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넓이
크기
너비
폭
건평
용적
지적
d라이브러리
"
면적
"(으)로 총 1,570건 검색되었습니다.
1. 고집적 어디까지 가능한가
과학동아
l
199211
이것이 약 2X2㎝크기의 칩 속에 규칙적으로 배열되어 있으므로, 셀 하나 당 차지하는
면적
은 약 0.4㎡이 된다. 공기 중의 먼지가 수μ내지 수십μ인 것과 비교해 보면 엄청나게 작은 것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먼지보다도 더 작은 구조의 셀을 만들려면 상상을 초월하는 초첨단 기술들이 필요하다. ... ...
노지카박물관
과학동아
l
199211
국립해양과학박물관은 우리나라가 해양과학박물관을 계획할 때 본보기로 삼을 만하다.연
면적
약 5천평 규모에 2백50억원의 공사비를 들인 노지카는 4년간의 타당성조사, 2년간의 내외부건축과 연시연출계획, 그리고 2년간의 건축공사 등 8년여에 걸쳐 건립 되었다. 이 박물관은 연간 1백여만명의 ... ...
21세기초 착륙대비 화성지도를 완성하라
과학동아
l
199211
몬스. 화산의 지름이 6백㎞나 되며 주변 평원을 중심으로 약 25㎞나 솟아 있다. 화산의
면적
은 한반도를 덮을 정도며 에베레스트산보다 3배 이상 높은 셈이다. 이 밖에도 화성에는 여러개의 대협곡이 있는데 그랜드 캐년도 감히 명함을 못내밀 정도로 장대하다. 마르스옵서버의 활약으로 이 장대한 ... ...
지구온난화 막아주는 CO₂고정화기술이란?
과학동아
l
199211
열대 우림은 아시아 아프리카 그리고 중남미의 세지역에 분포한다. 1978년 세계의 산림
면적
은 약 25억㏊로 1년에 약 2천만㏊가 감소하고 있다. 이런 열대림은 그 성장과정에서 ${CO}_{2}$고정이 활발하다. 만약 연 2천만㏊의 열대림이 태워진다면(아마존강 유역에서 개발 및 농토화를 위해 실제로 ... ...
촉매 건조제 이온교환제로 유망한 신비의 「끓는돌」 제올라이트
과학동아
l
199210
표
면적
은 세공내부의 통로, 새장등을 모두 고려하면 3백~1천㎡/g정도나 되는 넓은
면적
이다. 즉 1g의 제올라이트 표면이 1백~3백평 가량이나 되는 것이다.이성질체의 분리에 응용돼제올라이트에 어떤 물질이 흡착되려면 그 물질이 제올라이트의 구멍내부로 들어갈 수 있을 만큼 작아야 한다. 만약 ... ...
가까이 하기엔 너무나 먼 도스
과학동아
l
199210
얇고 유연한 매체로는 한계가 있게 마련이었다. 이러한 재질의 특성은 고밀도 처리(같은
면적
에 더 많은 정보를 저장하기 위해 필요한 조치)에도 한계로 작용하였다. 그리고 밖으로 빼내고 다시 집어넣고 하기 위해 한장 단위로 처리되다 보니 용량이 고정될 수밖에 없었다.그래서 생각해낸 것이 ... ...
북극
과학동아
l
199210
북빙양의 생물들북빙양의 북극점을 중심으로 한 거대한 바다다. 북빙양은 5대양 가운데
면적
이 제일 작은 1천2백26만㎢이며 인도양의 1/6에 해당하나 지중해보다 5배 크다(북빙양을 보통 북극해라고 하나, 5대양의 하나이고 남극의 바다를 남빙양이라고 부르는 것을 생각하면, 북빙양이 더 ... ...
4 우주여행의 징검다리 우주정거장 살류트에서 프리덤까지
과학동아
l
199209
수행하고 작은 모듈에서는 조정 통신 등의 임무를 수행한다.외부의 태양전지판은 총
면적
이 76㎡로 전 우주정거장 살류트보다 25㎡가 크며 갈륨비소전지판을 사용하여 에너지 변환효율을 높이고 있으며 항상 태양열을 최대한으로 받도록 자동 조절된다. 화성진출의 전초기지승무원 유리 로마넨코가 ... ...
고롱고로 분화구 안의 별난 생태계
과학동아
l
199209
세렌게티(Serengeti)평원의 동쪽에 놓여 있다. 분화구의 밑바닥은 깊이 7백m나 되며,
면적
은 2백56㎢에 이른다. 이곳은 아프리카에서 사자들이 가장 많이 밀집해 사는 사자들의 집단서식처다.이곳 사자들은 분화구에 갇혀 살기 때문에 어쩔 수 없이 근친번식을 한다. 따라서 번식이 현저하게 감소됐으며 ... ...
물병자리는 나일강의 발원
과학동아
l
199209
그 껍질에서 분출되었을 것이다. NGC 7293 까지의 거리는 대략 1백광년이고 이 대상은 달
면적
의 절반 정도로 하늘을 덮고 있다. 좋은 쌍안경을 가지고 별을 보기에 완벽할 만큼 어두운 밤을 기다린다면 이 아름다운 천체의 흐릿한 섬광을 볼 수 있을 것이다.서양의 점성술사들은 앞으로 다가올 미래의 ... ...
이전
120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