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짐작
어림
추리
억측
상상
공상
추정
d라이브러리
"
추측
"(으)로 총 2,391건 검색되었습니다.
고집 센 외톨이 수학자
수학동아
l
2010년 12호
하우스도르프 차원의 존재성을 완벽히 증명하지는 못했어. 수학자들도 이것을 하나의
추측
으로만 취급했지. 나는 이 소수 차원을 프랙탈 차원이라 정의하고 증명했어. 이렇게 할 수 있었던 힘은 프랙탈 기하학이 있었기 때문이었으니까. 그래서 나는 1967년 미국의 세계적인 과학저널 ‘사이언스’에 ... ...
800년 만에 돌아온 고려 시대 보물선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나무토막이 발견되기도 했다. 전문가들은 불을 지피려는 용도였을 것이라고 막연히
추측
했지만, 발굴되는 갯수가 너무 많아 확실하지 않았다. 이 궁금증은 올해 마도 2호선을 발굴하면서 풀렸다. 선박 안에 놓인 화물 아래로 원통형 나무토막이 깔려 있었던 것이다. 양 연구사는 “나무로 배를 ... ...
말보다 정직한 ‘몸의 언어’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인류학 분야에서 최근 밝혀진 연구도 제시하며 이 책에 나오는 정보가 개인의 경험이나
추측
에서만 나온 것이 아니라고 말한다. 저자는 비언어 커뮤니케이션을 설명하기 위해 특히 뇌의 변연계(원시형태의 뇌)를 주목한다. 의식적, 무의식적으로 뇌는 인간의 모든 행동을 통제한다. 변연계는 ... ...
20세기 최고 수학자는 누구?
수학동아
l
2010년 11호
때문이다. 32세의 젊은 나이로 프랑스 과학아카데미의 회원이 되기도 한 그는 푸앵카레
추측
과 삼체문제, 혼돈 이론, 위상수학 등으로 현대수학 발달에 크게 기여했다. 그리고 우주진화론과 상대성 이론에도 많은 도움을 줬다. 20세기의 100대 인물에 뽑힌 수학자 2명세계적인 잡지인 타임이 ‘2 ... ...
피라미드에 숨겨진 퍼즐
수학동아
l
2010년 11호
될까? 면과 면을 붙이면 면 2개가 사라지니까 10개의 평평한 면을 가질 것이라고
추측
할 수 있다. 그러나 실제로 두 입체도형을 붙여보면 면 2개가 사라지고 2개씩 이어진 면이 3개가 나타나 평평한 면은 모두 7개인 입체도형이 된다. 즉 7면 입체도형이 생긴다.여러 가지 입체 도형을 만들어 보고 ... ...
소행성 충돌 사건의 진실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태양 주위를 공전하고 있다. 과학자들은 소행성끼리 충돌하는 일이 가끔 일어날 거라고
추측
했지만 지금까지 실제로 관측한 적은 없다.연구팀은 올해 1월 지구 가까이 접근한 소행성을 조사하던 중 소행성 ‘P/2010 A2’를 발견했다. 처음에는 혜성인 줄 알았지만, 본체에서 떨어져나오는 파편의 ... ...
2000년 찰스 주커 교수의 쓴맛 수용체 발견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쓴맛의 정보를 전해주는 미뢰의 세포에서 여러 쓴맛 수용체가 동시에 발현될 것이라고
추측
했다. 예를 들어 PROP라는 쓴맛 물질이 오면 세포 표면의 T2R1이 감지해 그 정보를 전달하고, 데나토늄이라는 쓴맛 물질에는 T2R4가 반응한다. 어떤 쓴맛 수용체가 반응하든지 세포는 입안에 쓴 물질이 들어 ... ...
인류의 에너지원 ‘별’ 탐구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할 때 이 둘을 합한 값을 질량수 ‘A’라 하자. 질량수와 원자번호를 알면 중성자의 수를
추측
할 수 있으므로 원소의 종류를 나타내는 원소기호와 원자번호 질량수만으로 원소를 표기한다. 원소기호가 X라면로 표기한다.원소의 기원우주의 기원을 빅뱅으로 봤을 때 우리 주변에 있으며 우리를 ... ...
[심리학 테라피] 영화 인셉션 과 인간의 그림자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직접 낳은 부모라도 불가능하다. 부모는 자신의 경험과 가치관, 기대치를 근거로 자식을
추측
할 뿐이다. 그래서 종종 자식들로부터 “저에 대해 뭘 안다고 그러세요?”라는 반항어린 대답을 듣기도 한다. 인간은 자신에 대한 정보가 완벽하지 않기 때문에 예측할 수 없는 인생의 드라마를 쓰는 ... ...
1993년 빅터 앰브로스 박사의 마이크로RNA 발견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운반RNA(tRNA)의 유전자 전사를 하는 RNA중합효소Ⅲ이 마이크로RNA의 전사도 할 것으로
추측
하고 있었다. 김 교수팀은 마이크로RNA의 기능을 밝히는 연구에서도 두각을 나타냈다. 지난해 ‘네이처 구조·분자생물학’에 발표한 논문에서는 miR-29가 암억제 유전자인 p53을 활성화시킨다는 사실을 보고했다. ... ...
이전
119
120
121
122
123
124
125
126
12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