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짐작
어림
추리
억측
상상
공상
추정
d라이브러리
"
추측
"(으)로 총 2,391건 검색되었습니다.
천 년 전 경주의 밤하늘을 찾아서
과학동아
l
2010년 03호
신성한 임무로 여겨져 일반인의 출입을 제한하기 위해서라고 주장한다. 또 다른
추측
은 야간관측 시 동물의 침입을 막기 위한 의도적인 설계라는 것이다. 그래서 학자들은 창문에 사다리를 놓고 올라갔을 가능성이 높다고 추정한다. 실제로도 사다리 고리를 걸쳤던 흔적처럼 보이는 자국이 아직 ... ...
[hot issue] 한반도 폭설과 한파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평균적으로 겨울철에 10회 정도 발생하는 한파 가운데 약 30%는 북극진동과 관련된 것으로
추측
된다(과학동아 2005년 6월호 ‘한반도 기후의 숨은 실세 극진동’ 참조).그렇다면 이러한 북극진동 자체는 예측이 가능한 것일까. 아쉽게도 극진동의 변화에는 대기 내부의 여러 가지 비선형운동, 성층권과 ... ...
천 년을 견디는 종이 ‘한지’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백제에서 4세기 말 역사서를 많이 편찬한 것으로 봐서 백제에도 종이가 있었을 것으로
추측
된다. 신라 진덕여왕 1년인 서기 648년에는 종이로 만든 연을 띄웠다는 기록도 있어 600년을 전후해 고구려와 백제, 신라 삼국 모두에 종이가 들어와 제조되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고려 시대는 한지가 가장 ... ...
[수학 통조림] 천만 가지 문자의 얼굴을 벗겨라!
수학동아
l
2010년 02호
사고에는 여러 가지 계산 방법, 수학 용어와 기호를 사용하는 것, *명제를 증명하고
추측
하고 발견하는 것 등이 있습니다.17세기 프랑스의 수학자 데카르트는 모든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보편적인 방법을 찾으려고 애를 썼습니다. 그 결과 데카르트는 모든 문제를 수학문제로 바꿨습니다. 문제의 ... ...
거꾸로 자라는 고드름의 비밀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내려가면 역고드름이 성장하기 전에 얼음기둥의 구멍이 막혀 버리기 때문일 것이라고
추측
했다. 그간의 연구에 따르면 냉장고 냉동실에 넣은 아이스크림이 너무 딱딱해질 정도면 역고드름이 생성되기에 온도가 낮은 것으로 볼 수 있다.역고드름을 생성하는 마지막 마법의 시약은 바람이다. 실제 ... ...
풀지 않고 필요한 정보 알아내는 암호 체계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h (x 강아지÷x 야옹이) =9÷8=1.125” 또는 “h(x 강아지-x 야옹이)=9-8=1이구나!”라고 쉽게
추측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런 방식으로 전자서명까지도 조작할 가능성이 있다.사람들이 암호를 사용하지 않는 이유 중 하나는 누군가 당신의 개인정보를 볼 수 있다는 점이다. 즉 아무도 모르게 하려고 ... ...
미래 대 예측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1호
있는 곳도 여름에는 덥고 겨울에는 영하 30℃까지 떨어지는 변덕스러운 기후였을 것으로
추측
된다. 더구나 ‘아마시아’나 ‘노보 판게아’처럼 한반도가 미래 대륙의 중심에 놓일 경우, 높은 산에 가로막힌 내륙 지역으로 구름이 이동하지 않아 비가 거의 오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 과학자들은 이런 ... ...
[수학 통조림] 경우의 수를 따져라~
수학동아
l
2010년 01호
무작정 떠오르는대로 판단하면 중요한 경우를 놓쳐 낭패를 볼 수 있기 때문이다.통계적
추측
을 위해초록색과 노란색이 들어 있는 통에서 한 가지 공을 꺼낸다고 생각해 보자. 두 가지 색의 공 중에서 개수가 더 많은 공을 꺼낼 확률이 높다. 만약 두 가지 색의 공의 개수가 똑같다면 확률은 반이다. ... ...
도넛 가득한 세상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적게 생성됐거나 파괴돼 부족한 양을 채우기 위해 몸이 적혈구를 많이 만들었다고
추측
한다.도넛을 닮은 근육은 얼굴에 모였다. 눈을 항상 촉촉하게 유지하고 맘에 안 드는 상황에서는 입을 삐죽 내밀며, 깜깜한 곳에서도 물체를 구분할 수 있는 것은 모두 ‘도넛’ 근육 덕분이다. 눈을 둥글게 ... ...
호랑이는 왜 가로줄무늬를 가졌을까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동물의 무늬가 생존에 유리한 방식으로 진화하는 과정에서 생겼을 것이라고
추측
한다. 예를 들면 무늬를 가진 종이 그렇지 않은 종보다 주위 환경에 몸을 효과적으로 숨길 수 있었기 때문에 더 많이 살아남았다는 얘기다.하지만 그럼에도 아직 풀리지 않는 의문이 있다. 호랑이, 표범, 사자는 같은 ... ...
이전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