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짐작
어림
추리
억측
상상
공상
추정
d라이브러리
"
추측
"(으)로 총 2,391건 검색되었습니다.
빅뱅의 비밀
수학동아
l
2010년 09호
머리 위의 불 색깔은 어떻게 알아낼까요? 다른 사람의 마음을 읽을 수 없으니 논리적으로
추측
해야 합니다.이 문제와는 다르지만 다른 사람의 마음 속을 알 수 없는 상황이라고 하니 떠오르는 문제가 있습니다. 바로 ‘죄수의 딜레마’입니다. 죄수의 딜레마는 게임이론의 유명한 예로 범죄를 저지른 ... ...
190만 년 전 인류‘ 세디바’발 견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9호
두 점이 발견되며 세상에 알려졌어요. 연구진은 부분 화석을 토대로 몸 전체의 체격을
추측
했어요. 그 결과 오스트랄로피테쿠스 세디바는 침팬지처럼 팔이 길고 사람처럼 뛸 수 있는 긴 다리를 갖고 있으며, 키는 127㎝ 정도로 계산됐지요. 과학자들은 세디바를 통해 오스트랄로피테쿠스에서 ... ...
모비딕으로 추정되는 거대한 고래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몸길이가 13m나 되는 거대한 육식고래의 화석이 발견됐다. 벨기에 왕립 자연과학연구소의 고생물학자 올리비에 램버트를 포함한 공동연구팀은 거대한 육식 향유고래의 화석을 발견했다 ... 전)에 온 빙하기 때 멸종했으며, 현재와 같은 식성을 가진 향유고래만 남았을 것이라고
추측
했 ... ...
새가 ‘동성애’ 하는 이유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위함이거나 동성끼리 결연을 다지고 사회적인 긴장감을 줄이기 위해서일 것이라고
추측
했다. 하지만 궁극적으로 새가 왜 동성애를 하는지는 결론짓지 못했다. 연구팀은 “초식동물들에게서도 같은 결과가 나오는지 연구해볼 것”이라고 밝혔다 ... ...
‘좀비 실험실’ 죽은사람이 어떻게 노예가 됐을까?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그 뒤 주술사가 ‘시체’를 땅에서 파내 회복시킨 다음, 환각 상태에 빠뜨렸다고
추측
할 수 있다.그는 연구 결과를 ‘사이언스’ 1988년 4월 15일자에 발표했고 같은 해 6월 24일자에는‘좀비 만들기(zombification)’라는 제목의 글을 실었다. 일반인들에게도 좀비의 존재와 비밀을 알리려 했던 그는 1985년 ... ...
여름바다의 낭만 등대의 모든 것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것이다. 신빙성은 약하지만 빛을 멀리 보내기 위해 등대에 오목거울을 설치했을 거라는
추측
은 가능하다. 이런 기술이 당시 대중에게 얼마나 첨단기술의 상징처럼 비춰졌는지를 역설적으로 잘 설명해준다.높다란 등대를 바라보며 가졌던 이런 과학적 경외심은 사라진 지 오래다. 지금은 바닷가의 ... ...
한국 미라에는 ‘저주’가 없다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발견할 수 없었다.발견된 두 구의 미라는 조선시대 한 사대부 남성의 전처와 후처로
추측
된다. 5월 9일 관에서 꺼낸 미라가 후처, 30일 꺼낸 미라가 전처다. 두 번째 미라는 남편의 관직 품계에 따라 정9품 품계를 받았으며 첫 번째 미라는 6품 품계를 받았다. 당시 정9품부터 한 단계씩 오르는 데 평균 45 ... ...
세포 호흡과 ATP 합성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것이다. 이로써 크렙스는 ⑥과 ③을 이어주는 추가적인 경로가 있음을 확인했으리라
추측
된다. 결국 실험 결과 위 대사경로는 회로를 구성한다는 가설을 세울 수 있다. 크렙스의 의문은 대사경로가 회로라는 가정 하에 풀릴 수 있다. 일단 각각의 유기분자가 각 반응에서 산화될 때 소비되는 산소를 ... ...
입체도형 종합선물세트
수학동아
l
2010년 08호
옆면이나 뒷면을 보지 못합니다. 따라서 겨냥도를 그릴 때 우리가 보지 못하는 부분을
추측
해 그려야 합니다. 즉 공간지각력이 필요하지요.건축물에서 바닥과 천장이 분리돼 어느 정도의 높이를 유지해야 이 안으로 사람이나 가구가 들어갈 수 있습니다. 천장과 바닥을 분리시켜 줄 수 있는 도구가 ... ...
백두산 최후의 날?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문헌에 기록된 10차례 이상의 냉해와 기근, 흉작 등은 백두산이 분화한 결과로
추측
할 수 있다. 특히 1403년, 1668년 6월 2일과 1702년 6월 3일의 백두산 화산분화로 추정되는 기록은 조선왕조실록에서 볼 수 있다. 함경도 부령, 경성 지역에 ‘연기와 안개 같은 기운이 서북쪽으로부터 갑자기 밀려오면서 ... ...
이전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