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육
생식
증식
개량
산식
기르기
교육
d라이브러리
"
번식
"(으)로 총 1,311건 검색되었습니다.
두루미·산양·노루가 두려움 없이 살다
과학동아
l
1988년 05호
철책선이 흡사 동물원의 우리같은 구실을 하여 넓은 행동반경을 갖지 못하여 그속에서만
번식
해온 결과 가장 높은 서식밀도를 보이고 있다. 잡으면 재수없다는 교육이 병사들 사이에 철저히 지켜져 평온한 보금자리가 지속되고 있다 ... ...
육지 달팽이「파르툴라」멸종되다
과학동아
l
1988년 04호
관찰되었는데 야생상태로는 이제 전혀 발견되지 않고 있다. 다행히 동물원에서 6종이
번식
하고 있을뿐.육지 달팽이는 태평양의 여러 화산섬에만 살고 있다. 하와이에는 과거 1천여종이 있는것으로 보고되었다. 파르툴라 달팽이도 이런 종가운데 하나인데 오직 ‘무레아’섬에만 살았다. 다른 ... ...
놀라운
번식
력이 면역 가능케 해
과학동아
l
1988년 03호
북아메리카와 카리비아도서지방에 광범하게 퍼져있는 주머니쥐(opossum)는 대뇌도 작고 비교적 둔한편에 속하는 포유류이지만 몇가지 능력 ... 면역현상에 대해 주머니쥐의 뛰어난
번식
력 때문에 가능한 것으로 보고있다. 즉 왕성한
번식
력은 점차 면역능력이 커진 후손을 낳게 했다는 것이다 ... ...
가장 생명력이 강한 것
과학동아
l
1988년 03호
화밀(花蜜)을 먹고 살며 반면 꽃은 벌이 이꽃에서 저꽃으로 꽃가루를 옮겨주기 때문에
번식
한다. 개화식물은 약 1억 3천2백만년 전에 생겨난 것으로 생각되지만, 만일 벌이 그보다 더 오래되었다면 꽃도 마찬가지인 것이다.고생물학자들은 조사를 계속하고 있다. 호박에서 발견되는 곤충 하나하나가 ... ...
생물학 표본실 마다가스카르 섬
과학동아
l
1988년 02호
1만종이나 되는 토착식물을 그 대지에서 자라게 하고 있다. 그 5분의 4는 이곳에서밖에
번식
하지않는 독자적인 것이다. 그러나 이 섬의 환경은 놀라울정도로 변해가고 있다. 인구증가에 따라 해마다 자연파괴가 더욱 진행되고 있으며 동식물은 조금씩, 그러면서 착실히 멸절에의 길을 가고있다. ... ...
지구의 신비를 파헤치는 즐거움
과학동아
l
1988년 01호
지질학과를 방문한 일이 있는데, 그곳 고생물학 연구실에서 4~5억년 전에 바다에서
번식
하였던 삼엽충의 눈에 관한 연구에만 일생을 바치고 있는 노교수를 만나게 되었다. 삼엽충의 눈은 대다수의 곤충의 눈과 같은 복안으로 되어 있다. 삼엽충 가운데는 모래나 뻘속에 파고 들어가 생활하는 종류가 ... ...
서울의 하수처리시설 끝내 한강이 더욱 맑아진다
과학동아
l
1988년 01호
증식시켜 정화하는 것이다. 즉 썩고 악취가 나는 폐수물의 유기물질을 박테리아가 먹어
번식
하면서 몸이 커지고 엉켜 차츰 개펄 같은 덩어리가 되어 가라 앉게 되는 것이다. 이 과정에서 공기를 좋아하는(好気性) 박테리아에 공기를 듬뿍 불어 넣어주면 활발하게 유기물을 먹어치우게 된다 ... ...
미생물학은 생명과학의 총아
과학동아
l
1987년 12호
번식
이 어려워서 몇 백만원을 호가하던 동양란이 이 조직배양기술에 의해서
번식
에 상당히 효과를 거두고 있으며, 일본에서는 한국인삼을 실험실내에서 2~3주일안에 생산해내는 실험을 하고 있다. 단백질 공학은 생명체의 기본 구조를 이용하여 유전정보의 변이를 유도하여 아미노산의 배열을 ... ...
초전도체의 열풍속에
과학동아
l
1987년 12호
사도 1990년까지 시판할 예정이다. 지난해 초에는 '인테그레이트드 제네틱스'사가 가축
번식
에 주요한 역할을 하는 BFSH 호르몬을 개발하여 미국식품의약국의 인가를 받았다. 이 호르몬으로 처리된 암소는 배란기에 6개의 알(종래는 1개)을 만들 수 있다. 서비스계로 진출하는 로봇 1990년까지 25만개의 ... ...
경이의 자연사박물관
과학동아
l
1987년 12호
환경에 어떤 영향을 주느냐도 연구대상이 된다. 달팽이가 많이 모여 있다거나, 나방류의
번식
이 활발할 때 과연 어떤 생태계 변화를 초래하게 되는지를 연구하는 것이다. 쓰레기나 오물처리에 관련된 공해문제도 박물관팀이 자주 다루는 분야. 수천m 깊이의 바다속에 버릴 경우, 생물학적으로 어떤 ... ...
이전
120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다음
공지사항