다. 과학자들은 소행성끼리 충돌하는 일이 가끔 일어날 거라고
추측
했지만 지금까지 실제로 관측한 적은 없다.연구팀은 올해 1월 지구 가까이 접근한 소행성을 조사하던 중 소행성 ‘P/2010 A2’를 발견했다. 처음에는 혜성인 줄 알았지만, 본체에서 떨어져나오는 파편의 ... ...
2000년 찰스 주커 교수의 쓴맛 수용체 발견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쓴맛의 정보를 전해주는 미뢰의 세포에서 여러 쓴맛 수용체가 동시에 발현될 것이라고
추측
했다. 예를 들어 PROP라는 쓴맛 물질이 오면 세포 표면의 T2R1이 감지해 그 정보를 전달하고, 데나토늄이라는 쓴맛 물질에는 T2R4가 반응한다. 어떤 쓴맛 수용체가 반응하든지 세포는 입안에 쓴 물질이 들어 ... ...
한국 수학 필즈상에 도전장 내다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정수론 문제를 함수론 문제로 바꿀 수 있다는 캐나다 수학자 로버트 랭글란즈의
추측
이다. 정수론 문제는 보기에는 간단해 보인지만 실제 풀기는 매우 어렵다. 만약 함수론 문제로 바꿀 수만 있다면 어려운 문제를 쉽게 풀 수 있게 된다.응오 교수가 증명한 문제는 랭글란즈 프로그램의 아주 작은 ... ...
Part 8. 한국 수학의 밤
수학동아
l
2010년 10호
무리수를 아주 가까운 유리수로 나타내는 방법인 리틀우드
추측
을 해결하셨어. 리틀우드
추측
은 80년간 미해결 문제로 있었지.▼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수학을 닮은 한글 첫 번째 대칭과 회전으로 만든 한글 두 번째 조합으로 만든 한글 글자는 몇 개일까? 한글은 디지털에도 안성맞춤 세 번째 ... ...
이전
119
120
121
122
123
124
125
126
12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